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0536
한자 忠州官衙址
영어의미역 Chungju Government Office Sit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 154-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손태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관아 터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조선시대
지정면적 5,496㎡[3필, 충주 청령헌·충주 제금당·충주 축성 사적비 포함]
소재지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 154-1 지도보기
소유자 충주시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충주 청령헌]|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7호[충주 제금당]
문화재 지정일 1980년 11월 13일(충주청령헌)연표보기|1980년 11월 13일(충주제금당)연표보기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터.

[변천]

충주 청령헌(淸寧軒)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983년 보수할 때 옥개 부분에서 상량문이 발견되어, 1870년(고종 7) 8월 화재로 소실되었던 것을 같은 해 10월에 충주목사 조병로(趙秉老)의 지시로 창룡사를 옮겨 중건한 건물임이 밝혀졌다. 그 동안 내부를 개조하여 중원군 청사로 사용하다가 1983년 군청이 이전하면서 해체 복원하였다.

충주 제금당(製錦堂)은 조선시대 초기 지방 행정 정청으로 1870년 청령헌과 함께 소실되었던 것을 충주목사 조병로가 중건하였으며, 이듬해 출입문인 내삼문을 세웠다. 충주읍사무소, 중원군수의 관사로 사용해 오다가 1983년 해체 복원하였다. 청령헌제금당이 있는 관아 터는 현재 관아공원으로 조성되었다. 관아공원에는 충주읍성의 준공을 기념하고자 건립한 충주 축성 사적비가 있다.

[위치]

충주시 성내동 제2로터리에서 안림동 방향으로 150여m 가다가 삼거리에서 우체국방향으로 120여m 거리의 관아공원에 있다.

[현황]

관아 터에는 관아 건축인 청령헌제금당, 산고수청각(山高水淸閣)이 자리 잡고 있다. 청령헌은 조선시대 목조 기와집으로 정면 7칸, 측면 4칸 규모이다. 우측 3칸은 대청, 좌단 1칸은 전면과 후면에 툇마루를 둔 마루방이며, 대청 좌측 2칸은 전면과 후면에 툇마루를 둔 온돌방이다. 우단 1칸의 하부는 함실, 상부는 누마루로 되어 있다.

구조는 가공된 장대석으로 된 2단 기단 위에 원형의 주좌를 새긴 8각 주초석을 놓고 원형 기둥을 세워 이익공 양식의 공포를 구성하였다. 창방으로 결구된 기둥 사이에는 초각이 없는 화반을 각 1칸에 1구씩 배치하여 주심도리 장혀를 받치고 있다. 가구는 전후 평주 사이에 양내고주를 세워 대량과 퇴량을 짜 맞추고, 대량 상부에는 낮은 동자주를 놓고 종량을 받쳤으며, 종량 위에는 사다리꼴 대공을 설치한 7량집이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제금당은 정면 6칸, 측면 3칸 규모의 전퇴집이다. 중앙 2칸의 통칸을 대청, 우측 2칸은 온돌방과 마루방, 대청 좌측의 3칸은 2칸의 온돌방과 1칸의 마루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는 가공된 장대석으로 된 2단 기단 위에 방형 주초석을 놓고 원형 기둥을 세워 이익공 양식의 공포를 구성하였다.

창방으로 연결된 기둥 사이에는 맨 왼쪽 칸을 제외하고 1칸에 1구씩 화초 모양 장식이 있는 화반을 배치하여 주심도리 장혀를 받치고 있다. 가구는 전후 평주 사이에 양내고주를 세워 대량과 퇴량을 짜 맞추었는데, 대량 상부에 종량을 가구하지 않고 대량 상부 중앙에 직접 동자주형의 대공을 설치하여 종도리를 받친 특이한 가구 방식의 민도리 5량집이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수직청인 산고수청각제금당 뒤쪽에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이다. 중앙 2칸과 오른쪽 칸은 툇마루가 붙은 온돌방이고, 왼쪽 칸은 부엌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는 가공된 장대석으로 된 2단 기단 위에 화강암 사각 주초석을 놓고 외부에서는 원형 기둥을, 내부에는 민흘림 방형 기둥을 혼합하여 세우고 있다.

공포와 창방을 생략하고 전면 기둥 상부에만 장방형의 보아지만을 건물 내외 방향으로 붙여 퇴량을 받치고 있다. 가구는 전후 평주 사이에 내고주를 세워 대량과 퇴량을 연결하고, 대량 상부에 동자주를 세워 종량을 올리고 종량 위에 사다리꼴 대공을 설치하여 종도리를 받친 5량집이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의의와 평가]

지방 관아의 대표적인 건물인 청령헌은 권위 있고 변화 있는 입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온돌 구조가 특징적이다. 조선시대 초기 지방 행정의 정청인 제금당은 별관 건물로는 유일한 현존 건물이다. 수직청인 산고수청각은 간결한 형식을 보이고 있다. 관아 터에 동헌, 정청, 수직청만 남아 있어 관아 전체의 구성을 알지 못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관아 터와 관련하여 객사 등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위치는 알기 어렵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