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주원을 시조로 하고 김전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강릉김씨(江陵金氏)의 시조 명주군왕(溟州郡王) 김주원(金周元)은 무열왕(武烈王)의 5대손으로 785년 선덕왕(宣德王)이 죽고 후사가 없자 군신회의에서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입궐을 사양하고 강릉으로 낙향하였다. 원성왕(元聖王)은 김주원을 명주군왕으로 봉하고 명주·익령(翼嶺)·평해(平海) 세 고을을 식읍으로 내려...
-
신수를 시조로 하고 신사안·신영석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거창신씨는 고려 시대 좌복야를 지낸 공헌공 신수(愼修)를 시조로 한다. 거창신씨 고창군 입향조인 신사안(愼師安)은 조선 시대 호조판서를 지낸 신기(愼幾)의 둘째 아들 신후갑(愼後甲)의 후손인 송재공 신자건(愼自建)의 9대손으로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에서 태어났다. 1707년(숙종 33) 진사인 숙부 신석삼...
-
김알지를 시조로 하고 김윤해를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파조인 수은공(樹隱公) 김충한(金沖漢)의 현손 김윤해(金潤海)가 연산군 대에 사회가 혼란스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남원으로 내려왔다가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세장마을로 입향하였다. 파조의 7대손으로 당시 전라북도 남원군 송동면 만골마을에서 태어난 김영량(金榮亮)[1650~1712]이 1692년(숙종 18) 성...
-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이곤·이석의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경주이씨는 표암공(瓢巖公) 알평(謁平)을 시조로 한다. 알평은 초기 신라의 6촌 중 알천양산촌 촌장으로 신라개국원훈(新羅開國元勳)으로서 벼슬이 아찬(阿湌)에 이르렀다. 이씨(李氏)로 사성(賜姓)되어 경주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경주이씨 고창군 입향조인 이이곤(李以坤)은 파조 문충공(文忠公) 이익재(李益齋...
-
지백호를 시조로 하고 정정숙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경주정씨는 『삼국유사』 기이 신라 시조 혁거세왕조에 나오는 신라 6촌장의 한 사람인 낙랑후(樂浪侯) 지백호(智伯虎)를 시조로 하고, 시림군(始林君) 정연(鄭年)을 중시조로 한다. 경주정씨 고창군 입향조 정정숙(鄭貞淑)은 충장공(忠壯公) 정발(鄭撥)의 5대손으로 1696년(숙종 22) 경기도 양주시 마전동(麻田...
-
최치원을 시조로 하고 최구·최응시·최문회·최문세·최기순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경주최씨는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을 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경주최씨는 충렬공파(忠烈公派), 문밀공파(文密公派)가 알려져 있다. 경주최씨 고창군 입향조 최구(崔嶇)는 충렬공 최광위(崔光位)의 15대손으로 1570년(선조 3) 전라남도 장성에서 최홍립(崔弘立)의 둘째 아들로 태...
-
오학린을 시조이자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고창오씨는 무혜공(武惠公) 오첨(吳瞻)의 16대손인 한림공 오학린(吳學鱗)을 시조로 한다. 오학린은 1035년(정종 1) 지공거전시(知貢擧典試)에 급제한 뒤 1057년(문종 11) 사목(司牧)으로서 압록강 북쪽 오랑캐를 토평한 공으로 고창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음으로써 후손들이 고창을 본관으로 삼았다. 오학린의 5세손으...
-
유영을 시조로 하고 유춘영·유춘발·유정방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고흥유씨는 유영(柳英)을 시조로, 영밀공(英密公) 유청신(柳淸臣)을 중시조로 한다. 유청신의 손자 충정공(忠正公) 유탁(柳濯)의 현손 유면(柳沔)은 부평도호부사(富平都護府使)를 지냈다. 고흥유씨 고창군 입향조 죽계 유춘영(柳春英)은 유청신의 손자 유탁의 현손인 유면의 손자로 1507년(중종 2)...
-
김흥광을 시조로 하고 김인우를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신라 신무왕의 셋째 아들 김흥광(金興光)이 장차 있을 국난을 예감하고 전라도 광산[지금의 광주광역시] 서일동에 자리를 잡고 은거하면서 후손들이 광산을 본관으로 삼았다. 시조의 12대손 김인우(金仁雨)는 양간공 김연(金璉)의 현손으로 1329년(충숙왕 16) 송도에서 태어나 공민왕 대에 홍건적을 물리쳐 호종...
-
이자성을 시조로 하고 이부·이명걸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광주이씨는 신라에서 내사령(內史令)을 지낸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한다. 광주이씨 고창군 입향조인 이부(李斧)는 고려 말의 명신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7대손으로 1508년(중종 3)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서 태어났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아버지 우천(牛泉) 이약수(李若水)가 정암 조광조(趙...
-
김시흥을 시조로 하고 김세웅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김알지(金閼智)의 39대손 김시흥(金時興)이 고려시대에 공을 세워 김녕군(金寧君)으로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김해(金海)를 본관으로 하여 김수로왕계를 섬기고 김시흥계를 후김(後金)으로 여겨 오다가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혼돈이 초래되어 조선 현종 대에 이르러 시조는 달리하면서 본관은 같이하게 되었다. 조선 개국...
-
김수로를 시조로 하고 김축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김유신(金庾信)을 중시조로 하는 김해김씨(金海金氏)는 김녕군파를 비롯하여 142개 파로 분파하였다. 그중 김목경(金牧卿)을 중시조로 하는 경파(京派), 김목경의 아우 김익경(金益卿)을 중시조로 하는 사군파(四君派), 김관(金管)을 중시조로 하는 삼현파가 주류를 이룬다. 이 세 파는 김유신의 직계로서 특히 삼...
-
방계홍을 시조로 하고 방성록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남양방씨는 고려 시대 벽상공신삼중대광에 오른 보국공(輔國公) 방계홍(房季弘)을 시조로 한다. 남양방씨 고창군 입향조 방성록(房聖祿)은 중시조(中始祖) 방사량(房士良)의 8대손이자 파조(派祖) 한림공(翰林公) 방구행(房九行)의 7대손으로 1571년(선조 4) 경기도 화성군 남양면(南陽面)에서 태어났다. 성균관전...
-
홍천하를 시조로 하고 홍영수·홍민하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남양홍씨는 당성백(唐城伯) 홍천하(洪天河)를 시조로 하고, 중시조인 고려 개국공신 홍은열(洪殷悅)을 1세로 하고 있다. 고창군의 남양홍씨는 찬성공파(贊成公派)와 참의공파(參議公派)가 알려져 있다. 남양홍씨 고창군 입향조 홍영수(洪永壽)는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지낸 홍약치(洪若治)의 손자로 1452년(문...
-
윤위를 시조로 하고 윤임·윤양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남원윤씨는 태사 윤신달의 8대손 남원백(南原伯) 윤위(尹威)를 시조로 한다. 고려 신종 때 복기남(卜奇男)의 난을 평정하고 남원백에 봉하여져 후손들이 남원을 본관으로 삼았다. 고창군에 있는 남원윤씨는 충간공파(忠簡公派), 문효공파(文孝公派)가 알려져 있다. 남원윤씨 고창군 입향조로 참봉을 지낸 윤임(尹任)은...
-
문다성을 시조로 하고 문윤국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남평문씨(南平文氏) 시조 문다성(文多省)은 472년(자비왕 15) 남평현 동쪽 큰 바위에 놓여 있던 서기 어린 함 속에서 발견되었는데, 함 뚜껑에 ‘문(文)’자가 쓰여 있어 성을 문씨로 하였다고 한다. 그 후 대아찬국사(大阿湌國師)가 되어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지고 삼중대광 벽상공신 대사마대장군 태사 태부...
-
오현좌를 시조로 하고 오자귀·오석창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동복오씨는 동복군(同福君) 오현좌(吳賢佐)를 시조로 하고, 동복군 오영(吳寧)을 중시조로 한다. 동복오씨 고창군 입향조 오자귀(吳自貴)는 중시조 오영의 손자인 문헌공 오대승(吳大陞)의 5대손으로 고려 말 신돈(辛旽) 때 느껴 벼슬을 버리고 남하하여 고창군 흥덕면 제하리(堤下里)에 정착하였다. 제하리는...
-
유금필을 시조로 하고 유녹숭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무송유씨(茂松庾氏)는 고려 시대 정1품인 태사(太師) 충절공 유금필(庾黔弼)을 시조로 한다. 유금필은 고려 때 태조를 도와 삼한 통일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통합삼한익찬공신에 봉해지고 태사에 오른 인물이다. 4세 유장신은 평산유씨(平山庾氏)의 중시조가 되었고, 5세 유녹숭(庾祿崇)은 무송유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
김선을 시조로 하고 김자진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무장김씨(茂長金氏) 시조인 김선(金璇)[1343~1414]은 김해김씨의 시조인 가락국 김수로왕(金首露王)의 56세손으로, 고려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장사군(長沙君)에 봉해졌고, 1375년 공민왕이 서거한 뒤 벼슬을 버리고 장사현으로 낙향하여 정착하였다.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김해김씨에서 분관하여 김선을 장사김...
-
박언침을 시조로 하고 박서봉·박이종·박태동·박연호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밀양박씨(密陽朴氏)는 밀성대군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한다. 밀양박씨는 파계가 여럿 있는데 대표적인 파로는 은산군파(銀山君派), 돈재공파(遯齋公派), 밀성군파(密城君派), 청재공파(淸齋公派) 등을 들 수 있다. 밀양박씨 고창군 입향조인 은산군 박영균(朴永均)의 현손 박서봉(朴瑞鳳)은 1...
-
손순을 시조로 하고 손급·손오상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밀양손씨는 문효공(文孝公) 손순(孫順)을 시조로 한다. 밀양손씨 고창군 입향조 손급(孫笈)은 문효공의 24대손이자 밀성군(密城君) 손빈(孫贇)의 6대손으로 1410년(태종 10)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고창군 무장면 원촌리로 옮겨 와 정착하였다. 손오상(孫五尙)은 봉호공(蓬湖公) 손계경(孫季敬)의 7대손...
-
김수를 시조로 하고 김추를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상산김씨(商山金氏) 시조 김수(金需)는 신라 제56대 경순왕의 후손인데 선계(先系)를 알 수 없어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삼았다. 김수의 5세손인 김비궁(金非躬)이 상산부원군, 9세손 김일(金鎰)이 상락군(上洛君), 10세손 김록(金祿)이 상성군(商城君)에 잇달아 봉해져 상산에 여러 대에 걸쳐 살았으므로 후손들...
-
김선궁을 시조로 하고 김순덕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선산김씨(善山金氏) 시조 순충공(順忠公) 김선궁(金宣弓)은 김알지(金閼智)의 30세손, 문성왕(文聖王)의 8세손이다.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후백제를 정벌하면서 선산 일선군(一善郡)에 이르러 모병할 때 김선궁이 종군하기를 원하자 왕건이 환영하고 친히 어궁(御弓)을 내리고 이름을 선궁이라 지어 주었다. 그...
-
백우경을 시조로 하고 백유양·백현민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수원백씨는 백우경(白宇經)을 시조로 하고, 수성백(水城伯) 문익공 백천장(白天藏)을 중시조로 한다. 수원백씨 고창군 입향조 백유양(白惟亮)은 수원군의 12대손이자 임피현령을 지낸 백효약(白效若)의 현손으로 1548년(명종 3) 전라남도 장성군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 고수면 평지리 임처동(林處洞)으로...
-
김방경을 시조로 하고 김을만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시조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1212~1300]은 경순왕의 후손이다. 고려 시대에 삼별초와 왜구를 섬멸한 공으로 정난정국공신(定難靖國功臣)이 되어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다. 파조 익원공 김사형(金士衡)의 현손인 김을만(金乙萬)[1458~1525]이 단종이 폐위된 뒤 남쪽으로...
-
나천서를 시조로 하고 나순효를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안정나씨(安定羅氏) 시조 나천서(羅天瑞)는 나총례(羅聰禮)의 10세손인 나윤(羅允)의 둘째 아들로 1370년(공민왕 19)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고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의성군 안정에 세거하면서 안정(安定)을 본관으로 하고 나천서를 1세조로 하여 대를 이어 오고 있다. 나천서...
-
이무를 시조로 하고 이척·이여상·이유징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연안이씨는 당나라 장군 이무(李茂)를 시조로 한다. 이무는 660년(무열왕 7) 소정방(蘇定方)이 신라의 동맹군으로 백제를 침공했을 때 중랑장(中郞將)으로 따라왔다가 신라에 귀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연안이씨 고창군 입향조인 이탕(李湯)은 좌의정을 지낸 이원발(李元發)...
-
김심언을 시조로 하고 김사손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영광김씨(靈光金氏) 시조 문안공 김심언(金審言)[?~1018]은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으로 경순왕의 넷째 아들인 대안군(大安君)의 현손이다. 고려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이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에 이르렀고 오성군(筽城君)에 봉해짐으로써 후손들이 영광을 본관으로 하고 시조로 삼았다. 이후 세...
-
정덕성을 시조로 하고 정혹·정필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영성정씨는 당나라의 대상(大相) 대양군 정덕성(丁德盛)을 시조로 하고, 고려 시대에 생원을 지낸 정진(丁晉)을 중시조로 한다. 정진은 정덕성의 큰아들 오성군 정열도(丁烈道)의 20대손이다. 고창군의 영성정씨는 미산공파(薇山公派)와 선양정공파(善養亭公派)가 알려져 있다. 영성정씨 고창군 입향조 정혹(丁掝)은...
-
신경을 시조로 하고 신봉수·신복운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영월신씨는 고려 시대 평장사를 지낸 정의공(貞懿公) 신경(辛鏡)을 시조로 한다. 영월신씨 고창군 입향조 신봉수(辛奉修)는 문정공 신당계(辛唐係)의 손자 신보안(辛保安)의 둘째 아들인 어모장군 신사구(辛斯龜)의 7세손으로 정유재란 때 고창군 무장면에 왔다가 대산면 연동리 장동에 정착하였다. 신복운(辛復運)...
-
조장을 시조로 하고 조덕린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옥천조씨는 고려 시대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조장(趙璋)을 시조로 하고, 전공판서(典工判書)를 지낸 조영(趙瑛)을 중시조로 한다. 고창군 입향조 조덕린의 현손인 조현동(趙顯東)·조후동(趙垕東)·조석동(趙錫東) 3형제가 다 같이 학행으로 이름이 높아 세칭 삼호(三湖)로 불렸다. 옥천조씨 고창군 입향조 조덕린...
-
김덕지를 시조로 하고 김질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울산김씨(蔚山金氏) 시조 김덕지(金德摯)는 신라 경순왕의 둘째 아들로 고려 태조에게 신라를 양위할 때 힘을 다하여 말리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형인 마의태자와 함께 금강산으로 들어갔다고 하나, 그 행적에 대해서는 자세하지 않다. 14세손인 김환(金環)은 고려 시대에 벼슬이 삼중대광 영도첨의사에 이르렀고 울...
-
서신일을 시조로 하고 서적·서욱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이천서씨는 아간공(阿干公) 서신일(徐神逸)을 시조로 한다. 서신일은 모든 서씨의 도시조로 기자(箕子)의 40대손인 기준(箕準)의 후손이다.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왕인 기준이 9세기 중엽 위만(衛滿)에게 쫓겨 지금의 이천 땅 서아성(徐阿城)에 정착한 것이 서씨의 시초라고 전한다. 이천서씨 고창군 입향...
-
황경을 시조로 하고 황효원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장수황씨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부마로 시중(侍中)을 지낸 황경(黃瓊)을 시조로 한다. 장수황씨 고창군 입향조 황효원(黃孝元)은 파조(派祖) 황치신(黃致身)의 5대손으로 광주 당대면(唐大面) 효동(孝洞)에서 삼형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삼형제는 임진왜란을 피하여 각각 분산하기로 하여, 황효원은 공음면 덕암리(...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배·이호·이문량·이현·이총·이후명·이형덕·이종정·이득진·이경기·이소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전주이씨는 신라 시대 사공공(司空公) 이한(李翰)을 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전주이씨는 완풍대군파(完豊大君派), 양도공파(襄度公派), 장천군파(長川君派),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경녕군파(敬寧君派), 의창군파(義昌君派), 익양군파(益陽君派) 등이 알...
-
최순작을 시조로 하고 최선준·최진계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전주최씨는 완주백(完州伯) 문열공(文烈公) 최순작(崔純爵)을 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전주최씨는 월당공파(月堂公派), 첨추공파(僉樞公派)가 알려져 있다. 전주최씨 고창군 입향조 최선준(崔善峻)은 월당공 최담(崔曇)의 6대손으로 1507년(중종 2)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德川面) 만무에서 태어났다. 아버...
-
강이식을 시조로 하고 강계오를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 강이식(姜以式)은 고구려의 도원수로서 수나라 침략군을 여러 차례 토벌한 공을 세웠고, 후손 강진(姜縉)은 신라인으로 숭인전 사운과(崇仁殿四韻科)에 장원을 하여 판중의령(判中議令)을 지내고 진양후(晉陽侯)에 봉해졌다. 이에 후손들이 진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강학손(姜鶴孫)이 평양판관...
-
소경을 시조로 하고 소희철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진주소씨는 각간공(角干公) 소경(蘇慶)을 시조로 하고,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소계령(蘇繼苓)을 중시조(中始祖)로 한다. 진주소씨 고창군 입향조 소희철(蘇希轍)은 소경의 26대손이자 행정공(杏亭公) 소연(蘇沿)의 현손으로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寶節面) 진목리(眞木里)에서 태어나 고창군 성송면 낙양리 덕전(德典...
-
정예를 시조로 하고 정종순·정택신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진주정씨는 고려 때 영절공 정예(鄭藝)를 시조로 하고, 문익공 정시양(鄭時陽)을 중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진주정씨는 충장공파(忠壯公派)와 참판공파(叅判公派)가 알려져 있다. 진주정씨 고창군 입향조 정종순(鄭宗舜)은 충장공 정황(鄭璜)의 7대손으로 1515년(중종 10)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악리에서...
-
성인보를 시조로 하고 성여원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창녕성씨는 중윤공(中尹公) 성인보(成仁輔)를 시조로 한다. 창녕성씨 고창군 입향조 성여원(成汝源)은 문효공(文孝公) 성사달(成士達)의 7대손으로 1455년(세조 1)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일영리에서 태어났다. 연산군 즉위 후 실정과 당쟁의 격화에 실망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창군 대산면 회룡리로 옮겨 와 정착하였...
-
조계룡을 시조로 하고 조침·조명도·조홍현·조호인·조후천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창녕조씨는 태자태사(太子太師)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조계룡(曺繼龍)을 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창녕조씨는 청간공파(淸澗公派),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양평공파(襄平公派), 충정공파(忠貞公派) 등이 알려져 있다. 창녕조씨 고창군 입향조 조침(曺琛)은 청간공...
-
황충준·황석기·황양충 등을 시조로 하고 황호·황인청·황두연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창원 황씨는 본관을 같이 하면서도 계보를 달리하는 3파가 있다. 이른바 ‘토황(土黃)’이라 하여 고려조에서 문하시중을 지낸 황충준(黃忠俊) 시조로 하고, 그의 후손 황신(黃信)을 1세조로 하는 시중공파(侍中公派)와 공희공(恭僖公) 황석기(黃石奇)를 시조로 하고 ‘당황(唐黃)’이라...
-
전섭을 시조로 하고 전덕린(全德隣)·전유성(全有成)·전득룡(全得龍)·전성혁(全性爀)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천안전씨는 환성군(歡城君) 전섭(全聶)을 시조로 하고,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 전낙(全樂)을 중시조로 한다. 천안전씨 고창군 입향조 전덕린(全德隣)은 파조 문효공(文孝公) 전신(全信)의 손자로 1384년(우왕 10)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났다. 1414년...
-
김지대를 시조로 하고 김여의를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청도김씨(淸道金氏) 시조 영헌공(英憲公) 김지대(金之岱)는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인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悅)의 8대손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경상도안찰사·정당문학(政堂文學)·이부상서를 거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내고 오산군(鰲山君)[오산은 지금의 청도]에 봉...
-
한난을 시조로 하고 한팽로·한의철·한동악·한광후·한형리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청주한씨는 고려 개국벽상공신(高麗開國壁上功臣) 한란(韓蘭)을 시조로 한다. 청주한씨 고창군 입향조 한팽로(韓彭老)는 고부군수를 지낸 중시조 한계복(韓季復) 6대손이자 파조 청주부원군(淸州府院君) 한창(韓昌)의 5대손으로 전라남도 영광에서 태어나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난을 피하여 성송면...
-
채송년을 시조로 하고 채준·채언상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평강채씨 고창군 입향조 채준(蔡準)은 평강군(平康君) 채송년의 9대손으로 인조 때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에서 고창군 흥덕면 용반리(龍盤里) 남당(南塘)으로 옮겨 와 정착하였다. 채언상(蔡彦祥)은 평강군 채송년(蔡松年)의 10대손이자 예조판서를 지낸 채충경(蔡忠敬)의 5대손으로 1524년(중종 19...
-
신숭겸을 시조로 하고 신익수·신초성·신광흡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평산신씨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한다. 평산신씨 고창군 입향조인 용국공(龍國公) 신익수(申益秀)는 사간공 신호(申浩)의 12대손으로 1651년(효종 2) 당시 전라도 나주목 임곡면 종산리에서 태어나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로 옮겨 와 정착하였다. 도천당공(道川堂...
-
박선을 시조로 하고 박상연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함양박씨는 고려 시대 예부상서를 지낸 박선(朴善)을 시조로 한다. 8세 함양군 박인계(朴仁桂)는 예의판서를 지냈고, 11세 박습(朴習)은 병조판서를 지냈다. 15세 구당(九堂) 박세영(朴世榮)은 기묘명현으로 칭하고, 박세영의 증손 절재(節齋) 박유정(朴由精)은 임진왜란 때 순절하여 충(忠)으로, 아들 모재(慕齋...
-
오광휘를 시조로 하고 오세영·오구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함양오씨는 함양부원군 오광휘(吳光輝)를 시조로 한다. 입향조인 오세영(吳世英)의 손자 오익창은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전공을 세워 임난공신으로 녹훈(錄勳)되었고, 오익창(吳益昌)의 아들 오전(吳晪)은 의정부사인(議政府舍人)을 지냈으며,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丙子胡亂)...
-
이언을 시조로 하고 이원형·이홍의·이언성·이창진·이민상 등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함평이씨는 고려 광종 때 신무위대장군을 지낸 함풍군(咸豊君) 이언(李彦)을 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함평이씨는 함성군파(咸城君派), 대사간공파(大司諫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남헌공파(南軒公派), 죽음공파(竹陰公派) 등이 알려져 있다. 함평이씨 고창군 입향조인 이원형(李元亨)은...
-
오현보를 시조로 하고 오도찬·오재근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해주오씨는 해주군(海州君) 오현보(吳賢輔)를 시조로 하며, 고창군의 해주오씨는 사인공파(舍人公派)·병판공파(兵判公派)가 알려져 있다. 해주오씨 고창군 입향조 오도찬(吳道贊)은 병조판서를 지낸 오응정(吳應鼎)의 현손으로 1680년(숙종 6)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서 태어나 산과 물이 좋은 곳을 찾아 심...
-
최온을 시조로 하고 최수봉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해주최씨는 해동공자(海東孔子) 최충(崔沖)의 아버지 최온(崔溫)을 시조로 하고, 최유선(崔惟善)을 중시조로 한다. 해주최씨 고창군 입향조 최수봉(崔守鳳)은 중시조 최유선의 24대손이자 파조(派祖) 최안숙(崔安淑)의 14대손으로 1816년(순조 16)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에서 태어났다. 생업을 위하여 183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