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연기신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0806
한자 演機新編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47-5[중앙탑길 112-28] 충주박물관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현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병서
관련인물 이수일(李守一)[1554~1632]
저자 안명로(安命老)[1620~?]|홍석구(洪錫龜)[1621~1679]|김득신(金得臣)[1604~1684]
저술연도/일시 1660년연표보기
권수 3권
책수 3책
사용활자 목판본
가로 22.6㎝
세로 35㎝
표제 演機新篇
소장처 충주박물관
소장처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47-5[중앙탑길 112-28]지도보기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중기 안명로가 편찬한 병서.

[개설]

안명로(安命老)[1620~?]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650년(효종 1) 문과에 급제하였다. 양산군수·서천군수·장연부사·안동부사·봉상시정 등을 역임하였고,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변방에 유배되었다가 유배지에서 죽었다.

[편찬/발간경위]

1660년(현종 1) 진법(陣法)의 비조라 일컫는 풍후(風後)·악기(握奇)의 법에 따라 진법을 논하고, 여기에 척계광(戚繼光)의 병제를 개선하여 음양가(陰陽家)의 제법(諸法)을 덧붙여 『연기신편』 3권 3책을 엮었다. 1664년 안명로가 양산군수로 있을 때 『연기신편』을 조정에 보내어 병제의 개편을 요청하였으나 채택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후 다른 병서들과 함께 병사훈련에 중요한 지침서가 되었다.

[서지적 상황]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국립중앙도서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충무공 이수일 종중에서 보관되어 오던 것으로, 이수일이 직접 참고하였던 책이다.

[형태]

3권 3책의 목판본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보존되고 있다. 표제는 ‘연기신편(演機新篇)’으로 되어 있으나, 내제(內題)는 ‘연기신편(演機新編)’으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상권에는 1658년(효종 9) 홍석구(洪錫龜)[1621~1679]가 쓴 서문, 1659년 김득신(金得臣)[1604~1684]이 쓴 서문, 1660년 저자가 쓴 자서(自敍), 12개조의 범례(凡例)가 있다. 본문에는 구군팔진도설(九軍八陣圖說)·구군팔진방위지도(九軍八陣方位之圖)·구군팔문장교배열지도(九軍八門將校排列之圖) 등 39개 항목에 관한 도식과 해설이 있으며, 도설은 역대의 진설(陣說)을 연대순으로 밝히고 당·송 이래 제가의 병설에 잘못된 것을 주석하여 바로잡은 것이다.

중권은 군도(君道)·신도(臣道)·택장(擇將) 등 36개 항목을 여러 병서에서 뽑아내어 역사적 실례를 들어 해설하였다. 하권에서는 천문초(天文抄)에 이십팔수분야도수재상휴구결(二十八宿分野度數災祥休咎訣) 등 13개 항목, 태을보감초(太乙寶鑑抄)에 엄박관수길흉론(掩迫關囚吉凶論) 등 19개 항목, 둔갑기문초(遁甲奇門抄)에 11개 항목 등 43개 항목에 이르는 점(占)과 관련된 병가에서 사용되는 술수를 기록하였다. 말미에는 손자용병가(孫子用兵歌)·병가지리설(兵家地理說)·천시총론(天時總論)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출처가 충무공 이수일과 관련이 있으며, 책의 표지가 닳아 솜이 되도록 활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