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819 |
---|---|
한자 | 望美亭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산 111-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태성 |
건립 시기/일시 | 1646년 - 망미정 건립 |
---|---|
이전 시기/일시 | 1983년 - 망미정 동복댐 수몰로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산 111-1로 이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8년 1월 7일 - 망미정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37호로 지정 |
현 소재지 | 망미정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산 111-1 |
성격 | 누정 |
양식 | 단층 팔작지붕 골기와 건물|중재실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2칸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37호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에 있는 조선 후기 적송 정지준이 경영했던 누정.
[위치]
현재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산 111-1 앞산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적벽을 마주하는 강의 둔덕에 있었으나 동복댐이 들어서면서 수몰될 위기에 처하자 지금의 자리로 이건한 것이다.
[변천]
망미정(望美亭)은 정지준(丁之雋)[1592~1663]이 건립하였는데, 적벽 앞에서 적벽을 마주보고 있던 정자였기에 소식(蘇軾)의 「적벽부(赤壁賦)」에 우의(寓意)하여 지었다고 전해진다. 정지준의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호는 적송(赤松)이라 한다. 창랑(滄浪) 정암수(丁巖壽)[1534~?]의 손자이며, 우암 송시열의 제자이기도 하다. 인조 시대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하윤구, 김종지, 정호민과 함께 창의하여 청주성에 이르렀는데, 이때 화의(和議)가 이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는 통곡하며 귀향하여 이 누정을 짓고 은거하였다. 1983년 동복댐 수몰로 인하여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단층 팔작지붕 골기와 건물로 중재실을 갖춘 정면 3칸 측면 2칸의 누정이다.
[현황]
망미정을 둘러싼 적벽은 기묘사화로 인해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가 능주로 유배될 때 동복으로 함께 유배된 신재 최산두(崔山斗)[1483~1536]가 이곳을 처음 발견하면서, 소식의 「적벽부」에서 그 이름을 따와 ‘적벽’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특히 최산두가 이름 한 적벽을 장항적벽 혹은 망미적벽이라고 한다. 2008년 1월 7일 화순군 향토 문화유산 제37호로 지정되었다.
이 누정에는 충과 효 교육의 산실로 삼을 만한 이야기들이 전해온다. 정지준의 할아버지인 창랑 선생은 손가락을 잘라 피로 어머니를 봉양하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아들과 함께 고경명을 따라 금산에서 전투에 임하기도 하였다. 이때 아들 정유성[정지준의 아버지]이 순국하였다고 전한다.
정지준의 아내인 마씨 부인의 일화도 유명하다. “장군이 나라의 부름을 받고 전장에 나가 의로움을 발하고 있는데 어찌 아녀자가 따뜻한 방에서 잠을 청할 수 있겠는가.”라며 한겨울에도 멍석을 깔고 잠을 청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