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281
한자 鍾谷里長丞祭
영어공식명칭 Rite to the Village Guardian Pole of Jonggok-ri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종곡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미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종곡리 장승제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종곡리 지도보기
성격 민간신앙
의례 시기/일시 정월 열나흗날
신당/신체 장승[신체]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종곡리에서 매년 정월 열나흘날에 마을의 장승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정월대보름 전날,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종곡리 마을 사람들은 마을의 수호신인 장승에게 마을 바깥에서 들어오는 재액을 막아 달라고 정성을 다해 제사를 지낸다. 장승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오랜 세월 마을 입구나 길 위에 세워졌는데, 마을 사람들에게 닥칠 수 있는 온갖 불운과 재액을 막아 주는 역할을 했다.

[연원 및 변천]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종곡리 장승제는 마을 형성 즈음부터 산신제와 같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종곡리 마을 사람들은 10여 년 전만 해도 매년 장승을 세웠다. 장승은 소나무로 만들었는데, 20여 년 전부터는 느티나무로 깎아 세운다. 남장승에는 ‘동방청제축귀대장군(東方靑帝逐鬼大將軍)’, 여장승에게는 ‘서방적제축귀여장군(東方赤帝逐鬼女將軍)’이라고 썼는데, 2004년부터는 ‘축귀(逐鬼)’가 빠졌고, 2011년부터는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으로만 썼다.

[신당/신체의 형태]

장승의 신체(神體)는 소나무로 만든다. 당일 아침 산에 올라 지름이 한 뼘 갓 넘은 나무를 베어 온다. 남장승으로 쓰는 소나무는 양지에서 자란 나무로, 여장승은 음지에서 자란 나무를 골라 사용한다. 장승은 제주(祭主) 집 앞에서 깎는다. 소나무의 껍질을 벗겨내고 형상대로 엇비슷하게 깎은 뒤에 먹물로 그린다. 남장승은 사모의 양 날개를 만들어 끼울 홈도 판다. 20여 년 전부터는 장승의 신체를 느티나무로 깎아 세운다.

[절차]

종곡리 장승제의 장승은 마을의 수호신이므로, 마을 사람 모두가 마음을 모아 함께 만들어 세운다. 종곡리 마을 사람들은 굵지 않은 소나무로 소박하게 장승을 세웠으나, 20여 년 전부터는 느티나무로 세우기 시작했다. 정월 열나흗날 오후에 완성해 장승거리로 메고 가서 느티나무에 기대어 놓고 장승제를 지낸다.

[현황]

아산시 송악면 종곡리에서는 2003년부터 윗말과 아랫말이 동제를 통합하여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