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금당협 전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0489
한자 金堂峽戰鬪
영어의미역 Battle of Geumdanghyeop Gorg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김택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투
발생(시작)연도/일시 1253년 9월 9일연표보기
종결연도/일시 1253년 9월 9일연표보기
발생(시작)장소 금당협
관련인물/단체 최수(崔守)|야고(也古)

[정의]

1253년(고종 40) 9월 충청북도 충주시 금당협에서 고려군이 몽고군을 격파한 전투.

[개설]

금당협 전투는 1253년 몽고군의 제5차 침입 때 금당협 지역에 침입한 몽고군을 충주의 창정(倉正) 최수(崔守)가 매복하였다가 격퇴한 전투로, 충주산성 전투의 서전이라 할 수 있다. 금당협의 위치는 기록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촌상우차랑(村上友次郞)이 1015년에 쓴 『최근지충주(最近之忠州)』에는 충주시 북쪽의 동량면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1979년 청주대학교 박물관에서 펴낸 『중원군 미륵리 석굴 실측조사보고서』에서는 수안보면 미륵리 분지로 보고 있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주목(驪州牧) 산천조에는 “여주 동쪽 10리 원주 경계에 금당천(金堂川)이 있다”는 기록이 있어 금당협과의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으나, 아직 정설은 없다.

[역사적 배경]

13세기 초 북방의 강자로 등장한 몽고는 고려에 지나친 공물을 요구하였다. 1224년(고종 11) 11월 공물을 징발하기 위해 고려에 온 몽고 사자 저고여(著古與) 일행이 이듬해에 공물을 가지고 돌아가던 중 압록강을 건너면서 도적 떼에게 피살된 사건이 발생하였다. 몽고는 이 사건의 책임을 고려에 물으며 국교를 단절하고, 이것을 구실로 1231년(고종 18) 8월 고려를 침입하기 시작하여 1258년(고종 45) 강화를 맺을 때까지 여덟 차례에 걸쳐 전국을 유린하였다.

고려는 몽고와의 장기전을 계획하고 이듬해인 1232년(고종 19) 서울을 강화도로 옮기고 여러 지역에 사자를 보내어, 백성들에게 적이 침입하면 섬이나 산성으로 옮기도록 지시하였다. 그러자 강화도로 피신해 있던 고려 조정에 대해 몽고는 왕의 친조와 출륙을 요구하며 1247년(고종 34) 제4차 침입을 감행하여 고려를 유린하던 중, 1248년 몽고의 정종(定宗)이 죽자 황급히 철수하였다. 3년여에 걸친 황위 계승 분규 끝에 즉위한 몽고의 헌종(憲宗)은 고려에 즉위를 통고함과 아울러 고려 왕의 친조와 출륙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1252년(고종 39) 1월 고려는 이현(李峴)을 몽고에 보내어 6월에 왕이 출륙한다는 임시변통의 약속을 전달하였다. 그러나 당시 집권자인 최항(崔沆)이 반대하여 약속이 이루어지지 않자 몽고는 1253년 제5차 출병을 단행하였다. 야굴(也窟)[또는 也古]이 이끄는 제5차 몽고 침략군이 왕의 친조와 출륙을 요구하며 남하하면서 공격해 오자 고려 관군은 몽고군의 충주 공격을 저지하고, 몽고군에 잡힌 포로를 구하기 위하여 금당협에 매복하였다.

[경과]

1253년 9월 9일 충주의 창정 최수는 금당협에 병사를 매복하였다가 이곳을 지나는 몽고군을 졸지에 공격하여 몽고군 15명의 머리를 베고 무기를 빼앗았으며, 포로가 되었던 남녀 200여 명을 구출하였다.

[결과]

금당협 전투를 승리로 이끈 공로로 최수는 대정(隊正)으로 승진하였다. 금당협 전투에서 패한 몽고군은 그 해 10월 충주산성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11월에 이르러 몽고군 수장 야굴은 충주에서 병을 얻어 아모간(阿母侃)과 고려인 홍복원(洪福源)에게 충주산성 공격을 맡긴 뒤 1,000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몽고로 돌아갔다. 이때 충주산성에는 몽고의 제2차 침입 때 처인성에서 적장 살리타[撒禮塔]를 사살한 김윤후(金允侯)가 충주산성 방호별감을 맡아 방어하고 있었다.

[의의와 평가]

금당협 전투의 승리는 몽고의 제5차 침입으로 전 국토가 유린되던 시기에 올린 성과로, 이어 벌어진 충주산성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1253년 12월 6일 고종이 신묘(神廟)에 올린 제문에서도 월악대왕(月岳大王)의 도움이 있었음을 강조하며, 충주의 승리로 전국이 유린되는 것을 막았음을 밝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