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 안림동
-
충청북도 충주시 안림동에서 마지막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주시 안림동에 있는 계명산과 남산이 연결되는 지점에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를 일러 마지막재라고 한다. 사형수가 호송되는 길목으로 ‘이 고개를 넘으면 살아오지 못한다’ 하여 ‘마지막재’라 부르게 되었다. 1981년 충주시에서 간행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에 「마음 고치는 마스막재」라는 제목으...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채광한 맥반석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 맥반석이란 중생대 말기부터 신생대 초기(7000만 년 전~5000만 년 전) 화산 활동에 의해 분출 용해되어 오랜 세월 풍화작용을 거쳐 점토화된 하얀 반점과 석영의 결정이 고르게 섞여 생성된 자연석을 말한다. 주성분은 무수규산(SiO₂)과 산화알미늄(Al₂O₃)이다. 그리고 인체 및 살아 있는 세포에 꼭 필요한...
-
조선시대 충청북도 충주시에 분포하는 불과 연기를 이용한 통신 수단과 시설. 봉수는 가락국의 수로왕 설화에서 보이듯이 삼국시대부터 실시되었으며, 고려시대 1149년(의종 3) 조진약(曺晋若)의 건의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정비되었다. 조선시대 세종대에는 봉수대 시설, 봉군(烽軍)의 신분, 봉화 홰(炬)의 수를 다시 정하고, 봉수의 노선을 구분하여 봉수제도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1894년...
-
충청북도 충주 지역 특산품인 사과를 이용하여 만든 가공식품. 100년의 역사를 지닌 충주 지역에서 생산되는 사과는 맛과 향이 뛰어나고 과육이 단단한 것이 특징이다. 이 같은 고품질의 충주사과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가공식품이 100여 종에 이른다. 충주사과를 이용한 가공식품은 1996년부터 만들기 시작하였다. 건국내츄럴 F&B·푸른들식품·새힘식품·충주한과·두레촌·중원양조·웰...
-
충청북도 충주시 종민동에 있는 조선시대 봉수대. 심항산 봉수는 충주호변에 위치한 심항산 정상부에 축조된 봉수로 『세종실록(世宗實錄)』에 따르면 동쪽으로 청풍의 오현(吾峴)과 응하고 서쪽으로 마산과 통하였다. 봉수대에는 별장 1명, 감관 5명, 봉군 100명 등 마산봉수와 같은 규모의 봉군이 속해 있었다. 심항산 봉수가 있는 심항산은 오성산, 계족산,...
-
충청북도 충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안림동은 안심리(安心里)·범의동(凡衣洞)·어림리(御林里)·교동(校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생겨난 마을로 그 이름도 안심리와 어림리의 지명을 따서 안림동이라 했다. 안심리는 안림리에서 중심이 되는 마을로 예부터 피난지로 안전한 곳이라 하여 안심이라 불리었다. 어림리는 백제 문주왕이 가행궁을 짓고 있던 솔밭이란 뜻으로 지은 마을 이...
-
충청북도 충주시 안림동에서 어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주시 안림동에는 ‘대궐터’라고 불리는 어림마을이 있다. 백제 문주왕이 이곳에 왕도를 정하고 공사를 할 때 솔밭에다 가행궁을 설치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곳을 어림(御林)이라 하였고, 그 후 마을 이름을 어림이라 부르게 되었다. 1959년 중원군청에서 간행한『예성춘추』에 수록되어 있다. 1981년...
-
충청북도 충주시 안림동에서 염바다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주시 안림동과 현재 충주성남초등학교가 있는 교현동 부근 일대를 ‘염바다들’이라고 한다. 「염바다들 유래」는 이곳과 관련한 지명전설이자 괴물퇴치담이다. 1982년 충청북도에서 간행한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으며, 1959년 중원군에서 간행한 『예성춘추』에도 실려 있다. 한편 1981년 충주시...
-
고려의 대몽항쟁은 1231년(고종 18)부터 1273년(원종 14) 삼별초군의 패망에 이르는 40여 년이란 장구한 기간 동안 전개되었다. 1225년(고종 12) 몽고 사신 저고여(著古與)의 피살 사건을 계기로 국교가 단절된 뒤, 몽고는 1231년(고종 18) 조공 거절 및 저고여 피살에 대한 보복으로 고려에 대한 제1차 침입을 필두로 1254년까지 8차에 걸쳐 한반도 전...
-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생산되는 과일. 사과는 둥근 모양으로 지름이 5~10㎝이며 빛깔은 붉거나 노란색을 띠고 있다. 원산지는 남·북반구 온대지역이며 2,000년 전부터 여러 품종을 재배해 오고 있다 대표적인 생산국은 미국·중국·프랑스·이탈리아·터키 등이며, 한국에서는 재래종인 능금을 재배해 왔다. 홍만선의 『산림경제』에 재배법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 초에 많이...
-
충청북도 충주시 안림동과 종민동의 경계에 돌로 막아 쌓은 조선시대 영액(嶺阨). 충주영액은 충주로 넘어오는 교통로인 심항현(心項峴)[일명 마즈막재]를 차단하기 위해 석축으로 쌓은 영액이다. 충주영액의 건립과 관련한 기록이 전해지지 않고 아직까지 체계적인 학술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축성경위를 알 수는 없지만, 충주 동쪽 방면의 주요 교통로를 막아 방어...
-
충청북도 충주시 풍동에 있는 가축시장. 우리나라의 주요 가축은 소이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우시장 제도가 발달하여 일반 시장과 마찬가지로 전국 각지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우시장은 전문적으로 특설된 것은 거의 없고 일반 시장의 부설로서 일반 시장에서 좀 떨어진 다른 장소에 개설된 것으로 보인다. 보통 우시장은 소를 사고파는 시장으로 쇠전, 쇠장, 소시장이라고...
-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에 있는 충청북도 축산위생연구소 산하 충주 지소. 가축 질병의 연구와 축산물의 안전성 검사를 통하여 충청북도 북부 지역의 축산업 발전과 축산물 소비자의 보건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1973년 10월 15일 충청북도 가축보건소 북부지소로 충주시 안림동에서 개소하였다. 1983년 12월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충청북도 가축위생시험소 북부지소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