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미선나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0450
한자 尾扇-
영어의미역 White Forsythia
이칭/별칭 조선육도목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낙엽 활엽 관목|특산식물
학명 Abeliophyllum distichum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속씨식물문〉쌍떡잎식물강〉물푸레나무목〉물푸레나무과
원산지 한국
자생지역/재배지역 볕이 잘 드는 산기슭
높이 1m
개화기 3~4월
결실기 9~10월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에서 서식하는 쌍떡잎식물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활엽 관목.

[개설]

미선나무라는 이름은 열매 모양이 둥그스름한 부채[尾扇]를 닮았다 하여 붙여졌다. 미선나무는 대부분 흰색 꽃을 피우는데, 분홍색 꽃이 피는 것을 분홍미선나무(for.lilacinum), 상아색 꽃이 피는 것을 상아미선나무(for. eburneum), 꽃받침이 연한 녹색인 것을 푸른미선나무(for. viridicalycinum), 둥글게 피는 것을 둥근미선나무(var. rotundicarpum)라고 한다. 미선나무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미선나무 자생지는 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송덕리 산 58번지 소재 제147호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 산 144-2번지 소재 제220호 ‘괴산 추점리 미선나무 자생지’,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율지리 산 12번지 소재 제221호 ‘괴산 율지리 미선나무 자생지’,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매천리 산 4-4번지 소재 제364호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산 19-4번지 소재 제370호 ‘부안 미선나무 자생지’가 있다.

[형태]

높이는 1m 정도이다. 가지는 자줏빛이 돌고, 끝이 아래로 처지며 어린 가지는 네모 형태이다. 잎은 길이 3~8㎝, 너비 5~30㎜이며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 달걀 모양이다. 끝이 뾰족하고 아랫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2~5㎜로 매우 짧다. 꽃눈이 지난해에 형성되었다가 3~4월에 잎보다 먼저 개나리꽃 모양의 흰색 꽃이 수북하게 피어난다.

연분홍색 꽃이 달리는 경우도 있지만 흔하지 않다. 꽃향기가 매우 좋다. 꽃받침은 길이 3~3.5㎜이고 종 모양의 사각형으로 4개로 갈라졌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원형이다.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고 4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9~10월에 시과(翅果)를 맺으며, 길이 25㎜가량의 둥근 타원 모양이다. 끝이 오목하고 둘레에 날개가 있으며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생태]

미선나무는 종자와 꺾꽂이로 번식한다. 세계에서 한 종밖에 없는 한국 특산식물로, 햇볕이 잘 드는 산기슭에서 자생한다. 충주시에서는 앙성면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고 충청북도 괴산군과 진천군에서도 서식하고 있다. 미선나무의 자생 지역은 대부분 돌밭으로 척박한 곳이다.

[역사적 관련사항]

1917년 정태현 박사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미선나무를 처음 발견하였다. 1919년 일본인 학자 나카[中井] 박사가 새로운 종임을 확인하였고, 1924년 일본인 학자 이시토야 쓰토무[石戶谷勉]가 학계에 처음 보고했을 당시 Abeliophyllum distichum이라는 학명을 얻었다. 1997년 산림청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제173호, 1998년 환경부가 보호양생식물 제49호로 지정하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미선나무는 하얀색 꽃이 개나리꽃과 비슷하게 생겨 영어 이름이 흰색 개나리를 뜻하는 White Forsythia이다. 꽃향기가 은은하고 매혹적이어서 관상수나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