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900589 |
---|---|
한자 | 可興里遺物散布地 |
영어의미역 | Archeological Site in Gaheung-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산포지 |
지역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 |
시대 | 선사/선사,고대/고대,고려/고려,조선/조선 |
집필자 | 길경택 |
성격 | 유물산포지 |
---|---|
소재지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에 있는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가흥리 유물산포지는 네 곳으로 나뉜다. 모두 가흥창이 있는 가흥삼거리에서 앙성을 지나 장호원쪽으로 가는 구국도 38호선의 오른쪽인 남한강과 연한 지역에 위치한다. 주변에는 가흥창지가 있다. 유물산포지①은 가흥리 570-2번지로 가흥리 신양식품과 한성수석 사이의 밭 일대이며, 유물산포지②는 가흥리 상가흥마을의 가흥새마을마을 뒤편 구릉 일원이다. 유물산포지③은 상가흥의 역말 북쪽 낮은 구릉 정상부에 있는 송신중계탑 남쪽 사면과 밭에 해당되며, 유물산포지④는 가흥초등학교 주변의 남한강가 충적대지상에 위치한다.
유물은 민무늬 토기 조각에서부터 조선시대 기와까지 다양하게 수습되었다. 이는 남한강을 따라 사람들이 계속해서 산 증거이며, 주변에 위치한 가흥창지와 연결되어 다양한 증거들이 노출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유물산포지①에서는 민무늬 토기 조각과 연질 타날문[두드림무늬] 토기 조각이 출토되었으며, 유물산포지②에서는 구릉이 단을 이루고 있는 정상부에서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이 발견되었다. 이는 가흥창과 관련된 건물 유구가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산포지③에서는 회청색 경질 토기 조각과 생선뼈무늬 기와 및 자기 조각이 100×100m 정도 범위로 산포되어 있었다. 유물산포지④에서는 가흥초등학교 주변 밭에서 간헐적으로 민무늬 토기 조각이 채집되었다. 이곳은 토기 조각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집터일 가능성이 있다.
가흥리 유물산포지는 강과 인접하여 주변 경관이 수려하며, 교통이 발달하여 개발이 용이한 곳이기도 하다. 주변에는 고미술상가가 조성되고 있어 유적지에 대한 무분별한 훼손이 우려된다. 유물이 산포하고 있는 지역은 집터나 고분 등 선사 유적의 존재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