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902108 |
---|---|
한자 | 忠勳祠 |
영어음역 | Chunghunsa |
영어의미역 | Chunghunsa Shrine |
이칭/별칭 | 이수일 사당,충무공 사당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 202-1[석교길 19]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한정수 |
성격 | 사당 |
---|---|
양식 | 겹처마 맞배지붕 |
건립시기/연도 | 조선시대|1979년[중건]![]() |
관련인물 | 이수일 |
소재지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 202-1[석교길 19]![]() |
소유자 | 경주이씨 종중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당.
조선시대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공신들의 충절을 높이 사 이들의 관직을 추증하면서 시호를 내리고 사당을 짓도록 하였다. 더욱이 가문의식이 형성되면서 존조경종(尊祖敬宗)이 강화되어 묘소 인근에 많은 사당이 세워졌다.
1979년 충무공 이수일 장군을 제향하여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중건하였다.
충주에서 제천 방향으로 국도 19호선을 타고 신목행대교를 건넌 뒤 첫 번째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금가면 강변로를 탄다. 김생사지를 지나 오석초등학교를 지나면 충주 이수일 묘소와 충훈사가 나온다.
사당은 자연석으로 3단 축조한 기단을 두고 그 위에 남향하여 전면 3칸, 측면 2칸으로 구획한 뒤 전면에 반 칸의 전퇴를 만들고 각 칸에 4분합 띠살문을 달았으며 내부에는 우물마루를 깔고 위패를 두었다. 전체적으로는 5량집으로 겹처마 맞배지붕이며 단청을 하였다.
충훈사 경내에는 충훈사 사당과 함께 제향 준비를 위한 재실이 있다. 매년 10월에 후손들의 모임인 충무공회에서 추계제향을 올리고 있다.
임진왜란 및 북방에서의 야인 토벌, 이괄의 난 등에서 공을 세운 장군 이수일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서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등과 함께 충절의 고향인 충주시의 대표적 역사유적이자 교육의 장으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