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376
한자 德水李氏墓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78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은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67년 - 이합 묘갈 건립
현 소재지 덕수이씨 묘역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78|방학동 산69-1|방학동 69-15(N37° 39′ 46.4245″, E127° 01′ 07.6411″) 외지도보기
성격 묘역
관련 인물 이원우|이필(李泌)[1538~1592]|능성 구씨(綾成具氏)|이합(李柙)[1624~1680]|전주 최씨(全州崔氏)|이집(李㙫)[1664~1733]|풍산 홍씨(豊山洪氏)|이주진(李周鎭)[1692~1749]|이은(李溵)[1722~1781]
소유자 덕수이씨 종중
관리자 덕수이씨 종중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필 등을 중심으로 집장된 덕수 이씨의 묘역.

[개설]

덕수이씨 묘역(德水李氏墓域)은 크게 제1묘역과 제2묘역으로 나뉜다. 제1묘역에는 증 동중추( 贈同中樞) 이원우(李元祐)와 아들인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이필(李泌)[1538~1592], 이필의 손자인 이합(李柙)[1624~1680]의 두 번째 부인인 증 정경부인(貞敬夫人) 전주 최씨(全州崔氏), 이합의 손자인 이집(李㙫)[1664~1733]의 첫 번째 부인인 증 정경부인 풍산 홍씨(豊山洪氏) 등의 묘가 있다. 제2묘역에는 이필의 손자인 이합, 이집의 아들인 이조 판서 이주진(李周鎭)[1692~1749], 이주진의 아들인 좌의정 이은(李溵)[1722~1781] 등의 묘가 모여 있다.

[위치]

덕수이씨 제1묘역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78번지에 소재한다. 우이 계곡에서 방학로를 따라 고갯길을 넘어서면 도로 왼쪽에 천주교 공원묘지가 있는데, 그 맞은편 구릉에 위치하고 있다. 덕수이씨 제2묘역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9-1번지와 69-15번지에 산재하여 있다. 천주교 혜화동 교회 방학동 묘원 입구이다.

[변천]

이 지역은 원래 연산군의 부마였던 능성 구씨구엄(具渰)의 토지였으나 그 외동딸에게 장가든 이필에게 상속되었고, 이 토지에 현재와 같이 묘역을 조성하게 되었다. 덕수이씨 묘역은 16세기 이후 19세기까지 원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묘역 내에 새로운 석물을 다소 추가하였지만,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형태]

덕수이씨 제1묘역에는 이필과 그 아버지 이원우의 묘가 있다. 이원우의 묘 아래에 있는 이필 묘는 단분 합장인데, 부인 증 정경부인 능성 구씨(綾成具氏)와 합장되었다. 이필 묘의 좌향은 동남향이다. 이필 묘역에는 묘표, 석상, 향로석, 동자석인 등을 갖추고 있다. 묘표는 원수형(圓首形)이고, 대석 윗면에는 복련(覆蓮)을 가지런하게 양각하였다. 비신은 대리석 재질이고, 대석은 화강석이다. 묘표 앞면에는 ‘증 우의정 행사헌부 감찰 덕수 이공 필 지묘 증 정경부인 능성 구씨 부(贈右議政行司憲府監察德水李公泌之墓 贈貞敬夫人綾成具氏祔)’라고 새겼다. 묘표의 규모는 40×15×95㎝이다. 동자석인의 총 높이는 95㎝이다. 석망주는 운두에 여의두문(如意頭紋)을 조각하였으며, 총 높이 150㎝이다.

그리고 이필의 고손자인 이집의 부인 풍산 홍씨의 묘가 있다. 풍산 홍씨의 묘는 덕수 이씨 제2묘역에 있는 남편 이집의 묘역과 구조 및 석물이 매우 유사하여 주목받는다. 특히 관을 쓰고 홀을 들고 있으나 소규모에 상석 좌우에서 시립하고 있는 문인형 동자석인이 조성되었는데, 이는 남편 이집뿐만 아니라 덕수이씨 묘역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이다.

덕수이씨 제2묘역에는 가장 상단에 이필의 손자인 이합의 묘가 있다. 그 아래에는 이합의 손자인 좌의정 이집의 묘가 있으며, 그 아래로는 이집의 아들 이조 판서 이주진의 묘가 있고, 동쪽으로는 이주진의 아들 좌의정 이은의 묘가 있다. 이필의 아들인 이안눌(李安訥)의 묘는 충청남도 당진에 있고, 이합의 아들인 이광하(李光夏)의 묘는 경기도 연천에 있는 것을 감안하면 덕수이씨 제2묘역은 한 종파의 묘로 구성된 전형적인 조선 시대 가부장적인 세장지이다.

[금석문]

중요한 금석문으로 1767년(영조 43)에 조성된 이합 묘갈(墓碣)이 있다. 이합 묘갈은 18세기 후반의 양식을 잘 보여 주는 묘비로, 비문은 이조 참판 남용익(南龍翼)이 짓고, 영의정 서지수(徐志修)가 썼다. 이 외에 이집 묘표, 이주진 묘표 등이 있다.

[현황]

덕수이씨 묘역은 16세기 이후 조성된 묘역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특히 묘역의 배치, 석물의 종류 등이 잘 보관되고 있어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주요 문중 묘역으로 대표할 수 있다. 다만 대리석 재질이나 오석 재질의 석비와 각종 석물 등의 마모와 훼손이 진행되었다. 덕수이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덕수이씨는 폐위된 제10대 왕 연산군의 제사를 모시는 외손봉사(外孫奉祀)[직계 비속이 없어 외손이 대신 제사를 받듦]의 문중이다. 연산군거창 군부인 신씨가 세상을 떠난 이후 딸 휘순 공주(徽順公主)와 남편 구문경(具文璟)이 제사를 계승하였고, 이후 휘순 공주의 딸 능성 구씨와 남편 이필연산군의 제사를 다시 계승하였다. 그 후 이필의 아들인 이안눌연산군의 제사를 계승하여 덕수이씨연산군의 제사를 모시는 외손봉사의 가문이 되었다.

서울 연산군 묘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77번지에 위치하여 매우 가까운 곳에 있다. 따라서 방학동덕수이씨 묘역은 왕실은 아니지만 종실의 예우를 받은 문중으로 매우 중요한 묘역이다. 특히 석물의 수준도 뛰어나며, 시대적 특징도 잘 반영하고 있다. 조선 시대 외손봉사의 사례와 그에 따른 종실 예우 문중의 묘역을 살펴볼 수 있는 묘역이다. 아울러 이수 방부형의 묘표, 문인형 작은 동자석인의 조성 등 석물 배치 형식이 서로 유사한 좋은 사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