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985 |
---|---|
한자 | 孝子姜麟壽旌閭 |
영어공식명칭 | Monument for Filial Son Kang In-su(Hyoja Kang In-su Jeongnyeo)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동화리 90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서정수 |
건립 시기/일시 | 1605년 - 효자 강인수 명정이 내려짐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12년 - 효자 강인수 정려 중수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46년 - 효자 강인수 정려 중수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62년 - 효자 강인수 정려 중수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93년 - 효자 강인수 정려 중수 |
현 소재지 | 효자 강인수 정려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동화리 907 |
성격 | 정려 |
양식 | 도리식 맞배지붕 |
정면 칸수 | 1칸 |
측면 칸수 | 1칸 |
소유자 | 강태영|진주강씨 봉암공파 종회 |
관리자 | 강태영|진주강씨 봉암공파 종회 |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동화리에 있는 효자 강인수의 조선 후기 정려.
[개설]
강인수(姜麟壽)는 송악면 동화리 일대에 오랫동안 세거해 온 진주강씨 집안의 인물이다. 조선 중기 중종 때 아버지 강감(姜瑊)과 어머니 전주이씨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미 어릴 때부터 예의가 바르고 효심이 깊어 마을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다. 강인수는 아버지가 병을 앓자 백방으로 다니며 좋은 약을 구해 간병하였다. 한겨울 어느 날 병환 중인 아버지가 수박이 먹고 싶다고 하자 천지신명께 간절히 기도하면서 사방을 헤매고 다닌 끝에 마른 수박덩굴에 수박이 하나 달려 있는 것을 찾아내서 그것을 갖다 아버지에게 드리니 병이 완쾌되었다. 그 뒤에도 지극정성으로 부모님을 봉양하였으며, 부모가 세상을 떠났을 때는 예를 갖추어 장례를 모시고 여막(廬幕)에서 시묘하며 삼년상을 치렀다.
강인수는 이런 효행으로 특별히 천거되어 선릉참봉의 관직을 받았으며 1605년(선조 38)에 효자 명정을 받고 통정대부에 추증되었다.
[위치]
효자 강인수 정려는 아산시 송악면 동화2리 서봉골마을 입구 길가에 자리하고 있다. 송악면 행정복지센터 앞에서 남서쪽으로 지방도 616호선[송악로]를 따라 가면 3.2㎞쯤 되는 지점의 왼쪽 길가의 정문거리 큰 느티나무 앞에 정려가 있다. 정려 남쪽에는 송악저수지[궁평저수지]가 있다.
[변천]
효자 강인수 정려의 명정 현판 앞면의 ‘후 5임자(後五壬子)’, 즉 1912년의 중수 기록이 있고 뒷면에는 1946년, 1962년, 1993년에 중수하였다고 적혀 있다.
[형태]
효자 강인수 정려는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맞배지붕의 도리식 건물이다. 방형의 기단 위에 원형의 주초석을 놓고 그 위에 원형의 기둥을 올려놓았다. 4면 벽에 홍살을 설치하면서 하방 아래는 비워 놓아 마치 초석 위에 건물을 얹어 놓은 것처럼 보인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천장은 연등천장이며, 양측면에는 바람과 비를 막기 위한 방풍판을 설치하였다. 한편 정려의 안쪽 중앙으로 명정 현판이 걸려 있는데, 내부 중앙 좌우에 별도의 가는 기둥을 초석 위에 세우고 현판을 걸어 놓은 점이 특징이다.
명정 현판에는 ‘효자 통정대부선릉참봉 강인수지려 선묘조 을사 명정 후오임자맹하 중수(孝子通政大夫宣陵參奉姜麟壽之閭宣廟朝乙巳命旌 後五壬子孟夏重修)’라고 쓰여 있다. 통정대부는 추증된 품계인데 통정대부 앞에 ‘증(贈)’ 자가 빠져 있다. 현판 후면에는 정려의 중수자들을 기록하였다.
[현황]
효자 강인수 정려는 저수지 쪽으로 약간 돌출한 언덕의 끝자락에 터를 잡고 남향으로 건립되어 있다. 지금의 도로에서 보면 뒷면이 보인다. 원래의 옛길은 1961년 준공된 궁평저수지로 들어가고 지금의 길은 그 당시 새로 개설한 것이기 때문이다. 밖의 한쪽 옆에 별도의 안내판을 세워 놓아서 보는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정려는 강인수의 12대손인 강태영 씨와 진주강씨 봉암공파 종회(宗會)에 의하여 관리·보존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효자 강인수 정려는 진주강씨 세거 지역에 세워진 효자 정려로서 집안의 자랑거리로 여겨지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정려와 정려각의 변천 과정을 엿볼 수 있는 특색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