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000554 |
---|---|
한자 | 農民運動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포천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도형 |
[정의]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을 중심으로 농민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개선을 목적으로 전개된 운동.
[개설]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농민들이 항일 민족 운동의 주체로서 소작 쟁의를 중심으로 농민 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였다. 소작 쟁의의 주요 원인으로는 토지 조사 사업으로 인한 농민의 토지 상실 및 소작농으로의 전락, 고율의 소작료와 소작권의 불안정성, 중간 수탈 심화와 과중한 지대 및 국세 부담, 조선 총독부 및 일본인 지주에 대한 저항심 등을 꼽을 수 있다.
농민 운동은 초기에 면 단위 소작인 조합 등에서 시작되는 경향을 보였다. 소작인 조합은 1922년경에는 30여 개였으나, 약 10여 년 후인 1933년에는 1,301개로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전국 각지에서 분산적으로 조직되었던 소작인 조합은 조선 노동 공제회와 연결되었고, 조선 노동 공제회는 지부에 농민부·소작인부를 설치하여 이론적인 학습과 함께 소작 쟁의를 지도하였다. 조선 노동 공제회 해체 후에는 조선 노농 총동맹이 지도하였다. 1927년에는 농민 운동의 전국적 중앙 조직인 농민 총동맹이 발족되었다. 농민 총동맹의 성립과 더불어 농민 단체의 분포와 범위는 종전의 남부 지방 중심에서 벗어나 북부 지방까지 확대되었고, 소작인 조합은 자작농을 포함하는 농민 조합으로 재편되었다.
이러한 전국적인 추세에 따라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도 1920~30년대에 식민지 지주에 대항하는 소작 농민들의 격렬한 저항이 이어졌다. 1920년대 포천에서의 소작 쟁의는 정확한 기록이 보이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지만, 1920년대 말에 이르러 지주를 제외한 전체 농가 호수 거의 대부분이 소작농이었고 또 이들 소작농 가운데 절대 다수가 극빈자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소작 쟁의가 많이 일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1930년에 조사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당시 경기도 포천 지역의 지주를 제외한 농가 호수는 총 9,721호였는데 이중 자작농은 918호에 불과했고 8,803호가 순 소작농이거나 자작 겸 소작농이었다. 또한 춘궁(春窮)를 겪는 소작농[자작 겸 소작농 포함]이 포천 지역 전체 소작농 8,803호의 약 73%인 6,376호나 되었다. 더구나 경기도 포천 지역은 일본인 대지주[농장·농업 회사 포함]가 많이 진출해 토지 겸병이나 농민 수탈이 심한 곳이었다. 따라서 이들을 상대로 한 소작 쟁의가 많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1930년에 조선 총독부가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당시 경기도 포천 지역에는 일본인 지주나 농장에 소속된 소작농가가 415호였고, 조선인이 경영한 농장 및 농업 회사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930년대에 들어서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도 쟁의 건수가 급증하였다. 조선 총독부 조사에 따르면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는 1934년에 6건, 1935년에는 50건, 1936년에는 35건의 소작 쟁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규모가 큰 소작 쟁의만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이후에도 소작 쟁의가 계속 빈번하게 발생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신문 기사를 통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가 있다. 『동아 일보』 1938년 5월 5일 기사에 따르면 경기도 포천에서는 파종기(播種期)에도 불구하고 소작 쟁의가 계속해서 격증(激增)했다고 한다.
이와 같이 1920~30년대에 각 농촌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한 소작 쟁의는 식민지 지주들을 상대로 한 농민들의 경제 투쟁 및 생존권 투쟁이라 할 수 있지만, 결국 식민지 지주가 일제 농업 정책의 근간이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는 식민지 수탈 체제에 대한 항쟁이라는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소작 쟁의 이외에도 수리 조합 반대 운동도 활발하게 펼쳐졌다. 경기도 포천 지역에는 1919년에 설립 인가가 난 신북면(新北面) 심곡리(深谷里) 일대의 심곡 수리 조합(沈谷水利組合)과 1922년에 설립 인가가 난 영북면(永北面) 자일리(自逸里)·운천리(雲川里)의 일대의 영북 수리 조합이 있었다. 두 수리 조합은 설치 당시부터 많은 폐해가 일으켜 당시 신문에도 자주 오르내리는 등 세간의 관심이 집중된 수리조합이었다. 관련 지역 주민의 의사와 지형(地形)을 무시하고 몇몇 대지주들에 의해 일방적으로 추진되었고, 인가 후 조합 측의 무리한 계획과 부실 공사로 지역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를 이유로 포천의 심곡 수리 조합과 영북 수리 조합 지역에서는 주민들의 수리 조합 반대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다. 중소 지주를 포함한 지역 전체 주민이 반대 운동에 참여했고, 군청에 진정서를 내거나 대표자가 상경하여 총독부에 직접 진정도 하였다. 또 자세한 기록은 보이지 않으나 두 수리 조합의 폐해가 갈수록 커지면서 반대 운동도 점점 격렬해졌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