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923 |
---|---|
한자 | 高山鄕校 |
영어공식명칭 | Go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고산로 147-23[읍내리 143]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유호석 |
건립 시기/일시 | 1397년 - 고산향교 창건 |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399년 - 고산향교 소실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592년 - 고산향교 재소실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601년 - 고산향교 대성전 건립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604년 - 고산향교 명륜당 건립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66년 - 고산향교 대성전과 명륜당 보수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5년 8월 16일 - 고산향교 대성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6호로 지정 |
현 소재지 | 고산향교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고산로 147-23[읍내리 143] |
원소재지 | 고산향교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고산로 147-23[읍내리 143] |
성격 | 교육기관|향교 |
양식 | 맞배지붕[명륜당]|맞배지붕[대성전] |
정면 칸수 | 3칸[명륜당]|3칸[대성전] |
측면 칸수 | 3칸[명륜당]|2칸[대성전] |
소유자 | 고산향교|전북향교재단 |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건립한 향교.
[개설]
1397년(태조 6)에 여러 성현(聖賢)들의 위패를 봉안하여 배향하는 한편, 지방의 중등교육을 담당하고 지방민을 교화하기 위하여 창건되었다.
[위치]
고산면 고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고산로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다가 고산초등학교 방면으로 좌회전하면 고산향교가 나온다.
[변천]
고산향교는 1397년(태조 6)에 창건되었으나 1399년(정종 1)에 소실되었다. 그 뒤 복원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다시 소실되었다. 1601년(선조 34)에 대성전을, 1604년(선조 37)에 명륜당을 건립하였다. 1966년에 대성전과 명륜당을 보수하였다.
[형태]
명륜당을 중심으로 동재와 서재가 명륜당 뒤편에 있으며, 동재와 서재의 가운데에 마당이 있고, 이 마당 뒤편 중앙에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내삼문이 있다. 명륜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명륜당 오른쪽에는 ‘성묘(聖廟)’라는 현판을 걸고 공자의 영상을 봉안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구조의 대성전이 있다. 이밖에 고직사, 기타 부속건물 등이 있다.
[현황]
현재 고산향교 대성전에는 중국5성(中國五聖)과 송조4현(宋朝四賢), 그리고 우리나라 18현(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이라고 쓰여있는 공자(孔子)의 영정은 조선 중기의 문신 송영구(宋英耉)가 명나라에 가서 당나라 때의 화가 오도현(吳道玄)이 그린 것을 받아온 것이라고 한다. 봄·가을로 두 차례 공자를 위시한 중국5성과 송조4현 및 우리나라의 유학자 설총, 최치원, 정몽주, 이황 등 18현의 위패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고 있다. 고산향교 대성전은 1985년 8월 16일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6호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고산향교의 창건과 변천을 통해 전라북도 완주의 유학 교육 실태는 물론, 유교 사상의 영향 아래 선조와 선현을 숭배하며 유학을 배우고 실천하고자 하였던 이 지역 유생들의 정신세계와 그 향촌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