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인문 지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019
한자 人文地理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포천시
집필자 이소희

[정의]

경기도 포천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인문 지리적 요소.

[개설]

경기도 포천시는 우리나라 북단에 위치하며 동서 방향 길이가 30.8㎞, 남북 방향 길이가 47.9㎞로 총면적 826.5㎢에 달하는 크기의 도시이다. 동쪽 및 동북쪽 방향으로는 현등산(懸燈山), 강씨봉(姜氏峰), 백운산(白雲山) 등이 위치하여 경기도 가평군(加平郡), 강원도 화천군(江原道 華川郡)과 경계를 이루고 있고 서쪽부터 남쪽으로는 천보산맥(天寶山脈)축석령(祝石嶺)을 경계로 하여 경기도 양주시, 의정부시와 접하고 있으며 서쪽부터 북쪽으로는 지장봉(地藏峰)과 명성산을 경계로 경기도 연천군, 강원도 철원군에 접하고 있다.

행정 구역은 소흘읍, 군내면, 내촌면, 가산면, 신북면, 창수면, 영중면, 일동면, 이동면, 영북면, 관인면, 화현면, 포천동, 선단동 등 1개 읍, 11개면, 2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구역은 이동면[112.96㎢]이며, 다음으로 신북면[95.85㎢], 일동면[83.32㎢] 순이다. 1개 읍과 2개 동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이 약 50%로 나머지 11개 면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과 거의 같다.

[명칭 유래]

고구려 시대에 경기도 포천 지역은 마홀(馬忽)이라 했는데, 마홀에 대해 「삼지연(三地硏)」에서는 물골[水地], 즉 ‘물이 많은 골[谷]’이란 뜻의 ‘몰골’을 음차(音借)한 것이라고 하였다. 골 마(馬)는 물의 옛말 ‘믈’ 또는 이것의 옛말 ‘매’를 음차한 것이고 홀(忽)은 ‘골’을 음차하여 썼다는 것이다. 통일 신라 시대 때에는 성을 튼튼하게 수축하고 공수(功守)의 거점으로 삼았다는 연유로 견성(堅城)이라고 명명했으며, 고려 시대 때에는 성종이 정한 별호로 청화(淸化)라고 하였다. 지금의 포천이라는 명칭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물이 없고 외부로 흘러 나가기만 한다고 하여 안을 포(抱), 내 천(川)으로 이름 지은 것이라 한다.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는 경기도 포천 지역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건치 연혁(建置沿革)]“본디 고구려의 마홀(馬忽)인데 일명 명지(命旨)라 하기도 한다. 신라 때에 견성군(堅城郡)이라 고쳤으며 고려 초기에 포주(抱州)라 하였고, 그 후 포천이라 개칭하여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목종(穆宗) 8년에 이를 파하였다. 현종(顯宗) 9년에 양주에 예속시켰고, 명종(明宗)이 양주를 분리하여 감무(監務)를 두었다. 본조(本朝) 태종(太宗) 13년에 현감으로 고쳐 만들었다. 관원(官員)은 현감, 훈도(訓導) 각 한 사람씩 두었다. 방리(坊里)로는 현내면(縣內面), 청량면(淸凉面), 화산면(花山面), 내동면(內洞面), 내북면(內北面), 외북면(外北面), 서면(西面)의 9개 면에 총 호수 2,494호이고, 위치는 동쪽으로 가평현의 경계까지 18리, 서쪽으로 양주 경계까지 30리, 남쪽으로 같은 주의 경계까지 36리, 북쪽으로 영평의 경계까지 26리, 경도(京都)까지의 거리가 97리이다.”

[변천]

1. 선사 시대

경기도 포천시 지역에 한민족이 정착한 것은 포천시 지역과 인접한 경기도 연천군에서 발굴 조사된 유적과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송리에서 발견된 선사 유적지를 근거로 보았을 때 구석기 시대부터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일동면 수입리, 창수면 추동리의 고인돌과 포천 종합 고등학교[현 포천일 고등학교] 부근에서 발견된 돌도끼와 돌화살촉 등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청동기 시대에는 이미 많은 인구가 거주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근거는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있는 중량이 약 32톤 가량 되는 고인돌 상석인데, 이 상석을 통나무와 밧줄을 이용해서 석실 위로 올려놓는데 약 200여 명의 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200여 명의 가용 인원을 동원할 수 있는 집단의 인구는 적어도 1,000명 정도 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일동면 수입리, 창수면 추동리의 고인돌을 중심으로 4개 집단이 분포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 삼국~통일 신라 시대

경기도 포천시가 고유의 지명을 얻게 된 때는 고구려 475년(장수왕 63)으로 추찰되고 있다. 475년에 고구려가 백제를 공략하여 한강 유역의 광범한 지역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포천 지역도 고구려에 속하게 되면서 비로소 고유의 지명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때 마홀군(馬忽郡)의 명칭이 생겨났으며 명지(命旨)라는 별호도 생겼다. 반월 성지(半月城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마홀(馬忽)이라 새겨진 기와장이 발견되어 이를 입증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이후 신라 진흥왕[540~576년] 때에 신라 땅이 되면서 견성군(堅城郡)으로 개칭되었으며 757년(경덕왕 16)에는 청성군(靑城郡)으로 바뀐 기록이 있다. 통일 신라 말기에 이르러 중앙의 권위가 땅에 떨어지고 각처에서 군웅이 할거했는데, 그 양상은 진성 여왕(眞聖女王) 즉위 후에 더욱 심해졌다. 당시 북원(北原)[지금의 원주(原州)]에 본거지를 둔 양길(梁吉)이 강원도, 경기도, 황해도를 지배하게 됨에 따라 경기도 포천 지역 또한 양길의 세력권에 들어갔다. 이어 궁예(弓裔)양길을 누르고 세력을 잡아 901년에 국호를 후고구려(後高句麗)라 하고 수도를 철원(鐵原)으로 정하면서 포천은 궁예와 고려 태조 왕건에 얽힌 유적 및 일화를 많이 가지게 된다.

3. 고려 시대

940년(태조 23)에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한 후에 경기도 포천 지역의 명칭을 포주(抱州)로 개칭했고 995년(성종 14)에는 십도제(十道制)를 채택하여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고 포천군이라 개칭하였다. 1005년(목종 8) 도단련사가 폐지된데 이어 1018년(현종 9)에는 양광도(楊廣道) 양주군(楊州郡)에 이속되었으며, 1172년(명종 2)에는 양주군에서 분리되어 감무(監務)를 두고 다스리는 형태로 변형되었다. 이후 200년 동안에는 큰 변동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4. 조선 시대

1413년(태종 13) 팔도제(八道制) 실시와 더불어 지명을 포천현(抱川縣)이라 하였고 현감(縣監)을 두었다. 1618년(광해군 10)에 포천 지역과 영평 지역을 합쳐 도호부(都護府)를 두고 감영(監營)을 설치하였다. 1623년(인조 1)에는 다시 포천현영평현으로 분리하고 양주진관(楊州鎭管)에 소속시켰다. 또한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에 따라 영평현포천현에 병합하면서 군(郡)으로 승격시켰으며 1896년(고종 33) 포천군에서 영평을 다시 분할하였다.

5. 일제 강점기~1950년

1910년 8월 일본의 강압적인 한일 국권 강탈로 일제 치하에 들어가고 1914년 영평을 다시 포천군에 통합하였다. 이후 1945년 8월에 일제의 패망으로 해방을 맞이했으나 미국과 소련 양군의 진주와 함께 3·8선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국토가 분단되면서 포천을 두 동강으로 분리되었다. 창수면·청산면·영중면·일동면 일부와 영북면·이동면은 소련 군정 하에 들어가고 포천군의 나머지 10개 면 67개 리는 미군정 치하에 있게 되었다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어 미군정으로부터 행정권을 이양과 함께 관할권을 넘겨받게 되었다.

6. 1950년 이후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포천군청은 한때 부산으로 피난했다가 9·28 수복으로 10월 14일 다시 복귀하였다고 한다. 이후 1951년 1월 4일 중공군의 침공으로 다시 철수하였다가 6월 24일 복귀했으나 청사가 전소되어 포천면 어룡리에 임시 청사를 두었다가 11월 14일 현 시청 소재지인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당시 포천군의 행정 구역은 10개 면 67개 리로 편성되어 있었다.

1951년 UN군의 북진으로 3·8선 이북 지역의 5개 면을 탈환 수복한 시점부터 행정권을 이양 받을 때까지는 군정 하에 북포천이라 하고 북포천군수를 두었다가 1954년 11월 17일 수복 지구 행정권 이양으로 12개 면 88개 리로 재편성되었다.

1963년 5월 10일에는 내촌면에 화현출장소를 설치했고, 1973년 7월 1일에는 행정 구역 개편으로 포천면 탑동리가 양주군 동두천읍으로 이속되었다. 1983년 2월 15일에는 대통령령 제11027호로 내촌면 화현출장소화현면으로 승격되었고 청산면[삼정리·갈월리·덕둔리·금동리 제외]이 연천군으로, 연천군 관인면이 포천군으로 편입되어 행정 구역은 13개 읍면과 89개 리로 재편성되었다.

[토지와 인구]

경기도 포천시의 토지 구성을 보면 임야가 차지하는 면적[2010년 기준, 약 566㎢]이 가장 넓고 그 다음으로 밭[2010년 기준, 약 80㎢], 논[2010년 기준 약 61㎢], 대지[2010년 기준 약 17㎢]의 순이다. 최근 30년[1981~2010년] 동안 포천시에서는 대지, 공장 용지, 제방, 목장 용지 등의 면적이 증가한 반면 농경지와 임야의 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2003년에 경기도 포천군이 경기도 포천시로 승격되면서 인구 증가와 함께 토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경기도 포천시는 47.5㎞의 거리로 서울특별시에 인접해 있지만 과거에는 군사 보호 구역 등 각종 관련 법규상의 규제로 인하여 이용 가능한 토지 면적이 적은 실정이었다.

2012년 12월 경기도 포천시의 인구는 총 15만 7559명으로 남성이 8만 2491명이고 여성이 7만 5068명이다. 2005년의 인구는 16만 2455명이었고 2010년의 인구는 16만 9050명이었다. 따라서 2005년에서 2010년 사이에는 인구가 약 6,500명 정도 증가했으나 2010년에서 2012년 사이에는 2005년 인구보다 더 적은 인구로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