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501967 |
---|---|
한자 | -主 |
이칭/별칭 | 토주,터줏대감,터주항아리,터줏가리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명진 |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집안의 터를 관장하는 신.
[개설]
천안 지역에서 터주는 재복과 집안의 터를 관장하는 가신(家神)을 지칭하며 토주·터줏대감·터주항아리·터줏가리라고도 불린다. 터주를 모시는 단지 안에는 벼를 넣고, 유두지[짚주저리]를 만들어 씌워 놓는다. 오늘날에는 이렇게 신체화하여 모시는 터주의 모습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하지만 별도의 신체가 없어도 장광[장독대]을 터주신이 좌정한 장소로 여겨 신성시하는 것은 여전하다.
[내용]
서북구 백석동 백석마을에서는 가을이 되면 농사를 지은 햇곡식을 단지 안에 넣으며, 이때 유두지도 새것으로 만들어 씌우고 헌것은 태운다. 햇곡식을 담은 후에는 동전을 세 개 올려놓기도 하였으며, 헌 유두지는 보관해 두었다가 가을떡을 할 때에 불을 지피는 데에 활용한다.
천안에서는 처음 수확한 벼를 ‘수지쌀’이라고 부른다. 서북구 성성동 영성리에서는 독 안에 넣은 벼는 한 해가 지나면 칠석 때 찧어서 밥을 하고 장광·방 등에 차려 정성을 올린다. 이때는 미역국을 함께 올린다.
집안의 가장이나 장손이 집을 떠나 있다든지, 또는 잘 풀리지 않는 어려운 일이 있을 때는 터주 앞의 장광에 맑은 물을 올려 빌기도 한다. 이때는 새벽 일찍 일어나 샘에서 물을 떠다 놓고 위한다. 그 물은 함부로 버리지 않으며 장광이나 부엌에 버린다.
대보름·유두·칠석 등의 시기에 터주를 위하고, 가을에 떡을 찔 때에도 위한다. 특히 가을에는 맑은 물과 함께 떡을 시루째로 올린다. 시루 안에는 쌀이 담긴 종지에 초를 꽂아 둔 불밝이쌀을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