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995
한자 烈女驪興閔氏旌閭
영어공식명칭 Monument for Virtuous Woman Yeoheung Minssi(Yeollyeo Yeoheung Minssi Jeongnyeo)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산44-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여송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조선 후기 - 열녀 여흥민씨 정려 건립
현 소재지 열녀 여흥민씨 정려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산44-1 지도보기
성격 정려
양식 겹처마 팔작지붕
정면 칸수 1칸
측면 칸수 1칸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에 있는 열녀 여흥민씨의 조선 후기 정려.

[개설]

열녀 여흥민씨(驪興閔氏)는 민흥기의 딸이며 장예원 판결사를 지낸 남양홍씨 홍우기(洪宇紀)의 부인이다. 홍우기의 아버지는 홍비(洪棐), 할아버지는 만전당(晩全堂) 홍가신(洪可臣), 외할아버지는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이다. 여흥민씨는 시부모와 남편을 정성껏 섬기며 살았는데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편 홍우기가 전쟁터에 나가게 되었다. 민씨는 홀로 시부모를 봉양하고 있었는데 이듬해인 1637년(인조 15) 초에 적들이 아산까지 침범하여 마을 사람들과 함께 온양의 깊은 산중으로 피신을 떠났다. 그러나 그곳도 오랑캐에 포위되어 그들에게 붙잡혀 욕을 당할 위기에 처하자 민씨는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말았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된 고을의 선비 윤복형(尹復亨)과 이지강(李之綱) 등이 상소하여 열녀 정려가 세워지게 되었다.

다만, 열녀 여흥민씨 정려가 건립된 정확한 연대는 확인되지 않는다. 추정의 근거가 되는 자료는 명정 현판에 기록된 ‘상지십삼년이월(上之十三年二月)’ 뿐이다. 간지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서 이때 ‘상’이 어느 왕인지 알 수 없다. 여흥민씨의 열녀 표창을 상소했다고 전해지는 윤복형은 선조~인조 대의 인물이지만 상소 후 언제 열녀 명정이 내려졌는지 알 수 없다. 병자호란 이후 13년 이상 재위한 왕은 현종, 숙종, 영조, 정조 외에도 고종까지 네 명이 더 있어서 쉽게 추정할 수는 없다.

[위치]

열녀 여흥민씨 정려아산시 인주면 해암리에 있다. 곡교천 하류 인근이다. 지방도 624호선[현대로]을 타고 가다가 인주면 해암리의 미진무지개아파트 앞에서 계속 북쪽으로 약 1㎞ 지점의 언덕 오르기 전 오른쪽 해암리 한자골로 100m 정도 들어가면 남쪽 들 건너편의 낮은 산 중턱에 있는 열녀 여흥민씨 정려가 보인다. 직접 가려면 동쪽으로 홍우기의 영당을 지나며 반원형으로 돌아가야 한다. 열녀 여흥민씨 정려에서 북동쪽 100m 지점에 여흥민씨의 남편인 홍우기의 영당이 있고 그 북동쪽 50m 지점에 홍우기 내외의 묘가 있다.

[형태]

열녀 여흥민씨 정려는 남서향 구릉 끄트머리쯤의 북서쪽 사면을 넓게 정지한 자리에 세워져 있다. 정면과 측면 모두 1칸 규모인 단칸 건물이다. 시멘트로 조성한 기단 위에 사각의 네 모서리만 죽여 팔각으로 만든 장주 초석을 세우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올렸다. 벽면은 전면 전체를 홍살을 설치하였고, 양 측면과 후면의 중방 윗부분은 홍살, 아랫부분은 붉은 벽돌로 벽체를 설치하였다. 가구는 초익공 계통이며 겹처마의 팔작지붕을 올렸다. 정려 내부에는 명정 현판이 걸려 있는데, ‘열녀 가선대부행장예원판결사홍우기처 증정부인여흥민씨지려 상지십삼년이월 일(烈女嘉善大夫行掌隸院判決事洪宇紀妻 贈貞夫人驪興閔氏之閭上之十三年二月 日)’이라고 쓰여 있다.

[의의와 평가]

열녀 여흥민씨 정려병자호란 등의 전란으로 백성들, 특히 여성들이 엄청난 수난과 고통을 겪는다는 사실을 재삼 확인할 수 있는 유적이다. 또한 수많은 정려 건립을 통해 전란과 사회 변화로 흔들리는 민심을 다잡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자 했던 조선 후기 사회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