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2534 |
---|---|
한자 | 歲時風俗 |
영어의미역 | Seasonal Customs |
이칭/별칭 | 연중행사,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
집필자 | 이영진 |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한 해를 주기로 일정한 시기에 반복되는 관습적 생활 행위.
[개설]
세시풍속의 세(歲)는 한 해를 의미하고 시(時)는 네 계절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세시풍속은 크게 보아 한 해의 네 계절, 즉 철따라 행해지는 풍속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네 계절의 변화와 더불어 달의 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음력으로 매월 행해지는 풍속이라는 뜻도 내포하고 있다. 세시풍속을 다른 말로 연중행사라고 하듯이 한 해 동안 행해지는 주기적인 행사는 생업, 즉 생산의 주기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전근대사회의 주요 생업이었던 농업이나 어업은 자연력에 따라 생산의 시기가 결정되었다. 예컨대, 농사의 경우, 1년 동안 파종기와 생장기, 수확기, 농사 준비기 등의 마디가 반복되었다.
우리가 말하는 대부분의 연중 의례와 놀이는 이러한 마디마다 행해지는데, 풍요한 생산을 기원하거나 감사하기 위하여 제의를 올리고, 풍요를 점치거나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뒷풀이식 놀이를 행하였다. 휴식기인 음력 정월에 많은 세시풍속이 행해지는 것도 다가올 한 해의 풍요로운 생산을 미리 기원하기 위해서였다.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경도잡기』 등의 문헌 기록과 현장 조사 결과를 보면, 농업이나 어업 등 자연에 순응한 산업이 주를 이룬 전통 사회에서는 많은 세시풍속이 전승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새마을운동, 산업화 등의 변혁기에 세시풍속도 크게 소멸되고 말았다. 이러한 현상은 구미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현황]
구미 지역은 전통적으로 농업 사회였다. 농사 중에서도 주로 벼농사를 지었다. 그러므로 구미 지역은 벼농사를 주로 하던 농경 지역의 세시풍속이 전승되고 있었다. 음력 1월과 2월에는 풍농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이 많았다. 정월에는 설날 새해를 맞아 조상에게 풍농을 기원하는 차례를 지내고, 성주와 조왕 등의 가신(家神)에게 명절 음식을 올리며, 한해의 신수를 점치는 풍속이 있었다. 의례에는 떡국과 두부, 강정, 유과 등의 음식을 올렸다. 정월 보름에는 줄당기기와 달집태우기로 한 해의 풍농을 점치고 용알뜨기나 더위팔기, 부름깨기 등으로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기도 하였다.
2월에도 초하루에 영등제를 올리고 이 날을 머슴날이라고 하여 머슴을 대접하는 등 농업 지역의 세시풍속이 전승되고 있었다. 영등제는 바람신인 영등에게 빌어 바람으로 인한 농사 피해를 줄이려는 의례이며, 머슴날은 농사일을 도맡아 하는 머슴을 대접하는 행사이다. 3월과 4월, 5월은 벼농사의 파종기와 이앙기에 해당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풍성한 세시풍속이 전해지지 않았다. 3월의 삼짇날과 4월의 초파일, 5월의 단오가 전승되기는 하였으나 간혹 화전놀이, 절에 가서 불공들이기, 그네뛰기 등을 하는 정도였다.
6월과 7월은 벼농사의 생장기이기 때문에 생장을 기원하고 휴식을 취하는 농경의례가 행해졌다. 6월의 유두일에는 봄에 수확한 밀가루로 음식을 만들어 논에 가서 고사를 올렸는데, 이것을 ‘그렁제’, ‘뚝제’라고 하였다. 7월의 백중일은 논매기를 다 마치는 시기이기 때문에 ‘꼼비기 먹는다’라고 하여 머슴들이 잔치를 벌였으며, ‘며느리꼼비기’라고 하여 며느리를 친정에 보내는 풍속이 있었다.
8월과 9월, 10월은 벼농사의 수확기에 해당하는 시절이다. 그래서 수확 의례가 행해진다. 8월 추석에는 풍농에 감사하는 뜻으로 햅쌀로 밥과 송편을 만들어 조상에게 바치는 차례를 지내고, 9월 중구에는 햅쌀이 나지 않아 추석 차례를 못 올린 집에서 햅쌀로 차례를 지내며, 10월에는 상달이라 하여 농사 수확을 감사하는 뜻에서 집안의 가신에게 안택고사를 지내고 조상에게 묘사를 지낸다.
11월과 12월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집안 정화 의례가 행해진다. 11월 동지는 설의 시작으로 팥죽을 끓여 가신에게 올리고 집안에 뿌려 정화하는 의식을 올린다. 12월 그믐에는 묵은세배를 올리고, 집안에 불을 밝혀 정화하는 의식을 올린다. 이와 같은 세시풍속도 거의 사라지고 지금은 설과 추석, 10월의 묘사, 11월의 동지 등 일부 세시풍속만 전승되고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