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0870
한자 楊州崔氏
영어의미역 Yangju Choe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기도 안산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정진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지 안산시 상록구 사동
입향시기/연도 1500년 경
성씨시조 최억
입향시조 최혼

[정의]

최억을 시조로 하고 최혼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안산의 세거 성씨.

[개설]

안산의 양주최씨(楊州崔氏)는 입향조 독선당(獨善堂) 최혼(崔渾)이 무오사화의 혼란을 피해 안산 지역에 은신한 이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형성된 성씨이다.

[연원]

시조 최억(崔億)은 고려 공민왕 때 학행(學行)으로 양주군(楊州君)에 봉해지고 문경(文敬)이란 시호를 받았다.

[입향경위]

최혼연산군 때 무오사화로 정국이 혼란하자 몸을 숨기기 위해 안산 지역의 구포(鷗浦)[현 상록구 사동]에 은거하기 시작하였다. 최혼의 아들들은 벼슬과 명망이 높았는데, 둘째 아들 최홍도(崔弘渡)는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와 홍문관부제학에 올랐으며, 넷째 아들 최홍개(崔弘漑)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참전하였다가 순절하였으며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최홍개의 차남 최간(崔涆)은 최홍부(崔弘溥)의 장파(長派)로 입양되어 독선당 종가를 이었다. 최간의 아들 최정해(崔挺海)는 무과에 급제하여 고부군수와 병마절제사를 지냈으며 최정해의 손자 최여항(崔汝恒)은 안산에서 태어나 성장한 후 할아버지가 선정을 베푼 고부로 이주해 살면서 학문에 힘썼다. 최홍도의 아들 고산(孤山) 최준(崔浚)은 임진왜란 때 호성공신(扈聖功臣) 1등에 책록되어 장례원판결사를 지냈으며, 최홍주(崔弘澍)의 아들 최정(崔淨)은 음직으로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냈다.

최정의 둘째 아들 최정걸(崔挺傑)은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올랐으며 나이 50세에 병자호란을 만나 임금 이하 조정이 남한산성에 포위된 채 전전긍긍하여 항복하고자 할 때 단기로 적진에 뛰어들어 적의 머리 7급을 베고, 이튿날 또 참전하여 순국하였다. 사후에 임금이 손수 예장을 마련하고 병조참판으로 증직하였으며 정려(旌閭)를 내려 국공을 기렸다. 이때 안산 지역에 사패지를 내렸다하나 기록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최정걸의 후손들이 안산시 상록구 사동 일대에서 집성촌을 이루고 세거해 왔다.

[현황]

반월공업단지가 조성되고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가 들어서고 이어 시화방조제가 건설되면서 세거지는 사라지고 아파트와 새로운 주택지로 변모되었다.

[관련유적]

안산시 상록구 사동 감자골에 양주최씨 묘역(안산시 향토유적 제10호)과 최정걸 장군 묘(안산시 향토유적 제8호)가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최** 양주최씨 최고입니다. 2012.02.1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