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849
한자 抱川半月城
이칭/별칭 반월산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5-1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김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삼국시대 - 포천 반월성 축성
개축|증축 시기/일시 1618년(광해군 10) - 이성구 반월성 개축, 중군 설치
훼손 시기/일시 1623년(인조 원년) - 중군 혁파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5년연표보기 - 포천 반월성 단국 대학교 사학과에서 발굴 조사 실시
문화재 지정 일시 1998년 02월 20일연표보기 - 포천 반월성 사적 제40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포천 반월성 사적 재지정
현 소재지 포천 반월성 - 군내면 구읍리 산5-1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반월형(半月形)의 테뫼식 산성
관련 인물 궁예(弓裔)|이성구(李聖求)
둘레) 1,080m
소유자 국유[포천시]
관리자 포천시
문화재 지정 번호 사적

[정의]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가 축조한 성.

[개설]

포천 반월성(抱川半月城)은 일반적으로 반월산성(半月山城)이라고 하는데, 해발 284.5m의 청성산(靑城山)에 축조된 반월형의 테뫼식 산성으로 전체 둘레는 1,080m이다. 전체적인 형상이 반달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서 반월산성이라고 불리는데, 포천 지역은 물론 인근 지역에 있는 산성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포천 지역에서는 오랫동안 반월성이 후삼국 시대 태봉(泰封)의 궁예(弓裔)가 쌓은 성이라고 전해져 왔다. 그러나 1994년 지표 조사와 1995년 이후부터 이루어진 여러 차례의 발굴 조사 결과 삼국 시대에 백제가 처음 쌓은 성이라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건립 경위]

포천 반월성은 삼국 시대인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에 백제가 고구려를 방어하기 위하여 처음 쌓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475년 고구려 장수왕백제를 공격하여 수도 한성(漢城)을 함락한 이후에는 고구려가 점령하여 활용하였다. 고구려는 소규모 부대를 주둔시켜 전방에 대한 연락이나 감시 역할을 수행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629년에 고구려 낭비성(娘臂城)으로 추정되는 반월성을 차지하면서 한강 이북 지역을 영역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한강 이북에 대한 방어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백제가 축조하였던 산성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정비를 실시하였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8세기 중엽 이후에 두 차례 정도의 대대적인 정비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포천 반월성은 북방을 방어하는 전략 기지로서의 기능보다는 행정 통치를 위한 치소(治所)로서의 기능이 더 강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말 여초(羅末麗初)에 이르러 군사적인 면에서 포천 반월성의 전략적 가치가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지방 각지에서 군웅(群雄)이 일어나 장군(將軍)·성주(城主) 등을 자칭하며 독립 세력을 형성하여 호족(豪族)으로 성장하였다. 포천 지역은 궁예가 철원(鐵原)을 중심으로 태봉을 세우자 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궁예가 몰락하고 고려가 건국한 이후에도 포천 지역에는 호족이 존재하였는데, 923년(태조 6)에 명지성(命旨城)[현 포천] 장군 성달(成達)과 그의 동생 이달(伊達)·단림(端林)이 고려 태조에게 항복한 사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고려 시대에는 포천 반월성에 대한 기록이 보이지 않는데, 아마도 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여 폐허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시대의 반월성은 민간 신앙과 관련되어 종교와 관련된 공간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 시대 초기에 포천은 군사적인 면보다는 한양(漢陽)에서 북방으로 가는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에 북방에서 새롭게 흥기한 만주족(滿州族)이 세운 후금(後金)의 침입을 경계하면서 새롭게 군사적인 요충지로서 중요시되었다. 그 결과 1618년 포천과 영평(永平)을 합하여 도호부(都護府)를 두고 감영(監營)을 설치하였으며, 판관(判官) 이성구(李聖求)가 반월성을 개축하고 중군(中軍)을 주둔시켰다. 그러나 1623년(인조 즉위년)에 중군을 혁파한 이후 반월성은 산성으로의 기능이 없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포천 반월성은 포천시 포천읍에서 동쪽으로 포천천을 건너 지방도 325호선을 따라 가면 군내면 구읍리가 나오고, 여기에서 군내 면사무소 옆으로 포장도로를 따라 성 내부까지 오를 수 있다. 포천 반월성 유적청성산 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주소지는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5-1번지이다.

[형태]

반월성은 전체적인 지형이 북고남저, 서고동저의 지세(地勢)이다. 북벽은 청성산 정상부 북쪽에 발달된 능선의 외부 급경사를 이용하여 축조하여 지형 조건에 따라 굴곡이 나타나지만 대체로 완만한 편이다. 북벽 길이는 약 400m에 달하는데, 체성(體城)에는 북문지 및 장대지 각 1개소가 조성되어 있고, 내외벽이 성내에서 가장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 북벽이 시작되는 북서 치성(北西雉城)에서 성벽을 따라 약 60m 지점에 북문지가 시설되어 있다.

외성 서벽은 남문지에서 직각으로 북쪽으로 회절하며 형성되었다. 남서·북서의 세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유지하며 내려가는 해발 255m 능선 상단부에 축조되었다. 서벽의 길이는 약 70m이며, 중간 지점에 서치성(西雉城) 1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북벽으로 회절하는 지점에 서북 치성이 위치하고 있다.

남벽은 삼국 시대에 축조된 남문지 1개소, 치성 2개소가 존재하고 있다. 성벽은 시대를 달리하면서 세 차례에 걸쳐 조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동벽은 북벽에서 애기당지가 위치한 봉우리에서 완만하게 남쪽으로 회절하여 동치성(東雉城)까지 이어진다. 동벽은 해발 280m 애기당지에서 해발 255m 동치성까지이며, 전체 길이는 약 150m이다.

[현황]

포천 반월성은 1994년 지표 조사를 한 이후에 1995년부터 1차 발굴 조사를 하여 2001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여섯 차례의 발굴 조사와 두 차례의 성벽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백제에 의해 처음 축성되어 삼국 시대는 물론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중요하게 활용되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반월성을 연차적으로 발굴 조사한 후에 복원하고, 이곳을 역사 공원화하여 포천 시민의 휴식 공간으로 제공함은 물론 지역의 싱징으로 가꾸고 있으며, 특별히 1998년 2월 20일 사적 제40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사적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반월성은 포천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후삼국 시대 태봉의 궁예가 쌓은 것으로 전해져 왔다. 그러나 1994년 지표 조사 이후 1995년부터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삼국 시대에 백제에 의해 처음 축성되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또한 ‘마홀수해공구단(馬忽受解空口單)’이란 명문이 새겨진 기와가 발견됨으로써 고구려의 마홀군(馬忽郡) 치소가 당시에 반월성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신라는 629년에 고구려의 낭비성으로 추정되는 반월성을 차지하면서 한강 이북 지역을 영역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는데, 낭비성을 반월성으로 새롭게 비정하였다.

이와 함께 반월성의 발굴 조사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된 것이 특징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산성 중에서 반월성처럼 체계적으로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모두 7권의 발굴 보고서가 발간된 사례는 없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