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510
한자 同福鄕校釋奠大祭
이칭/별칭 석전제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월송길 62-30[연월리 846]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희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 시기/일시 1444년연표보기 - 동복 향교 석전대제 시작
중단 시기/일시 1655년연표보기 - 동복 향교 석전대제 중단[1655]
재개 시기/일시 1664년연표보기 - 동복 향교 석전대제 재개[1664]
중단 시기/일시 1950년연표보기 - 동복 향교 석전대제 중단[1950]
재개 시기/일시 1959년연표보기 - 동복 향교 석전대제 재개[1959]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11월 1일 - 석전대제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로 지정
의례 장소 동복 향교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월송길 62-30[연월리 846]지도보기
의례 시기/일시 음력 2월 상정일|음력 8월 상정일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에 있는 동복 향교에서 매년 춘추로 거행하는 유교 의례.

[개설]

공자의 학덕과 유풍을 기리고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동복 향교에서는 석전대제를 지내고 있다. 향교에서 지내는 석전대제는 삼국 시대부터 내려온 전통 유교 의식으로, 매년 봄[음력 2월 초정일]과 가을[음력 8월 초정일] 두 번에 걸쳐 봉행하고 있다.

향교는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으로 전국적으로 각 지방에 하나씩 있었다. 화순군의 경우 1914년 현재의 화순군이 되면서 화순 향교, 능주 향교, 동복 향교 등 3개소가 포함되었는데, 이는 화순 지역에서 유교 문화가 융성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1444년(세종 26) 동복 현감 하강지(河綱地)가 현재 위치에 처음 동복 향교를 건립하였고, 1518년(명종 19)에 교촌 마을로 이건하였다. 1655년(효종 6)에 화재로 전패가 소실되었고, 동복현이 폐현되어 동복 향교도 폐교되었다. 1664년(현종 5)에 동복현이 복현되어 동복 향교도 복교되었다. 1713년(숙종 39)에는 독상리 생가물로 이건하였다가 1756년(영조 32)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1950년 6·25 전쟁으로 동복 향교가 소실되어 석전대제도 중단되었다가 1959년에 대성전과 내삼문을 복원하였다.

[절차]

동복 향교 석전대제에는 첫 잔을 올리는 초헌관, 둘째 잔을 올리는 아헌관, 셋째 잔을 올리는 종헌관이 있다. 나머지는 분헌관을 두어 제를 올린다. 석전대제는 공자·안자·증자·맹자·자사 등 대성전 중앙에 있는 5개 신위에 초헌관·아헌관·종헌관이 각각 분향과 헌주를 하는 초헌례·아헌례·종헌례가 진행된다. 이어 두 명의 분헌관이 고운 최치원 등 동방 18현을 비롯한 좌우 22명의 신위에 헌주하는 분헌례 순으로 진행된다.

홀기(笏記)[제례 순서]는 봉행 준비 → 창홀(唱笏) → 전폐례(奠幣禮)[초헌관이 오성위(五聖位)에 향을 피우고 폐백을 올리는 예] → 초헌례(初獻禮)[오성위에 첫잔을 올리고 대축(大祝)이 축문을 읽는 예] → 아헌례(亞獻禮)[아헌관이 오성위에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예] → 종헌례(終獻禮)[종헌관이 오성위에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예]-분헌례(分獻禮)[분헌관이 종향위에 잔을 올리는 예] → 음복례(飮福禮)[초헌관이 음복을 하는 예]-철변두(徹籩豆)[대축이 변과 두를 거두는 의식] → 망료례(望燎禮)[폐백과 축문을 불사르고 땅에 묻는 예]로 진행된다.

[축문]

몇 년 몇 월 몇 시에 아무개는 감히 밝게 고하나이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만세의 스승이신 문선왕의 상정일을 당해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고 희생과 폐백과 예제(醴齊)와 곡식과 여러 가지를 잘 차려 놓았으니 자리하시어 흠향하시옵소서.(維[年號] 歲次 干支 某月 干支 官 姓名 敢所告于大成至聖文宣王 伏以維王 道冠百王 萬歲宗師 玆値上下 精禋是宜 謹以 牲幣醴齊 秶盛庶品 式陳明薦以 尙嚮)

[석전의 대상]

동복향교 대성전의 위치도는 다음과 같다.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

    서위(西位)                          동위(東位)

성국종성공(郕國宗聖公) 증자(曾子)  연국복성공(兗國復聖公) 안자(顔子)

추국아성공(鄒國亞聖公) 맹자(孟子)  기국술성공(沂國述聖公) 자사(子思)

    서벽(西壁)                          동벽(東壁)

정 호(程 顥)                           주돈이(周敦頤)

주 희(朱 熹)                           정 이(程 頤)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홍유후(弘儒侯) 설 총(薛 聰)

휘국공(徽國公) 주 희(朱 熹)             예국공(豫國公) 정 호(程 顥)

문충공(文忠公) 정몽주(鄭夢周)          문성공(文成公) 안 유(安 裕)

문헌공(文獻公) 정여창(鄭汝昌)          문경공(文敬公) 김굉필(金宏弼)

문원공(文元公) 이언적(李彦適)          문정공(文正公) 조광조(趙光祖)

문정공(文正公) 김인후(金麟厚)          문순공(文純公) 이황(李滉)

문간공(文簡公) 성 혼(成 渾)             문성공(文成公) 이 이(李 珥)

문열공(文烈公) 조 헌(趙 憲)             문원공(文元公) 김장생(金長生)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          문경공(文敬公) 김 집(金 集)

문순공(文純公) 박세채(朴世寀)          문정공(文正公) 송준길(宋浚吉)

[현황]

동복 향교에서는 2013년 9월 28일에 추기 석전대제를 봉행하였다. 초헌관은 박광재 화순군 의회 의장이 맡았다. 석전대제는 1986년 11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