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900720 |
---|---|
한자 | 丹月驛址 |
영어의미역 | Danwol Station Sit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유주막마을 |
시대 | 고려/고려,조선/조선 |
집필자 | 백종오 |
성격 | 역 터 |
---|---|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 고려시대 |
소재지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유주막마을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유주막마을에 있는 고려에서 조선시대 역터.
원래 고려시대 단월부곡(丹月部曲)이 있던 곳으로 노(奴) 110명, 비(婢) 89명, 대마 2필, 기마 7필, 복마 5필이 있었다. 임진왜란 당시 신립(申砬)[1546~1592] 장군이 이끄는 8,000명의 군사가 충주 탄금대에서 일전을 치르기 전 이곳에 진을 치기도 하였다. 단월역 남쪽에 정지상(鄭知常)[?~1135]과 서거정(徐居正)[1420~1488]이 시를 짓기도 한 계월루(溪月樓)가 있었다고 한다.
단월역은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조에 따르면 광주도(廣州道)에 소속된 역이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연원도(連原道)에 속한 14개 역 중 하나가 되었으며, 조선 말기까지 유지되었다.
단월역지에 대한 발굴 조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1998년 지표 조사를 통해 대략의 위치만 추정되었다.
현재 충주시 취수장이 들어서 있으며, 서쪽으로 달천이 흐른다. 국도 3호선, 국도 19호선, 국도 36호선이 함께 지나는 교통의 요지이다.
교통의 요지에 있는 단월역지는 특수행정조직이었던 부곡의 변화상과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역참 제도의 단면을 파악할 수 있는 유적이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충주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 상황과 관련해서도 역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