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강감찬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강감찬 이야기」는 고려 시대의 명장이자 문신이었던 강감찬(姜邯瓚)[948~1031]의 비범한 행적에 관한 인물담이다. 강감찬은 귀주대첩과 같은 역사적 위업을 이룬 고려시대의 실존 인물로, 강감찬에 대한 민중들의 추앙심은 허구적 상상력과 결합하여 설화로 나타난다. 강감찬을 주인공으로 하는 설화는 여러 지역에서 조사되었...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황산리에서 성주굿을 할 때 부르는 민요. 「고사 풀이」는 정초에 풍물패들이 지신밟기나 걸립을 할 때 마루에 성주 상을 차려 놓고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는 의식요이다. 이를 「팔도강산 유람가」라고도 한다. 원래 무가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3월 3일 전라북도...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서 당태종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고창과 당태종」은 당태종이 옥황상제를 모시는 신하인 위진을 시험한 것과 별과에 급제한 선비의 사연을 담은 인물 전설이다. 이를 「정조지켜 별과 합격한 선비」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정조지켜 별과 합격한 선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당나라 태종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서 고창성의 축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고창성에 얽힌 이야기」는 고창성이 남자와 여자의 성 쌓기 내기를 통해 성을 쌓았다는 축성담이다. 고창읍 읍내리에 소재한 고창성은 고창읍성, 모양성이라고도 불린다. 고창성에는 손바닥만 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밟으며 도는 답성놀이가 전해지는데, 이렇게 하면 오래 살며,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한다는 전...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과거를 보러 가던 세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과거길에 종에게 봉변 당한 세 사람」은 동문수학한 세 선비가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주막집에서 하룻밤을 지낼 때 종에게 속아 밤새 고생했다는 소화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한 서당에서 세 사람이 글공부를 함께 했다. 김...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서 급제한 서생이 풀어준 청년의 한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과거길에 품은 의문이 급제 뒤에 해결된 이야기」는 한 서생이 한 청년의 도움으로 과거에 급제한 후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하룻밤 묵었던 집안의 의문을 해결하여 청년의 한을 풀어 주었다는 인물전설이다. 이를 「과거길에 품은 의문 급제 뒤에 해결」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에서 구대 좌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구대 좌수가 난 의성김씨」는 우연한 선행으로 얻은 명당자리 덕에 의성김씨 가문에서 구대 좌수가 태어나게 되었다는 명당 발복담이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명당 발복 설화는 전통적인 풍수사상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특히 풍수는 당대보다는 후대를 위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한 일가에 미치는...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그림자와 병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그림자 때문에 병이 된 사연」은 법성에서 농악을 치던 사람이 샘에서 물을 마시다가 구포의 그림자를 실뱀으로 오인하여 병에 걸렸다는 인물 전설이다. 이를 「잘못 보고 생긴 병 치료」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잘못 보고 생긴 병 치료」라는 제목으로 수록...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살인 사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나무를 심어 살인을 면한 고을」은 한잿산의 학이 사두봉의 사귀를 보면 장날에 살인 사건이 발생하니 학이 사귀를 볼 수 없도록 과일 나무를 심어 더 이상의 살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는 풍수형 산악 전설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고, 2009년 고창...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후포리에서 담배를 노래한 민요. 「담바고 타령」은 고창군 흥덕면 후포리에서 담배를 소재로 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이다. 「담바고 타령」에는 관용구로서 ‘담바구야 담바구야 동래 울산 담바구야’ 라는 부분이 항상 앞부분에 나온다. 담배와 더불어 살아온 서민들의 애환과 시름이 이 노래 속에 잘 나타나고 있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서 도깨비 방망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도깨비의 도움」은 과거 시험을 보러 가는 윤생원이 도중에 다투는 도깨비에게서 도깨비 방망이를 얻었다는 획득담이자, 진사 벼슬을 하고 부자로 잘 살게 되었다는 신이담이다. 이를 「도깨비 이야기」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도깨비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소금 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도둑 잡은 소금 장수」는 유기 반상 도둑을 우연히 잡거나 주인집을 털러 온 도둑을 목격하고 곡간 문을 잠가 도둑을 잡았다는 일종의 재치담이다. 소금 장수 이야기는 직업적 특성상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일종의 ‘꾀보[트릭스터]’ 유형의 설화라고 볼 수 있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부르던 놀이요. 「마당 씰어라」는 풍뎅이와 같은 곤충을 소재로 노래하는 곤충 유희요이다. 풍뎅이를 뒤집어 놓고 날개를 쳐서 마당을 쓰는 식의 행동을 보여 주기를 바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1931년 김소운이 집필하고 동경의 제일서방에서 발행한 『조선구전민요집』에 실려 있다. 1930년대 초에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 주민 신태석[나이 미상...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서 말놀이의 재미를 즐기는 유희요. 「말놀이 노래」는 말장난(pun)의 언어 표현법을 활용해서 말소리의 재미를 만끽하는 언어 유희요이다. 이러한 노래를 어희요(語戱謠)라고도 한다. 어린이들의 노래에도 나타나며, 좀 더 고급스런 말장난은 어른들의 노래에서 보인다. 1989년 김익두가 집필하고 전북애향운동본부에서 발행한 『전북의 민요』에 실려 있다. 이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김성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당 때문에 부자 된 김성수 집안」은 근대에 실존했던 인물인 인촌 김성수(金性洙)[1891~1955]에 대한 인물담이다. 김성수는 동아일보사를 창립하고 고려대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51년 대한민국의 제2대 부통령을 지낸 교육가·언론인·정치가이다. 그는 호남의 거부였던 김경중의 아들로서 전라북도 고창 출신이다. 고...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당 잡아 부자 된 사연」은 우연히 명당자리에 아버지의 묘를 쓰고 부자가 된 아들에 대한 풍수담이다. 이를 「우연히 명당쓰고 부자 된 외톨이」라고도 한다. 명당을 얻으면 운이 틔어서 복이 닥친다고 믿는 민간의 의식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다. 그래서 「명당 잡아 부자 된 사연」과 같이 명당을 얻은 뒤에 발복(發福)...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서 장자못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장군 장자면의 유래」는 나쁜 짓을 해서 돈을 벌면 천벌을 받는다는 내용과 약자에게 베풀지 못하고 인색한 사람은 재물이 아무리 넘친다 한들 결국에는 화를 당한다는 징계의 의식을 나타내는 응보담이다. 「무장군 장자면의 유래」와 같은 장자못 전설은 인색한 장자(長者)의 악행은 놀부의 모습과 겹치고, 장자의 악행을 수...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서 무장의 손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장의 손희와 관련된 이야기」는 무장에 사는 손희가 항상 과거에 떨어지다가 한 번은 순행을 도는 이에게 도움을 받았으나 결국 말을 잘 못해서 또다시 떨어지게 되었다는 과거 실패담이다. 이를 「손희 이야기」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손희 이야기」라는...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에서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물레질 소리」는 실을 자아내기 위해 물레를 돌리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다. 옷을 지어 입던 시절 물레를 잦는 일은 부녀자의 일과나 다름없었다. 물레질은 중요한 노동이지만 고되지는 않으나 지루하기 때문에 「물레질 소리」를 불러서 마음을 가다듬었다. 1994년 김익두가 편저하고 문화방송에서 간행한 『한국민...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에서 생활 용기를 소재로 하여 부르는 잡요. 「반닥지 타령」은 생활 용품에 대하여 재미있게 노래한 비기능요이다. 이를 「반데기 노래」라고도 한다. 1989년 김익두가 집필하고 전북애향운동본부에서 발행한 『전북의 민요』에 실려 있다. 이는 1982년 2월 12일 김익두·유화수가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마을에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김순남[여,...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백운리[현 운양리]에서 운중반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백운리 주변 지명의 유래」는 백운리를 중심으로 한 이웃 마을이 반달 형세를 지니고 있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고창군 흥덕면 운양리의 백운재에 운중반월이 있는데 이를 중심으로 삼탈, 백운리, 조양리, 벽송리, 달골, 산정 등의 장소가 모두 월자형 풍수와 관련이 있다. 조양리 주변 중에서 특히 창...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신성리에서 벼를 베면서 부르는 논농사요. 「벼 베는 소리」는 고창군 성내면 신성리에서 가을에 한 해의 논농사를 마치면서 농부들이 벼를 수확할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3월 3일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신성리 장수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이인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변망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변망암 이야기」는 우리 설화에 자주 등장하는 여우의 변신담과 변망암이라는 인물의 일생이 결합된 인물담이다. 변망암이 과거 길에 마부로 변한 여우를 만나 신이한 일을 겪고, 여우의 예언대로 삼대를 멸할 화를 면하게 된다는 점에서 보면 일종의 보은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약사와 호랑이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병 고쳐준 약사에게 보은한 호랑이」는 호랑이의 목에 걸린 비녀를 빼내 주는 황약사의 시은담이자, 그 은혜를 갚고자 동삼 두 가마를 주는 호랑이의 보은담이다. 이를 「백약이 무효」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으며, 2009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소금 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부자가 된 소금 장수」는 소금 장수가 행운에 의해 부자가 되었다는 소화담으로서 부자가 되고 싶은 민중들의 세속적인 욕망이 드러나 있다. 이외에도 소금 장수를 주인공으로 하는 다양한 설화들이 고창에서 많이 수집되었고, 다른 지역에서도 조사된 바 있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서 금돼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람으로 변하는 금돼지」는 최군수 부인이 슬기로 금돼지를 물리쳤다는 괴물 퇴치담이자, 사람으로 변신한 금돼지와 군수의 부인 사이에서 금돼지의 아들인 최치원(崔致遠)[857~?]을 낳았다는 동물 교구담이다. 이를 「금돼지 아들 최치원」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장례 절차 중에서 출상 당일 상여를 메고 출발하기 전이나 상여를 메고 갈 때에 상여꾼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이를 「상부 소리」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2월 24일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 4...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선산의 바위를 지킨 아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선산을 지킨 아이」는 선산의 바위를 없애려고 하는 영의정의 횡포를 막아내고 온전하게 바위를 지켜냈다는 김정승 아들에 대한 인물담이자 슬기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어 있다. 이군이 만기가 차면 영의정이 된다. 영의정이 더 크려고 하면 역적...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황산리에서 성주에게 가정의 번영을 축원하며 부르는 의식요. 「성주풀이」는 남부 지방에서 많이 불리는 민요로 제의요 중의 하나이다. 성주신(城主神)에게 가정의 번영을 축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성주굿을 하면서 부르기에 이를 「성주풀이」라고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서당리[현 아산면 상갑리]에서 부르는 장편 글자풀이 민요. 「십자 타령」은 일에서 십까지의 숫자풀이로 이루어져 있는 일종의 ‘글자풀이’ 민요이다. 여기서는 제보자의 말에 의하면, ‘십자풀이’란 제목은 자신이 붙인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내용으로 보아 ‘십자풀이’의 일종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하고리에서 어린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놀이요. 「애기 어르는 노래」는 아기를 어를 때 부르는 노래로, 일종의 놀이요 성격이 강하다. 어른들은 어린아이의 몸을 움직여 주거나 또는 무엇을 보여 주거나 들려주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기쁘게 하여 준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하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2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황산리에서 액을 막는 뜻에서 부르는 제의요. 「액맥이 타령」은 정초에 풍물패가 집안 굿을 할 때 부르는 제의요이다. 노래 가사 앞부분에 다섯 방위의 신[장군]이 나오기 때문에 창자는 「오장군 타령」으로 부르고 있다. 「액맥이 타령」은 일반적으로 음력 정초에 마을에서 마당밟이 풍물굿을 칠 때에 각 집집에 들어가 집안 굿을 하는 과정에서 보통 조왕[부엌] 굿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어사 박문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어사 박문수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민담으로 고창 지역에도 다수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고창 지역에 박문수(朴文秀)[1691~1756]가 등장하는 이야기는 크게 5가지로 나뉜다. 어사 박문수의 사람됨에 관한 이야기, 억울한 죽음을 해결해 주거나 숨겨진 죄를 밝혀내는 이야기, 효부나 효자들의 행적을 기리는...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에서 애정을 표현한 민요. 「연정요」는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에서 이성을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마음을 노래한 여흥요이다. 이를 「참깻잎도 나풀나풀」이라고도 하는데, 남녀 간 특히 처녀 총각 사이의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1994년 김익두 등이 집필하고 문화방송에서 발행한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편 해설집 577쪽에 실려 있다. 이는 1991년 3월 18일...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중흥리에서 엿을 팔면서 부르는 타령조의 비기능요. 「엿타령」은 엿장수가 엿을 팔면서 부르는 노래이지만 엿과 바꾸어 주는 물건을 언어유희로 부르는 일종의 놀이요이다. 「엿 타령」은 엿의 판매를 위해 부르고 있지만 엿과 바꾸는 물품을 사설로 끌고 와서 끊임없이 부르기 때문에 사설 자체가 해학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고 있다. 1995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서 이서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서구 설화」는 조선 후기의 실존 인물로서 문신이자 문인이었던 이서구(李書九)[1754~1825]의 비범한 행적에 관한 인물담이다. 그는 여러 벼슬을 역임하면서 두 차례에 걸쳐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목민관으로서 탁월한 능력과 선견지명을 발휘하였으며, 백성들의 칭송이 자자했다. 그의 이런 행적은 설화로 전승되...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유희요. 「장타령」은 각설이가 장이나 길거리로 돌아다니면서 구걸 행위 시에 즐겨 부르던 노래이다. 일종의 유희요로 놀이판에 전승되고 있는 놀이 민속이다. 일명 「각설이 타령」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상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2월 24일 전라북도 고창군...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에서 전봉준과 삼암 선생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봉준의 출생과 최수운」은 동학의 전봉준을 비롯하여 의암(義庵) 손병희(孫秉熙)[1861~1922], 송암(松庵) 손천민(孫天民)[?~1900], 구암(龜庵) 김연국(金演局)[1857~1944] 등 삼암(三庵) 선생에 관한 인물담이다. 「전봉준의 출생과 최수운」은 동학 농민혁명 당시 북접(北接...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서 시집 살이의 고통을 노래한 대표적인 서사 민요. 「진주 난봉가」는 고창군 무장면 시거리에 전해 내려오는 시집 살이의 고달픔을 노래한 부녀요이다. 일반적으로 시집살이요는 시집 식구나 시어머니가 직접적인 갈등의 대상이 되나 「진주 난봉가」는 남편의 외도가 직접적인 갈등의 원인이 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에서 징검이를 소재로 하여 부르는 유희요. 「징검이 타령」은 징검이 놀이와 함께 불리는 일종의 놀이요이다. 이를 「징금마 타령」이라고도 한다. 징검이는 ‘징거미 새우’라고도 하는 민물 새우를 말한다. 「징검이 타령」은 빚쟁이에게 시달리다 못해 몸의 일부를 팔아서라도 빚을 갚겠다고 거듭 다짐하는 독특한 내용을 지닌 타령류의 민요이다. 1994년 김익두 등...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서 본처와 첩 사이의 갈등과 고통을 노래하는 민요. 「첩노래」는 첩의 입장이나 남편의 입장에서 노래되어지는 경우는 없고, 모두가 본처의 입장에서 남편과 첩 사이에서 겪게 되는 고민과 갈등을 노래하는 인물 유희요이다. 이를 「양에 저고리」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의 509~510쪽에 실려 있다. 이...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서 파묘된 못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파묘된 못 이야기」는 부친의 원수를 갚으려는 하인의 아들이 알려준 거짓 명당자리 때문에 백관수(白寬洙)[1889~?] 일가가 파묘하고 낭패를 보게 되었다는 풍수담이다. 고창 출신의 백관수는 독립운동을 하다 납북된 인물이다. 도선선사(道詵禪師)[827~898]가 쓴 「옥룡자유산록(玉龍子遊山錄)」에는 그 일가의...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호랑이 굴에서 탄생한 아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 굴에서 태어난 아이」는 어느 약사 부부가 호랑이의 도움으로 아들을 낳고, 명당자리에 묘를 써서 아들이 정승까지 되었다는 인물담이자 풍수담이다. 이를 「호랑이 굴에서 낳은 아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호랑이 굴에서 낳은 아이」...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서 호랑이가 된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가 된 남자」는 밤에는 호랑이, 낮에는 사람으로 살던 정생원이 부인에게 들켜 다시 사람으로 변신하지 못하고 호랑이로 살게 되었다는 동물담이다. 이를 「호랑이로 둔갑한 사람」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호랑이로 둔갑한 사람」이라는 제목으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화산리 복호마을에서 수원백씨 열녀와 열녀각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화산리의 열녀」는 고창읍 화산리 복호마을[현재 새터마을]에 세워져 있는 열녀각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열녀담이다. 이 열녀각은 남편이 죽자 삼년상을 치르고 난 후에 남편을 따라 죽은 수원백씨를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이렇게 밀양박씨 처 수원백씨 열녀에 대한 이야기가 고창읍 일대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에서 환갑을 맞은 주인공이 가족과 축하객들 앞에서 부르는 유희요. 「환갑 노래」는 환갑잔치 등의 큰 잔치를 할 때의 흥겨운 감회와 기분을 노래한 놀이요이다. 환갑잔치가 열려 가족과 친척, 동네 친구들이 축하하러 찾아오면 환갑을 맞은 주인공이 하객들로부터 축수의 잔을 다 받은 후에 축하객들 앞에서 부르는 노래가 「환갑 노래」이다. 1989년 김익두가 집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황희 정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황희 정승 이야기」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 때의 실존 인물로 청렴결백한 정승으로서 명성이 높았던 황희(黃喜)[1363~1452]에 관한 이야기이다. 황희는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했으나 태조의 요청과 두문동 동료들의 천거로 다시 벼슬길에 올랐다. 그는 세종의 치세 하에서 18년 간 영의정에 재임하였고, 어진...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후포리에서 해수탕과 용샘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후포 해수탕과 용샘의 유래」는 나병에 걸린 태자가 해수탕(海水湯)에서 목욕을 하고 나았다는 신이담이자, 도사에게 물을 대접하고 얻은 용샘은 샘을 막고 있는 바위 윗부분에 용이 승천한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 유래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소금 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흥덕원님이 된 소금 장수」는 소금 장사를 하다가 꾀를 써서 흥덕 원님이 된 후, 선정을 베풀었다는 인물담이자 출세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어 있다. 흥덕 읍내 밖에 뒤깨삿바라는 곳이 있었다. 그곳에 사는 사람이 아들 형제를 낳고 죽었다. 남자가 죽은...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서 흥덕 원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흥덕의 사령 자랑 이야기」는 흥덕현감으로 부임한 강감찬(姜邯贊)[948~1031] 장군이 염라대왕을 잡아 와서 알 수 없는 병으로 죽은 4형제의 원인을 밝히고, 범인을 잡아서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한을 풀어 주었다는 지략담이다. 이를 「염라대왕을 잡아 온 흥덕원님」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
원광대학교 민속학연구소와 박순호가 전라북도 고창군 지역에서 전해 오는 구비문학을 조사하여 편찬한 책. 『고창군구비문학대계』는 원광대학교 민속학연구소에서 고창군의 전설과 민담, 민요를 직접 조사하고, 조사한 자료 가운데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것을 간추려 설화 515편, 민요 158편을 제보자가 구술한 대로 정리하여 편찬한 책이다. 고창군의 구비문학 자료 조사 사업은 1990년 고...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전승되어 전해 내려오는 문학. 구비 전승(口碑 傳承)이란 말로 된 문학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글로 표현된 문학인 기록 문학과 구별된다. 말로 창작되고 전승되기 때문에 전승 과정에서 계속 변하며, 그 변화의 누적으로 개별 작품이 존재하게 된다. 구비 전승의 주요 장르로는 말[설화, 속담, 수수께끼]과 노래[민요, 판소리], 행위[민속극, 연희, 마을 제의] 등...
-
전라북도 고창 지역의 민중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고창 지역은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지역의 경계로서, 전라남도권 민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민요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부한 곳이기도 하다. 민요 속에는 그 지방 사람들의 소박한 정서와 생활상이 깃들어 있기 때문에 향토애가 느껴지는 노래가 많다. 특히 서정적이고도 꾸밈이 없는 소박한 아름다움, 흥겹고 경쾌하...
-
바다에 인접한 연해 읍성으로 모양부리현의 전래 지명을 차용하여 모양성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고창읍성은 조선 단종 원년인 1453년 영광, 화순, 나주, 제주 등 전라도 7개 군현의 고을에서 노동력이 동원되어 축성된 읍성이다. 포곡식(包谷式) 산성과 평지성이 조합된 평산성으로 왜적 방어와 행정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지어졌는데, 성곽의 둘레는 1,680m이며, 성벽의 높이는 4m, 면적은...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옛날부터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설화는 민속 문학의 하나로서 구비 문학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구(口)는 말을 뜻하고, 비(碑)는 기억을 뜻한다. 말과 기억에 의한 문학이 바로 설화이다. 설화는 구연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언제 어디에서나 말해질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설화는 창작, 전승, 전파 등에 다수의 사람이 참여하는 공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사용되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은 대체로 교훈이나 풍자, 비판 등을 하기 위하여 어떤 사실을 비유적인 방법으로 서술한 짧은 구절이다. 대개 고정적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지시적 의미보다는 표현이 담고 있는 비유적 의미에 의해 본뜻이 전달된다. 속담은 역사적 변천에 따라 함께 변화하면서 전해 내려온 지식적·정신적 유산 중의 하나이기 때문...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을 비유적으로 물으면 상대방이 답을 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이다. 이를 ‘말놀이’, ‘수수꺼끼’라고도 한다. 수수께끼는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구비전승 담론의 하나로 질문과 응답에 의해 사물이나 대상의 본질, 특성을 파악하는 언어 형식이다. 그런데 수수께끼는 어떤 대상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