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晉州). 호는 민수(民樹). 아버지는 강장원(姜長源)이며 어머니는 신옥분(申玉粉)이다. 홍양옥(洪良玉)과 결혼하여 슬하에 1남 3녀를 두었다....
-
개항기 성주 출신 의병. 곽이용(郭伊用)[1875~1910]은 1875년 12월 경상북도 성주군 천창면(千倉面)[지금의 가천면]에서 태어났다. 1905년 11월 외교권을 빼앗긴 을사늑약(乙巳勒約)을 전후해서 일어난 의병 항쟁이 1907년 7월의 고종 퇴위와 8월의 군대 해산을 계기로 절정기에 이르렀다. 국권 회복을 위한 의병 투쟁이 대일 전쟁의 모습을 띠며 전개되었다. 당시 곽이용...
-
개항기 성주 출신 의병장. 1908년 5월~9월에 경상북도 성주, 경상남도 합천, 거창 등 여러 지역에서 의병 8~9명을 지휘하여 군자금 모집 활동을 벌이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항일 의병장이다....
-
개항기 성주 출신 의병. 1908년 5월~9월, 당시 28세의 나이로 경상북도 성주, 경상남도 합천, 거창 등 여러 지역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을 벌이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항일 의병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 본명은 권외상(權外相)이다. 아버지는 권재은(權在殷)이며, 어머니는 조팔권(趙八權)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구진(金龜鎭)[1874~1943]은 1874년 3월 11일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자양리 755번지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 운동 때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소학리의 이현기(李玄琪)가 주도한 3월 27일~3월 28일의 만세 시위 운동과 가천면 동원리의 이상해(李相海)가 주도한 만세 시위 운동에 자극받은 성주 지역의 유림 세력과 기독교...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덕겸(德謙). 아버지는 김용락(金容樂)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명(異名)은 김길남(金吉男)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김녕(金寧). 다른 이름으로 김상직(金相直)·김성진(金聲振)을 사용하였다. 아버지는 김의권(金義權)이며 어머니는 권기순(權奇順)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2일 성주읍 장날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여 만세 시위를 펼쳤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아버지는 김추해(金樞海), 어머니는 김현(金鉉)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2일 성주읍 장날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여 만세 시위를 벌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김노규(金魯奎)·류완무(柳完茂)·성태영(成泰英) 등과 함께 만주와 연해주 지역을 답사하며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시도했고, 1919년 3월 김창숙(金昌淑) 등과 파리 장서 운동(巴里長書運動)을 기획하여 추진하던 중 급서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1540~1603]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 어머니는 인동 장씨(仁同張氏)이다. 손후익(孫厚翼)의 딸 손응교(孫應喬)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김환기(金煥基)는 형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성무(聖武), 호는 직산(直山). 원술(元述)은 아명이다. 다른 이름으로 김광(金岡)을 사용하였다.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1540~1603]의 13세손이며, 아버지는 김철림(金哲林)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한계(韓溪) 이승희(李承熙)[1847~1916]의 문인으로 1905년 「청참오적소(請斬五賊疏)」, 1907년 국채 보상 운동, 1919년 독립 청원 운동,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 정부 참여 등의 활동을 통해 독립운동을 전개하였고, 광복 이후 1946년 성균관대학을 설립하는 등 신국가 건설 운동에 헌신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치권(金致權)[1874~1943]은 1874년 11월 14일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어은동[현 어은리] 720번지에서 태어났다. 성주군 예수교[耶蘇敎] 북장로파 신도이다. 1919년 3월 27일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소학동[현 소학리]의 이현기(李玄琪)와 가천면 동원동[현 동원리]의 이상해(李相海)가 주도한 만세 시위 운동에 자극받은 성주...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팔수(金八洙)[1898~1971]는 1898년 1월 28일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동[현 도남리] 454번지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6일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 시장(倉泉市場) 장날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하여 만세 시위를 벌였다. 1919년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는 3월 27일 선남면 소학동[...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김해(金海). 아버지는 김영석(金永錫)이며 어머니는 송옥순(宋玉順)이다....
-
일제 강점기 제2차 유림단 의거에 참여한 성주 출신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조선 중엽의 명현(名賢)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1540~1603]의 14세손이다. 아버지는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이며 동생이 김찬기(金燦基)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우문(宇文), 호는 호당(湖堂). 아버지는 김선모(金善模)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노기학(魯基學)[1888~1933]은 1888년 10월 8일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동락길 187-16[동락리 696]에서 태어났고, 다른 이름으로 노규화(魯圭和)라는 이름도 사용하였다. 1919년 4월 2일 성주 지역의 유림들과 기독교인들이 합세하여 성주읍 장날 만세 시위 운동을 계획하였다.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동락리의 노기학도 성주읍 경...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애국 계몽 운동가.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화여(華汝), 호는 만산(晩山). 아버지는 도한구(都漢求)이고 어머니는 거창 신씨(居昌愼氏)이다. 1920년대 성주 지역의 청년 운동과 신간회 운동에 참여했던 도문환(都文煥)[1887~1970]은 아들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주여(周汝) 또는 자열(子㤠), 호는 둔암(遯岩) 또는 졸수(拙守). 아버지는 도원상(都元相)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경하(朴京夏)[1883~1929]는 1883년 12월 22일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매수리 1120번지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2일 성주읍 장날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여 만세 시위를 벌였다. 1919년 3월 27일 성주군 선남면 소학리의 이현기(李玄琪)와 성주군 가천면 동원리의 이상해(李相海)가 주도한 만세 시위 운동에 자극받은 성주...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낼 파리 장서(巴里長書)[독립 청원서(獨立請願書)]에 한국 유림 대표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주(星州). 호는 송운(松雲). 아버지는 배계흠(裵桂欽), 어머니는 순천 김씨(順天金氏)이다. 신송악(申松岳)과 결혼하여 슬하에 4남 2녀를 두었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천약(天若), 호는 우초(友蕉). 아버지는 백민기(白玟基)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병준(徐丙俊)[1900~1981]은 1900년 8월 27일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480번지에서 태어났고, 1919년 4월 2일 성주읍 장날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27일 성주군 선남면 소학리의 이현기(李玄琪)와 성주군 가천면 동원리의 이상해(李相海)가 주도한 만세 시위 운동에 자극받은 성주 지역의 유림 세력과...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학이(徐學伊)[1900~1955]는 1900년 6월 15일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대구로 이주하여 협성학교(協成學校)를 졸업하고 교남학교(嶠南學校)에서 수학하였다. 1925년 1월 대구에서 이상정(李相定), 서상욱(徐相郁) 등과 사회주의 계열의 사상 단체인 용진단(勇進團)을 결성하여 집행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용진...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충주(忠州). 석연극(石鍊極)[1888~1948]은 1888년 2월 17일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문방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2일 성주읍 장날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27일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소학리의 이현기(李玄琪)가 주도한 만세 시위 운동과 가천면 동원리의 이상해(李相海)가 주도한 만세 시위 운동...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에 강제 징병되어 일본군에 배속되었으나, 탈출하여 광복군에 합류해 독립운동을 벌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파리 강화 회의에 제출할 파리 장서(巴里長書)[독립 청원서(獨立請願書)]에 한국 유림 대표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고, 독립운동을 촉구하는 통문(通文)을 배포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일본 경찰에 잡혀 고초를 겪은 독립운동가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덕이(成德伊)[1899~1969]는 1899년 3월 10일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동[현 도남리] 467번지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6일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 시장(倉泉市場) 장날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하여 만세 시위를 벌였다. 1919년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는 3월 27일 선남면 소학동[...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경상북도 성주 지역 3.1 운동을 주도한 인물이다. 1919년 3월 파리 장서 운동에 적극 참여했고, 4월 2일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에서 만세 시위 군중 3,000여 명의 선두에서 만세 운동을 이끌었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회부(會夫). 아버지는 송준복(宋浚福)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강숙(康叔), 호는 은포(隱圃). 조선 성종 때 문신 야계(倻溪) 송희규(宋希奎)의 16세손이다. 아버지는 송준필(宋浚弼), 어머니는 성산 여씨(星山呂氏)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자수(子受), 호는 세한재(歲寒齋). 충숙공 야계(倻溪) 송희규(宋希奎)의 15세손이며, 아버지는 송춘익(宋春翼)이다. 송규선(宋圭善)은 형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윤화(允和), 호는 해려(海旅). 조선 성종 때의 문신 야계(倻溪) 송희규(宋希奎)의 13세손이며, 아버지는 송성흠(宋聖欽)이다....
-
일제 강점기인 1919년 3월 파리 장서 운동을 주도한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한국 유림 대표의 한 사람으로 파리 강화 회의에 제출한 파리 장서[독립 청원서]에 서명하여 한국의 독립을 바라는 한국인의 의사를 국제 사회에 직접 호소하려 했으며, 1919년 4월 2일 성주읍 장날 독립 만세 운동도 주도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05년 을사늑약과 1910년 경술국치에 분개하여 항일 독립운동을 다짐했고, 1919년 유림단의 독립 청원 운동과 3.1 운동의 후원에 참여하였다. 1920년 북로군정서 총사령관 김좌진(金佐鎭)과 연락하고 만주로 망명을 시도하다가 체포되었고, 국내로 압송되던 중에 도주하여 1920년 8월에 열린 결석 재판에서 무기 징역이 선고되었다. 1920...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파리 장서 운동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다. 파리 장서 운동은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김창숙(金昌淑)을 비롯한 유림 대표들이 추진한 독립 청원 운동으로 제1차 유림단 의거라고도 한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파리 강화 회의에서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기 위해 작성한 파리 장서[독립 청원서]에 한국 유림 대표의 한 명으로 서명하였다. 1919년 4월 2일 성주군 성주읍 장날 만세 시위 운동도 계획·준비하여 당일 만세 시위의 선봉 역할을 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성방(聖放). 아버지는 송인섭(宋寅燮)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에 강제 징병으로 일본군에 배속되었다가 탈출하여 광복군에 합류해 독립운동을 벌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안해용(安海容)[1873~1951]은 1873년 12월 22일[음]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가암리에서 태어났다. 1913년 2월[음] 만주 통화현(通化縣) 강산두도구(崗山頭道溝)로 망명했고, 1917년 봄에 유하현(柳河縣) 제2구 다화쇠(多花釗)로 이주하였다. 1920년 12월[음] 대한광복군단 참리 부장 조병준(趙秉準)을 만나 대한광복군단에...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별칭은 우익(右益). 원정(圓亭) 여희림(呂希臨)[1481~1553]의 12세손이며 아버지는 여대호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성일(成一). 원정(圓亭) 여희림(呂希臨)[1481~1553]의 13세손이며 아버지는 여구회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경원(敬元), 이명은 여춘연(呂春淵)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경신(敬臣), 호는 복재(復齋). 1538년(중종 33)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낸 여희림(呂希臨)의 13세손이며, 아버지는 여영진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사진(士鎭). 1538년(중종 33)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낸 여희림(呂希臨)의 15세손이며, 아버지는 여상록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응도(都應). 여희림(呂希臨)의 12세손이며, 아버지는 여정규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진원(振源), 호는 제송(霽松). 아버지는 여임해(呂林會)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오의모(吳義模)[1879~1946]는 1879년 1월 6일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동포동[현 동포리]에서 태어났다.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동포동에 있는 예수교[耶蘇敎] 북장로파 소속 예배당의 영수(領袖)이다. 1919년 3월 27일 성주군 선남면 소학동[현 소학리]의 이현기(李玄琪)가 주도한 만세 시위 운동과 가천면 동원동[현 동원리]의 이상...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기동(柳基東)[1896~1924]은 1896년 경상북도 성주에서 출생하여 일찍이 만주로 건너갔다. 1920년 봉천성 무송현(撫松縣)에서 조직된 흥업단(興業團)에 가담하여 항일 무장 활동을 시작하였다. 1924년 봄 하얼빈[哈爾濱] 일본 총영사관 순사 부장 쿠니요시 세에보[國吉精保]와 형사 부장 마쓰시마[松島] 등이 독립 투사들을 함부로 해친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본관은 정주(定州). 아버지는 유치범(兪致範), 어머니는 김수년(金壽年)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23년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인 차별 대우에 불만을 품고, 1928년 11월 25일 일왕에게 직접 호소하는 직소(直訴)를 시도했다가 체포되었다. 이어 징역 6월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르고 귀국하여 1929년 자결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파리 강화 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기 위하여 영남 유림의 종장 곽종석(郭鍾錫) 등이 작성한 파리 장서[독립 청원서]에 유림 대표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여, 일제 경찰에 끌려가 고초를 겪다가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났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덕소(德邵), 호는 암관(岩觀). 아버지는 이병상(李秉相)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계환(李桂煥)[1898~1920]은 1898년 12월 19일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만세 시위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동원리의 이상해(李相海)가 붓장수 신성백(愼性伯)으로부터 각처의 만세 운동 소식을 들었다. 이에 이상해는 독립 만세 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심하고, 1919년 3월 2...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자건(子乾), 호는 삼주(三洲). 다른 이름으로는 이세원(李世元)을 사용하였다. 할아버지는 조선 말 저명한 유학자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이며, 아버지는 이승희(李承熙), 어머니는 전의 이씨(全義李氏)이다. 이기인(李基仁)은 동생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집중(執中), 호는 극암(克菴). 조선 후기 문신 월봉(月峯) 이정현(李廷賢)[1587~1612]의 10세손이며, 아버지는 이익희(李益熙)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중국 밀산부(蜜山府) 한흥동(韓興洞)과 랴오중현의 덕흥보에서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주도하던 아버지 이승희(李承熙)를 수행하며,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과 군자금 모집 활동 등의 독립운동을 펼쳤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곽종석(郭鍾錫)·장석영(張錫英)·김창숙(金昌淑) 등이 중심이 되어 작성한 파리 장서(巴里長書)[독립 청원서]에 유림 대표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여 파리 장서 운동[독립 청원 운동]에 참여하였다. 또한 1919년 신문을 통해 전국 각지의 3.1 운동 소식을 보고 있던 차에 고종 황제 국장에 참여하고 돌아온 이기원(李基元)으로부터 서...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맹원(孟遠), 호는 성와(惺窩). 월봉(月峯) 이정현(李廷賢)[1587~1612]의 10세손이며, 아버지는 이규희(李奎熙)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경재(景載), 호는 면와(勉窩). 조선 후기 문신 완석정(浣石亭) 이언영(李彦英)[1568~1639]의 10세손이다. 아버지는 이만수(李萬洙)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종무(宗茂), 호는 독산(篤山).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 악거부정(樂居副正)을 지낸 이덕부(李德富)의 23세손이며, 조선 후기 문인 학가재(學稼齋) 이주(李𦁖)[1599~1669]의 10세손이다. 아버지는 인재(忍齋) 이기준(李驥埈)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성옥(聲玉), 호는 인와(忍窩). 고려 개국 공신 성산백(星山伯) 이능일(李能一)의 29세손이며, 아버지는 이주상(李柱相), 어머니는 한씨(韓氏)이다. 이태희(李兌熙)는 형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27일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동원리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도한 인물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자유(子裕), 호는 침산(枕山). 다른 이름으로는 이수석(李洙錫)이라고도 하였다. 고려 개국 공신 성산백(星山伯) 이능일(李能一)의 29세손이고, 훈련원 판관(判官) 이진호(李晉琥)의 8세손이다. 아버지는 이조현(李祚鉉)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한주학파(寒洲學派)를 계승한 유학자로 개항기 성주 지역의 위정 척사 운동을 주도했고, 대한 제국기 국권 회복을 위한 성주 지역의 구국 운동을 주도하였다. 1908년 5월 연해주로 망명하여 1909년 북만주 밀산부(蜜山府)에서 독립운동 기지 한흥동(韓興洞)을 개척했고, 1913년 남만주 안동현(安東縣)으로 옮겨 공교회(公敎會)[Catholic C...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여일(汝一), 호는 백아(白啞). 다른 이름으로 이여일(李汝一) 또는 이봉이(李鳳伊)라고도 하였다. 할아버지는 면와(勉窩) 이덕후(李德厚), 아버지는 이우원(李愚元), 어머니는 성산 이씨(星山李氏)이다. 외할아버지는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2일 성주읍 장날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하여 만세 시위를 벌이다가 일본 경찰이 쏜 총탄에 맞아 순국하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고부(古阜). 다른 이름으로 이판성(李判成)을 쓰기도 하였다. 아버지는 이태옥(李泰玉)이며, 어머니는 이범이(李範伊)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27일~3월 28일 양일간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소학동에서 30여 명의 군중을 규합하여 독립 만세 운동을 벌였고, 3월 28일 성주읍 장터에서 단독으로 대한 독립 만세를 불렀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희서(姬瑞), 호는 치당(恥堂). 조선 시대 문신 백천(白川) 이천봉(李天封)[1567~1634]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이화준(李華俊), 어머니는 광주 노씨(光州盧氏)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옥산(玉山). 자는 진여(震汝), 호는 자하(紫下). 이명으로 장기석(張基錫)을 쓰기도 하였다. 조선 선조 때 성주로 입향한 개옹(㝏翁) 장봉한(張鳳翰)[1566~1644]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장세헌(張世憲)이다....
-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성주 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 이진상(李震相)[1818~1886]의 문인으로 조선 시대 학문을 제대로 이어받은 마지막 시대의 인물이자 유림의 사고와 세력을 토대로 을사늑약(乙巳勒約) 반대와 국채 보상 운동 및 3.1 만세 운동에도 참여한 인물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동래(東萊). 아버지는 정상호(鄭相浩), 어머니는 김성호(金成浩)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여(景呂), 호는 물재(勿齋). 아버지는 정규채(丁奎彩)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휘경(彙卿), 호는 이당(彛堂). 이명은 정서웅(鄭瑞雄)으로 만주에서 사용한 이름이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이며 학자인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10세손으로 아버지는 정주석(鄭周錫)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성로(成老), 호는 성재(省齋). 문목공(文穆公)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정세용(鄭世容), 어머니는 옥산 장씨(玉山張氏)이다. 외숙부는 장승택(張升澤)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한조(漢朝), 호는 뇌헌(磊軒). 문목공(文穆公)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14세손이다. 아버지는 정재설(鄭在卨)이며, 성재(省齋) 정재기(鄭在蘷)[1851~1919]의 조카이다....
-
개항기 성주 출신의 의병. 최은동(崔殷東)[1866~1936]은 1866년 4월 2일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남은리 1154번지에서 태어났다.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발생한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 사건인 을미사변(乙未事變)과 12월 30일[음력 11월 15일] 단행된 단발령(斷髮令)에 반발하여 전국적으로 의병이 일어났다. 이때 가장 먼저 일어난 의병이 문석봉(...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학삼(學三), 호는 우송(友松). 자헌대부(資憲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홍선걸(洪善杰)의 6세손이며, 아버지는 홍병표(洪秉杓)이다....
-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남양(南陽). 홍진수(洪鎭洙)[1885~1957]는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 출신으로 1919년 4월 2일 성주읍 장날의 대규모 독립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이기정(李基定)·성대식(成大湜)·송수근(宋壽根)·송우근(宋祐根)·장석영(張錫英)·송회근(宋晦根) 등을 중심으로 한 유림과 유진성(兪鎭成)·홍진수 등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도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