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호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0500
한자 戶口
영어의미역 Number of Houses and Familie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헌주

[정의]

조선시대 호적대장에 기재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의 호와 인구 수.

[개설]

호구는 사전적 의미로 호적대장에 기재된 집과 식구의 수를 말한다. 호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국역 복무자와 공부(貢賦) 부담자를 확정짓고 대민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조선 정부에서는 정확한 호적대장을 마련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조선시대의 호적대장은 조선 정부가 국가정책 수행이라는 특정한 목적의식 아래 백성들을 파악하여 기록한 것이다. 국가가 백성들을 어떻게 파악하여 호적대장에 기록했는가에 대한 문제를 밝히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에 대한 견해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크게 자연호설(自然戶說)과 편호설(編戶說) 두 가지로 나뉜다.

자연호설은 조선 정부가 자연 상태의 호와 구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여 기록했기 때문에 호적에 기재된 호가 당시 사람들이 살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본다. 편호설(編戶說)은 조선 정부가 현실의 호구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여 호적대장에 기록한 것이 아니라 일정하게 편제하여 그 일부만을 파악한 것으로 본다. 최근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현의 호적대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편호설에 좀더 무게가 실려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록]

충주 호구의 개황을 보여주는 현존하는 최초의 기록은 1454년(단종 2)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이다. 『세종실록지리지』의 첫머리에는 “세종대왕윤회신장 등에게 명하여 주·군의 연혁을 고증하여 이 책을 지었으며, 임자년(1432)에 책자가 완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세종실록지리지』가 1432년(세종 14) 편찬된 『신찬팔도지리지(新撰八道地理志)』를 바탕으로 가감하고 정리하여 만든 것임을 말해준다.

이후 1632년(인조 10)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호서승람(湖西勝覽)』에는 구수(口數)가 없이 호수만 기록되어 있다. 또한 1759년(영조 35)의 호구 개황을 담은 『여지도서(輿地圖書)』, 1780년(정조 4)의 호구가 기록된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 1789년(정조 13) 간행된 『호구총수(戶口總數)』, 1871년(고종 8) 편찬된 『호서읍지(湖西邑誌)』 등이 충주의 호구 변동 상황을 전한다.

[변천]

충주의 호수는 1432년(세종 14) 1,871호, 1632년(인조 10) 3,495호였으나, 1759년(영조 35)에 최대 호수인 20,076호를 기록하였다. 이후 1780년(정조 4) 17,692호, 1789년(정조 13) 17,809호로 약간 줄어들다가 1871년(고종 8)에는 18,124호로 다시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충주의 인구 변천은 대체로 호수 변화와 맥을 같이 하고 있으나 약간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1432년 22,356명, 1632년 41,730명였으나, 최대 호수를 기록했던 1759년에는 107,693명으로 역시 최대 인구를 기록하였다. 이후 1780년 86,820명, 1789년 87,331명으로 감소되었다. 최대 인구를 기록했던 1759년에서 불과 21년 후인 1780년에 19.4%나 줄어든 것이다. 1871년에는 호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인구는 오히려 45,102명으로 줄어들어 1789년에 비해 55% 수준으로, 1759년의 최대 인구에 비할 때는 42.2%의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특징]

충주의 호구 변천은 두 가지 특징이 주목된다. 첫째, 1432년부터 1632년에 이르는 200년간 충주의 인구증가율이 충청도의 다른 군현에 비해 현격히 낮은 186%에 그친 점이다. 이는 127년 후인 1759년의 충주 인구가 107,693명으로 인구증가율이 258%에 달했던 점을 보더라도 지극히 낮은 수치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원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충주가 격전지로서 큰 희생을 치른 점과 1549년(명종 4) 발생한 이홍윤(李洪胤)의 옥사 등 정치적 사건이 충주에 끼친 영향을 들 수 있다.

둘째, 충주의 인구가 1759년까지 증가되었으나, 이후 감소 추세로 돌아서 1781년에 이르면 최대 인구를 기록한 1759년의 절반 이하로 줄어든 점이다. 이는 서울과 영남 지역을 연결하는 수륙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여 크게 번성했던 충주의 교통로상의 위상 변동과 관련된다.

인조반정 이후 점차 노론 일당 전제가 자리를 잡아가면서 영남 남인의 정치적 위상은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영남 선비들의 과거길로서 조령이 갖는 위상이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1747년(영조 23) 이후 부연무역(赴燕貿易)이 중단됨에 따라 종래 조령을 통해 유통되던 중일교역 물품들이 나가사키에서 직접 교역됨으로써 조령로의 역할이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육운의 쇠퇴와 함께 조선 전기 경상도 전 지역의 전세를 수납하여 운송하던 가흥창의 역할이 조선 후기 사회 변동과 함께 차츰 축소되었다. 정조대 이후에는 가흥창이 호서 6읍의 세곡만을 수송함에 따라 남한강 수운은 위축되었다.

조령을 통한 육로 운송과 남한강 수운을 매개로 번성했던 충주는 조령의 쇠퇴와 남한강 수운의 위축에 따라 쇠락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호구로 표현되는 인구도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이용자 의견
이** 뜻을 말해야지 딴걸 말하고 있어.
  • 답변
  • 디지털충주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로 쓴 다른 부분이 어디 쪽인지 적어주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04.1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