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덕한 인상의 조복천 이장을 처음 만난 곳은 미륵리 미륵가든이다. 미리 전화상으로 간략히 의도를 전달한 터이지만 만나자마자 협조를 해달라고 부탁을 드렸다. 의외로 선선히 협조를 해주신다고 한다. 무엇을 어떻게 해주면 되느냐고 오히려 물어 온다. 당황스러웠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겠다는 계획도 세우지 못하고 그저 이장을 만나서 협조나 얻어놓자 하는 안일한 생각이었기에 당황만 하다...
서울 토박이이며 한때는 노인을 위한 봉사단체인 은십자 운동본부의 사무국장과 본부장을 역임하셨다는 정무후 씨. 자신이 노인이 된다는 생각은 전혀 해보지도 않았는데 어느덧 자기가 노인네라며 껄껄 웃으시는 모습이 세련되면서도 중후한 멋을 풍긴다. 그의 고향은 두 군데라고 한다. 한 곳은 서울이고, 또 하나는 여기 미륵리라고 망설임없이 말한다. 2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서울에서...
‘새마을 사업 시대 때’ 라고 했다. 수안보면 미륵리 주민 지순태 씨는 새마을 사업 하던 시기를 그렇게 불렀다. “우리 마을은 상수도 문제를 … … 개울에서 물 퍼다 먹다가 힘이 너무 들어서 상수도를 놓기로 하고 …” 의외로 사투리도 별로 없고 음성도 차분하게 띄엄띄엄 말을 띠우면서 당시 상황을 말씀하셨다. ‘새마을 사업 시대’ 때 대원사 밑에 자리 잡고 수도사업을 하느라 필요한...
문경 주흘산 밑에서 18살 되던 해 섣달 초이렛날(음력 11월 10일) 시집을 오는데 엄청 눈이 많이 왔단다. 새색시가 가마를 타고 새재를 지나 야문(동화원과 지릅재를 연결하는 고개로 성문이 있다)을 거쳐 미륵리로 오는데 가마꾼들이 술에 취해 자꾸 가마를 메다 꽂았단다. 그래서 가마 밑구녁이 빠지기도 하여 배행(陪行: 떠나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따라 감)하는 아저씨가...
예전엔 ‘전수’ 삼을 짜서 옷을 해 입었다고 했다. 그러면 지금 삼베를 만들 수 있느냐는 말에 냉큼 ‘그까짓 것’ 하며 나선 홍남순 할머니. 조그만 체구에 얼굴에 주름은 가득하면서도 입가에 웃음이 걸려 있다. 시골 할머니의 정겨움이 그대로 담겨있는 모습이다. 약간 수줍어하면서도 자신있는 표정이다. “삼을요~삼꾸지 라고 있어요. 삼을 쪄서 묶어서 … 삼꾸지 라고 파구서는 돌멩이를 많...
“아, 나 못해. 할 말두 읎구 …” 토산품 공동판매장 할매집을 찾아 갔을 때 처음 보인 반응이다. 머리를 깨끗하게 뒤로 벗어 넘겨서인지 깔끔하면서도 인상이 강하다. 짐작했던 성격대로다. 누구 앞에서도 당당할 자세이다. 허나 조금 얘기를 나누다 보니 참 여리다. 마음이 곱다. 억지로 감추려다 보니 강해 보일 뿐이었다. 최재희 씨는 본래 안동이 본가란다. 자세한 얘기는 피...
자칭 살림살이는 그런대로 하는데 성격은 덜렁거린다는 노상심 씨. 점말 한옥마을에서 쑥 내려간, 방안이 어두운 집에서 살고 있다. 전혀 자신의 생활 모습에 주눅들지 않는 당당함이 몸에 배여 있다. 고생을 모르고 살아 온 아주머니처럼 첫 인상이 서글하면서도 웃음이 입가에 걸려 있는 모습이 천진스러웠다. 인상과는 달리 말은 괄괄하면서 활발하다. 1972년부터 1983년까지 미륵리 부녀회...
관광지에서 음식점을 경영하는 억척스러움이 보이지 않는다. 그저 곱상하기만 하고 여린 모습이다. 그럼에도 한겨울 손님이 없는 미륵가든을 닫지 않고 쉼 없이 움직이며 무언가를 한다. 서두름도 없고 요란스러움도 없이 그렇게 움직이며 미륵가든을 지키고 있었다. 약 20년 전에 ‘바깥 양반(정무후 씨)’의 사업체가 생기는 바람에 같이 들어 왔다가 눌러 앉았다는 이영숙 씨. 그 당시는 음식점...
미륵리 사람이 아니면서도 미륵리 사람 못지않게 애정을 갖고 있는 사람. 반현숙 씨. 2002년부터 7년째 미륵사지 한귀퉁이에 옹색하게 만든 안내소에서 자기의 갑갑함보다는 안내도의 오류가 안타깝고 찾아오는 이에게 안내책자가 줄 수 없어 미안하다며 쩔쩔매는 사람. 그녀는 오늘도 생활 한복을 곱게 입고 미륵사지를 찾는 이들에게 열심히 설명한다. 나이 쉰아홉이 어울리지 않게 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