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가정의 평안을 위해 집안을 관장하는 가신을 모시는 민간신앙. 가신(家神)은 집안을 수호하는 신으로 집과 식구들의 평안을 가져다 주는 존재로 여겨진다. 가신은 안방, 부엌, 장독대, 화장실 등 집의 각 영역을 관장한다. ‘성주신’은 가신 중에서 으뜸 격인 존재로 대들보나 기둥에 자리잡으며 한지나 실타래를 걸어 놓는다. ‘조상신’은 집안의 조상으로 식구들의 안녕을...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기우제(祈雨祭)는 한발(旱魃)이 심할 때 지내는 제사로 경상북도 영덕군 일원에서도 각 마을마다 기우제를 지냈다. 영덕군 병곡면과 창수면에서는 봄·여름 용신(龍神)에게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무당을 주축으로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종교적 관습.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하여 전승되는 종교 현상을 말한다. 영덕 지역의 대표적인 무속 행위로는 별신굿과 오구굿을 들 수 있다. 영덕 지역의 별신굿은 점잖은 춤사위가 특징이며, 오구굿은 복잡하고 다채로운 양상을 보인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일원에서 산신(山神)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로 산제(山祭), 산제사(山祭祀) 등으로도 불린다. 영덕에서는 동제(洞祭)의 일환으로 산신제(山神祭)가 행해진다....
-
경상북도 영덕군 지역에서 모셔지는 아기를 점지하고 산육을 관장하는 신. 삼신(三神)은 가신(家神)의 하나로 집안의 수태, 생산, 발육 등을 주관하는 신이다. 산신(産神), 삼신할미, 삼승할망 등으로도 부른다. 삼신은 출산을 전반적으로 관장하고 출산과 관계되는 신앙의 소산으로 삼신과 관계된 의례가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출산, 문학, 종교가 결합된 관념으로 통한다....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영등을 맞아 지내는 제사. 영등 혹은 영등할머니는 바람을 관장하는 신으로, 바람을 비롯한 기상(氣象)은 농업과 어업의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에 농업과 어업을 관장하는 신이기도 하다. 어업을 주 생계로 삼는 주민들이 많은 영덕 지역에서 영등고사는 여전히 중요한 의례로 간주된다....
-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망인을 떠나보내기 위해 지내는 굿. 오구굿은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망인(亡人)의 저승 천도(薦度)를 위해 지내는 굿으로 오구굿, 오귀굿, 오기굿, 진오기굿, 오구자리 등으로도 부른다....
동제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동제(洞祭)는 마을 사람들이 동네를 지키는 수호신에게 제액초복(除厄招福)을 염원함으로써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도모하는 의례이다. 마을 사람들은 동제를 통해서 의례적, 종교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공동의 신을 모심으로써 공동체의 결속과 단합을 강화하였다. 동제는 마을의 사회문화적, 역사적, 자연지리적 조건...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각리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각리1리 각실앞마을의 윗마을과 아랫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할배당과 할매당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1, 2, 3리 강구마을과 강구4리 신기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는 낙동정맥(洛東正脈)[태백산맥의 구봉산에서 뻗어 부산 몰운대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에서 동해안으로 흐르는 오십천의 어귀에 있는 곳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임진왜란 직전 무렵에 안씨와 이씨가 정착하였다는 강구리는 일제강점기...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정1리 뱃불마을에서는 두 곳의 제당과 제사를 준비하는 제청(祭廳)에서 매년 세 차례의 동제(洞祭)를 지냈다. 경정2리 차유마을과 경정3리 오매마을에서는 한 곳의 제당에서 매년 두 차례씩 동제를 지냈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1리 호지마을에서 매년 지내는 마을 제사. 영덕군의 영해면, 창수면, 축산면, 병곡면 지역을 원영해(元寧海) 지역이라 한다. 조선시대에 원영해 지역에는 동해안 지역에서 드물게 여러 곳에 반촌(班村)이 형성되었다. 여러 반촌 중에서 괴시1리 호지(濠池)마을은 조선 후기 이 지역을 대표하는 문중의 하나로 성장한 영양남씨의 집성촌이다. 예로부터 호지마을에서는...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는 동해안을 따라 영덕군의 최북단에 있으며,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금음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농촌 마을인 금곡1리 거무실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밤에, 어촌마을인 금곡2리 지경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시(子時) 무렵에 동제(洞祭)를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금진리 웃마을과 안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금진리 웃마을과 안마을에서는 음력 3월 중에 각각의 제당(祭堂)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노물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노물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과 10월 보름에 마을 세천(細川) 남쪽에서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2리 한골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2리 한골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제당(祭堂)에 당제(堂祭)를 지낸다. 대리에서는 봉화산에 있는 봉수대에 매년 산신제(山神祭)를 지내는 것이 특이하다....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2리 쟁골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2리 쟁골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 입구의 느티나무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진리 공시진마을·소쿠리마을·건화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진리는 영해면에 속한 어촌 마을 세 곳이 각각 1, 2, 3리를 구성하고 있다. 가장 북쪽에 있는 대진1리 공시진마을과 대진2리 소쿠리마을에는 각기 세 곳의 제당(祭堂)이 있으며, 매년 정월대보름, 유두, 시월 보름에 동제(洞祭)를 지냈다. 대진3리 건화마을에는 두...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매일1리 매화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매일1리 매화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 앞 하천변 숲에 있는 마채나무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백석리 백륙마을·흰돌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백석2리는 동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인접하여 하나의 마을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백석항에 인접한 백석2리 흰돌마을은 어촌이며, 백석1리 백륙마을은 농촌으로 각기 정월대보름에 동제(洞祭)를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병곡리 자래실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병곡2리 자래실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회관 인근에 마련해 둔 동제당(洞祭堂)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부경2리 고부마을에서 정월대보름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부경2리 고부마을에서는 마을 뒷산에 위치한 안씨 터전의 박씨 골맥이 할배에 정월대보름 자정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사암2리 다사리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사암2리 다사리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 서쪽 둔덕의 동제당(洞祭堂)에 모셔둔 시조(始祖)의 신위(神位)에게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사진리 밭내미마을·시널마을·말발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사진리를 구성하는 세 마을은 모두 어촌이며, 각 한 곳의 제당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사진1리 밭내미마을과 사진3리 말발마을에서는 연중 세 차례씩, 그리고 사진2리 시널마을에서는 연중 두 차례에 별제사를 포함하여 동제를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2리 상묵동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2리 상묵동마을에서는 천제당(天祭堂)과 마을 제당(祭堂)에 동제(洞祭)를 지냈으나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양성리 양성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양성리 양성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 마을 남쪽 대나무 숲의 동신(洞神) 할아버지에게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2리 연골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영2리 연골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 마을회관 건너편 숲에 있는 제당(祭堂)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지품면 오천2리 김천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오천2리 김천마을은 홍씨 터전에 박씨 골목이라 전해 내려오는 곳으로 격년으로 음력 정월대보름 자정 제당(祭堂)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옥산2리 상마산마을에서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옥산2리 상마산마을의 동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 앞 돌담에 있는 한 쌍의 돌에게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서 매년 지내는 마을 제사. 영덕군의 영해면, 창수면, 축산면, 병곡면 지역을 원영해(元寧海) 지역이라 한다. 조선시대에 원영해 지역에는 동해안 지역에서 드물게 여러 곳에 반촌(班村)이 형성되었다. 영해 지역의 여러 반촌 중에서 원구마을에는 조선 후기 영해 지역의 대표적인 문중으로 성장한 다섯 문중 가운데 영양남씨, 대흥백씨, 무안박씨 등 세 문중이...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영덕군의 영해면, 창수면, 축산면, 병곡면 지역을 원영해(元寧海) 지역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 원영해 지역에는 동해안 지역에서 드물게 여러 곳에 반촌(班村)이 형성되었다. 인량리에는 열두 문중이 입향(入鄕)하였고, 이 중 여덟 문중의 종가가 위치하여 원영해 지역을 대표하는 반촌이었다. 한때 인량리에...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주응1리 주방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주응1리 주방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 동쪽 하천가의 동제당(洞祭堂)에 모셔진 두 내외에게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윗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윗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과 단오, 10월 중 하루를 택하여서 일 년에 세 번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축산리는 주변의 대소산, 와우산, 죽도산이 마치 황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라는 것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어촌인 축산1리 축산마을과 축산3리 죽산마을에는 각기 두 곳의 제당(祭堂)이 있으며, 축산마을에서는 연중 두 차례, 죽산마을에서는 연중 세 차례 동제(洞祭)를 지냈다. 어촌인 축산2리 양장마을에서...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하저리 하저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하저리 하저마을에서는 아랫제당과 윗제당에서 매년 정월대보름과 중구(重九)[중양절(重陽節), 음력 9월 9일]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회2리 양지말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회2리 양지말의 동제(洞祭)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진씨 터전의 박씨 골맥이에게 지낸다....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흥기2리 오봉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흥기2리 오봉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당나무에 제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