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지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05
한자 金池庵
영어공식명칭 Geumjiam Temple
이칭/별칭 금지사(金池寺),금지암(金池菴)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월명산길 487[금지리 404-1]
시대 조선/조선,현대/현대
집필자 정선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수|중창 시기/일시 1871년 - 금지암 중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금지암 범종 봉안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금지암 임도 개설 및 전기 공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 금지암 절터 및 토지 회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 금지암 나한전과 산신각 신축 불사 및 산신각 단청 불사
현 소재지 금지암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월명산길 487[금지리 404-1]지도보기
성격 사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금지리 월명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의 말사.

[개설]

금지암(金池庵)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과 보령시 미산면 도흥리 경계에 있는 높이 544m의 월명산 정상 부근 남쪽 9부 능선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암자이다.

[건립 경위 및 변천]

절에 있는 우물에서 금리어(金鯉魚)가 나와서 ‘금지사(金池寺)’라 하였다는 설화가 있다. 그러나 금지암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인 『여지도서(輿地圖書)』와 신경준의 『가람고(伽藍考)』, 『범우고(梵宇攷)』 등에는 모두 ‘금지암(金地菴)’으로 되어 있다. 1871년 주지였던 대성(大成)이 홍산의 지현(知縣)인 정기화의 도움으로 재산을 모아서 건물들을 새롭게 고치고 절의 이름도 ‘금지암(金池庵, 金池菴)’이라 하였다. 1909~1929년에는 승려 1명이 판도방(判道房)에 해당하는 건물 1동에 관세음보살을 본존불로 모시고 있었다고 한다. 1927년 5월 21일 자 『매일신보』를 보면, 금지암은 오래된 사찰로서 경치가 좋고 특히 백운대 아래에 있는 자하천이라는 약수가 널리 알려져서 찾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금지암에서는 비교적 오래전에 발행 연도 및 편자 미상의 『연주시(聯珠詩)』 1책을 제작한 적도 있고, 1919년에는 아미타후불도와 칠성도를 제작하여 극락전에 봉안한 바 있다. 1999년 범종을 봉안하고 1999년 사찰에 이르는 임도 개설과 전기 공사를 마무리하였다. 또한 2000년에는 6·25 전쟁의 혼란기를 틈타 개인 재산으로 등록되었던 금지암 소유의 임야 약 13만 8843㎡[4만 2000여 평]와 절터 1,487㎡[450평]의 토지를 재판으로 회수하였고, 나한전과 산신각을 신축하였다. 그 뒤에는 다시 산신각의 단청 불사와 오백나한의 봉안을 이루었으며, ‘도진스님공적비’와 ‘오백나한조성연기문’을 조성하였다.

[활동 사항]

금지암은 새벽, 아침 10시, 저녁의 하루 3회 예불을 하고 있으며, 매달 초하루 및 보름에는 정기적으로 법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금지암에는 2022년 현재 극락전·나한전·산신각·요사채 등의 건물과 ‘도진스님 공적비’, ‘오백나한조성연기문’ 등 2기의 비, 노은당지홍종사의 부도 1기가 있다. 2015년 제작한 현판의 극락전 안에는 아미타불·대세지보살·관세음보살의 삼존불과 석조미륵반가사유상, 후불탱화 3점 등이 봉안되어 있다. 2022년 현재 금지암에 소속된 승려는 1명이다.

[관련 문화유산]

금지암 극락전에는 조선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석조미륵반가사유상이 있고, 벽면에는 경인(敬仁)과 성엽(性曄)이 1919년에 제작한 아미타후불도와 칠성도가 있다. 금지암에서 제작한 발행 연도 및 편자 미상의 『연주시』 1책의 필사본이 국립중앙도서관 춘호재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