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501995 |
---|---|
한자 | 三台里元堂-鶴溪山神祭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복 |
의례 장소 | 산제당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 2리 원당 뒷산 |
---|---|
성격 | 민간 의례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2월 초하루 |
신당/신체 | 산제당[제단] |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에서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본래 삼태리 원당·학계 산신제는 매년 정월 초이튿날에 학계와 원당, 이 두 마을이 공동으로 제를 지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2월 초하룻날로 날짜를 옮겼다. 때로는 마을에서 부정한 일이 있거나 제를 주관하는 주당(主堂)이 부정한 것을 보게 되면 예정된 산신제를 취소하고 다시 날을 잡는다.
산신제 1주일 전쯤에는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이 닿는 깨끗한 사람을 제관으로 선정한다. 주당은 제물을 준비하는 사람을 일컫는데 가족이 단출하고 나이가 지긋한 노인을 뽑는다. 예전에는 주당이 되면 사흘 전에 대문 앞에 왼새끼로 금줄을 치고 황토를 폈으나 근래에는 황토 몇 무더기만 양쪽에 놓는다. 주당은 사흘 동안 술과 담배, 비린 음식을 금하고 매일 목욕재계하며 치성을 드린다. 이때 주민들은 주당의 집에 절대로 들어갈 수 없으며, 주당 역시 대문 밖 출입을 하지 않는다.
제물은 산신제 당일 새벽에 장을 보는 것이 원칙이다. 이때 주당은 한번 들어간 가게에서 물건을 구매하되 값을 깎지 않고 주인이 부르는 대로 다 치러야 한다. 제물의 종류는 생물 돼지머리, 백설기, 삼색과실, 포, 술, 메 등인데, 술은 산신제 주당이 직접 담근 조라술을 사용하고, 메는 산제당의 물을 길어서 제의를 지내는 제장(祭場)에서 직접 짓는 것이 관례이다. 또한 돼지머리는 하루 전에 통돼지를 도살하여 머리는 희생으로 제상에 올린다.
[연원 및 변천]
삼태리의 원당·학계는 60여 호가 농사를 업으로 살아온 마을이다. 그 유래를 알 수 없지만 예로부터 두 마을에서는 공동체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내 왔다. 두 마을은 1980년대 후반에 산신제 제삿날을 2월 초하루로 옮기고 시간을 오전으로 앞당겼다. 그렇게 한 까닭은 해마다 2월 초하룻날에 마을에서 음식을 준비하여 잔치를 베풀고 풍물을 치며 하루를 노는 전통이 있었는데, 원당 마을과 학계 마을이 음복을 겸하여 화합의 자리를 벌였던 것이다. 이 전통과 산신제를 통합하고자 산신제 날짜를 옮기고 제의 시간도 오후에서 오전으로 앞당기게 되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산제당은 본래 마을에서 남쪽으로 1㎞가량 떨어진 태학산 기슭에 있었다. 형태는 당집이 아닌 자연 제당으로서 갓을 쓴 모양의 커다란 바위 밑에 제단이 마련되어 있었다. 그런데 산제당까지 거리가 너무 멀어 눈비가 내리면 제를 지내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다. 그리하여 1970년대 후반 또는 1980년대 초반에 마을 뒷산으로 제당을 옮기고 시멘트로 제단을 설치했다.
[절차]
제의는 오전에 거행된다. 당일 아침에 제물이 준비되면 주당과 축관은 산제당으로 올라가서 유교식 제례에 준하여 제를 지낸다. 그 순서는 분향(焚香)-강신(江神)-초헌(初獻)-독축(讀祝)-분축(焚祝)-첨작(添酌)-종헌(終獻)-사신(辭神)-소지(燒紙)의 순이다. 부정을 없애고 소원을 빌려고 흰 종이를 사르는 소지는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만동 소지(萬洞燒紙)를 먼저 올리고 나서 집집이 고사덕담으로 대주 소지(大主燒紙)를 올려 준다.
[부대 행사]
2월 초하룻날은 ‘머슴날’이라 하여 명절로 인식된다. 본격적인 농사철을 앞두고 마을에서는 푸짐하게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주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잔치를 베풀고 풍물놀이를 한다. 그리하여 정초에 지내던 산신제도 이날 2월 초하루로 옮겨서 제를 지내고 통돼지를 잡아 마을 잔치를 벌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