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0620 |
---|---|
한자 | 頤齋續稿 |
영어음역 | Ijaesokgo |
영어의미역 | Collected Works of Ija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노석 |
[정의]
1842년 황서구(黃瑞九)가 고창 출신의 황윤석(黃胤錫)이 펴낸 『이재난고(頤齋亂藁)』에서 주요 내용을 뽑아내어 편찬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이재(頤齋) 황윤석[1729~1791]은 본래 『이재난고』라고 하여 일기 형태의 시문집을 남겼다. 1829년(순조 29) 황윤석의 후손 황수경(黃秀瓊)이 『이재난고』에서 시문을 발췌하여 당시 전라도관찰사 조인영(趙寅永)의 도움과 서문을 받아서 목판본 26권 13책으로 『이재유고(頤齋遺稿)』를 발간하였는데, 다시 황서구가 1843년에 황윤석의 일기에서 빠진 시문을 모아서 속집 14권 7책을 만들고 여기에 『이재유고』 12권 6책을 합하여 발간하였다. 『이재유고속(頤齋遺稿續)』은 신응조(申應朝)의 발문과 김노수(金魯洙)의 발[초간본인 『이재유고』에는 없음]을 붙여서 1943년 조선춘추사에서 중간한 것이다.
[서지적 상황]
본서의 저본은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이다.
[형태]
12권 6책[속집 14권 7책]의 석판본이다. 표제는 ‘이재선생유고속(頤齋先生遺稿續)’이다. 계선 형태는 이어진 계선이다.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다. 반곽 크기는 가로가 15.3㎝, 세로는 22.9㎝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30자, 주석은 쌍행(雙行)이다.
[구성/내용]
권1은 사(辭)·시(詩), 권2는 시, 권3은 시·악부(樂府)·서(書). 권4~5는 서(書), 권6은 서(序)·기(記)·제발(題跋), 권7은 제발·명(銘)·잠(箴)·찬(贊)·소(疏)·혼서(婚書)·상량문(上樑文)·축문(祝文)이 들어 있다. 권8은 애사(哀辭)·묘표(墓表)·묘지명(墓誌銘)·묘갈명(墓碣銘)·행장(行狀), 권9는 행장, 권10은 행장·유사(遺事)·전(傳), 권11은 전·잡저(雜著), 권12는 잡저로 되어 있다. 속집(續集) 권1은 사(辭)·부(賦)·시, 권2는 시·잡가(雜歌), 권3은 소(疏)·서(書), 권4는 서(序)·기(記)·제발(題跋)·잠(箴)·혼서(婚書)·전(箋), 권5는 상량문·제문·고축문(告祝文)·묘표(墓表)·묘지명·묘갈명·행장, 권6~9는 잡저(雜著), 권10~12는 만록(漫錄), 권13~14는 부록으로 되어 있다. 삽화가 들어 있다.
[의의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