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충주성 공방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0537
한자 忠州城攻防
영어의미역 Chungjuseong Fortress Offense and Defens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 232-2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헌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투
발생(시작)연도/일시 1896년 2월 16일연표보기
종결연도/일시 1896년 3월 5일연표보기
발생(시작)장소 충주성
관련인물/단체 유인석(柳麟錫)[1842~1915]|이춘영(李春永)[1869~1896]|김백선(金伯善)[1873~1896]|주용규(朱庸奎)[1845~1896]|김규식(金奎軾)[1838~1896]|홍대석|정익

[정의]

1896년 충주성에서 제천 의병과 관군·일본군 사이에 있었던 전투.

[역사적 배경]

1894년 6월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을 국가의 존망이 걸린 위기로 인식한 유생들은 관군과 일본군에 맞서 의병을 일으키고 반침략 운동과 반개화 운동을 전개하였다. 조선에 대한 일본의 침략은 1895년 8월 20일 을미사변을 도발하면서 한층 노골적으로 진행되었다. 국모 시해에 항거하여 ‘국수보복(國讐報復)’을 기치로 재차 일어난 항일 의병은 1895년 말 단발령이 공포되자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갔다. 전기 의병을 대표하는 제천 의병도 바로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일어나게 되었다.

제천 의병이 충주를 공격 목표로 삼은 것은 중부권 20개 군을 관할하는 관찰부로서 정치적 의미가 컸을 뿐 아니라 서울로 진격하기 위한 거점이 될 수도 있었고, 부산과 서울을 잇는 일본군의 통신선을 차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경과]

충주성 공격에 앞서 제천 의병은 의병 활동에 비협조적이었던 단양군수 권숙(權潚)과 청풍군수 서상기(徐相耆) 등을 처형함으로써 군기를 세우고, 충주성의 내부 사정을 탐지하는 데 힘을 쏟았다. 아울러 경병 400명, 일본군 200명, 지방대 500명 등 총 1,000여 명의 충주성 수비 병력 중 지방대 두령들의 내응을 확보하는 사전 준비를 하였다. 또한 별동부대를 먼저 청풍가도로 은밀히 진군하도록 한 후, 마침내 2월 16일 주력부대가 제천을 떠나 충주로 향했다.

2월 17일 북창나루를 건넌 수천 명의 주력부대가 기습적으로 북쪽에서 밀려들었고 동남 방향에서 별동부대가 협공하였다. 의병의 기세에 놀란 관찰사 김규식(金奎軾)이 가흥 주둔 일본군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의병 부대는 지방대 두령들의 내응으로 활짝 열린 북문으로 들어가 저녁 무렵에는 충주성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충주성에 입성한 제천 의병은 관찰사 김규식을 잡아 처단하는 한편, 안동 의병과의 연합 작전을 통해 충주부를 중심으로 중부 지역 일대를 장악하는 큰 세력을 형성하였다.

[결과]

수안보와 가흥의 병참 기지에서 부대를 증원받은 일본군과 관군의 충주성 탈환 작전은 2월 18일부터 시작되었다. 의병진에서는 일본군이 충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강과 달천을 경계로 수비망을 구축하고, 홍대석(洪大錫)·정익(鄭瀷) 등을 보내 쇠꼬지·탄금대·단월 등 아홉 곳을 굳게 지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일본군과 관군을 동시에 상대하여 충주성을 지켜 내는 일에 승산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지도부에서는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일본군의 병참선과 통신선을 끊어야 한다는 중군 이춘영(李春永)의 건의를 채택하여 수안보 공격에 나섰지만 이춘영의 전사로 실패하였고, 3월 2일에는 남문루에 올라 전투를 독려하던 참모 주용규(朱庸奎)가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제천 의병은 충주성 점령 이후 15일 동안 일본군과 관군의 공격에 맞서 용감히 싸웠지만 점차 증강되는 관군과 일본군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마침내 3월 5일 제천 의병은 충주성 동문을 빠져나와 마치(馬峙)를 넘어 청풍을 거쳐 제천으로 후퇴하였다.

[의의와 평가]

제천 의병은 충주성 점령 후 안동 의병과 연합하여 충주를 중심으로 중부 지역을 장악하는 등 큰 전과를 올렸다. 하지만 가흥과 수안보 주둔 일본군을 격파하고 세력을 확대하려던 계획은 실패하고, 거꾸로 일본군의 역공에 밀려 충주를 내주고 제천으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제천 의병은 5월 25일 제천 남산 전투에서 패할 때까지 제천을 중심으로 3개월 가까이 항전했지만, 충주성을 포기하고 제천으로 물러나 수성(守城)으로 전환하면서 이미 패배는 예견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