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1494
한자 廣德寺
이칭/별칭 태화산 광덕사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황서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수|중창 시기/일시 832년 - 광덕사 중창
중수|중창 시기/일시 1334년 - 광덕사 삼중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592년 - 광덕사 전소
중수|중창 시기/일시 1872년 - 광덕사 중창
중수|중창 시기/일시 1974년~1984년 - 광덕사 개축 시작/종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12월 - 천불전 전소
현 소재지 광덕사 -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40 지도보기
성격 사찰
전화 041-567-0050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광덕사(廣德寺)는 ‘태화산 광덕사’로도 불린다. 백제 시기 사찰로 추정되는데, 신라의 자장(慈藏) 율사가 당(唐)에서 수행을 마치고 634년에 귀국할 때 진신 사리 10과, 법의, 화엄경, 불치(不齒) 등 많은 불구(佛具)를 가지고 와 광덕사에 전해 주었다. 그 후 832년(신라 흥덕왕 7)에 진산(珍山) 화상이 중창하였다. 광덕사의 사적기에 따르면, 개창하던 당시에 금당 9, 종루 8, 범각 2층, 법전 3층, 동남방에 천불전, 그 곁에 만장각 80여 칸, 북에는 환희암, 동에는 은수암·수월암, 서쪽에는 문수대 아래 한산사, 또 대상(臺上)에는 보현암·영선암·금선암·사자암·하선암·선정암·봉두암·영수암 등 89개의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충청도와 경기 일대의 가장 큰 사찰이었으며, 총 본사였다고 한다.

그 후 1334년(고려 충혜왕 5)에 삼중창(三重創)을 하였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전소된 것을 1598년(선조 31)에 승려 희묵(熙默)이 법당을 복원하였으며, 1665년(효종 6)에 석심(釋心) 화상이 불상을 재조하였다. 1872년 4월 초에 중창된 것을 1974년부터 1984년까지 승려 지공 철웅이 11년간의 개축 불사를 하였다.

1998년 12월 고색이 창연한 천불전이 소실되어 2009년 9월에 복원하였다.

[활동 사항]

광덕사에서는 매일 사시에 예불을 올리고 있으며, 법회와 불사 등 일반적인 포교 활동 외에 명산대찰을 순회하는 성지 순례와 신도들의 영구 위패 보존, 각종 제례 등도 행하고 있다. 광덕사에서는 또한 성가대와 다도회 등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불교 행사를 벌이고 있으며, 탬플스테이도 시행하여 더 많은 이들에게 불교의 도를 전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광덕사에는 일주문, 보화루, 대웅전, 범종각, 적선당, 육화당, 고경당, 은적당, 명부전, 산신각, 천불전, 자광당 등의 건물이 있다. 2012년 현재 광덕사의 종사원은 큰 스님 1명, 주지 스님 1명, 기도 스님 1명, 그리고 종무소사무장 1명, 법당 보살 1명, 공양주 보살 1명, 보조 1등 7명이 종사하고 있다. 광덕사천안역이나 천안 시외버스 터미널·고속버스 터미널 등에서 모두 광덕사행 버스를 탈 수 있어 접근이 용이하다.

[관련 문화재]

광덕사와 관련된 유물과 유적으로는 국가 지정 문화재 보물 9점, 천연 기념물 1점, 충청남도 유형 문화재 3점, 문화재 자료 4점 등이다.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天安廣德寺高麗寫經)[보물]은 『감지 은니 묘법 연화경』 권2,3,4,5와 『상지 은니 묘법 연화경』 권4, 그리고 또다른 『상지 은니 묘법 연화경』 권4의 6첩이다. 이 고려 사경들은 모두 서울시 종로구 소재 불교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천안 광덕사 감역교지(天安廣德寺減役敎旨)[보물]는 1457년(세조 3) 광덕사 잡역을 경감하라는 내용의 교지이며,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天安廣德寺朝鮮寫經)[보물]은 3종 7첩의 조선시대 사경이다.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백지 묵서 부모 은중경 및 불설 장수 감죄 제동자 다라니경(天安 廣德寺 朝鮮寫經-白紙墨書父母恩重經 및 佛說長壽減罪諸重子陀羅尼經),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 5, 6 ,7 (天安 廣德寺 朝鮮寫經-白紙墨書 妙法蓮華經卷一, 三, 五, 六, 七),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백지묵서불설장수멸죄제동자다라니경 및 대승기신론 (天安 廣德寺 朝鮮寫經-白紙墨書佛說長壽滅罪諸童子陀羅尼經 및 大乘起信論)이 각각 지정되어 있다.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탱(廣德寺盧舍那佛掛佛幀)[보물]은 조선시대 법회 때 쓰인 괘불이다. 이들은 모두 광덕사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유형 문화재로는 광덕사부도광덕사삼층석탑, 천안광덕사삼세불도(天安廣德寺三世佛圖)가 있다. 광덕사부도대웅전에서 북쪽으로 약 150m 떨어진 산기슭에 청상당 부도, 적조당 부도, 우암당 부도, 무명 부도의 4기가 있다. 삼층 석탑은 고려 전기 것으로 추정하며, 천안광덕사삼세불도(天安廣德寺三世佛圖)는 1744년에 조성된 것으로 1991년 약사회상도가 분실되어 현재 영산회상도와 아미타회상도만 남아 있다.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로는 광덕사 대웅전, 광덕사 천불전, 광덕사 석사자, 진산화상의 사리를 모신 광덕사부도가 있다.

이 외 천연 기념물로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는 1290년(고려 충렬왕 16) 유청신이 원에서 가져와 심었다는 전설이 있다.

[관련 문물]

문화재로 지정된 것 외에도 광덕사에는 조선조 문종, 세조, 성종, 인종, 명종, 선조, 광해군, 효종, 헌종, 숙종, 경종 등 열한 명의 왕이 쓴 『열성어필』 1권의 책이 전하고 있다. 또한 1558년에 광덕사에서 발간된 목판본 『금강경』이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같은 해에 두 번째로 발간된 『초발심자경문』이 광덕사에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지** '천안 광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天安 廣德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2019.01.30.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44호' 지정된 내용도 추가해주세요.
참고: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답변
  • 관련 내용은 향후 수정증보 사업을 통해 반영하겠습니다.
2020.09.1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