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강남리는 마을에 감나무가 많아서 감남기·감낭기·감냉기 또는 시목리라 하다가 음이 변하여 강남(江南)이 되었다. 조선 말기 무장군 탁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강남·장두(獐頭)·낙양(洛陽)·덕산(德山) 등을 병합하여 강남리라 하고 고창군 석곡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검산리는 검곡(檢谷, 劍谷)의 ‘검’자와 중산(中山)의 ‘산’자를 따서 검산(劍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팽정(彭丁)·창내(倉內)·중산·장등(長嶝)·검곡·부귀(富貴), 이서면 신안(新安) 등을 병합하여 검산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중매[일명 중산]...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계산리는 풍수지리상 마을 남쪽에 있는 산이 금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므로 계산(鷄山)이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광산김씨가 피난하여 정착하면서 마을을 형성하였다. 조선 말기에는 고창군 산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지산(芝山)·부정(釜鼎)·비석·사신·병암·내독 일부를 병합하여 계산리라 하고...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라리는 무장읍내 고을이라 해서 골아래로 불리다가 고내리(古乃里)를 거쳐서 고라리로 칭하였다. 고라실 또는 고라라고 불린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안정(安亭)·백양·온금·하거 각 일부, 일동면 원촌 일부, 와공면 송암(松岩)을 병합하여 고라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전리는 마을보다 주변에 있는 밭이 지대가 높아 고전(高田)이라 하였다. 고전포, 고전호라고도 한다. 김해김씨(金海金氏) 목경파(牧卿波) 김영하(金永夏)의 6세손 김관승(金寬承)이 정착하여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 조선 시대 무장군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예동(禮洞), 만돌(萬突), 고전,...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흥덕읍성 밖에 조성된 마을이라고 해서 성밖으로 불렀다. 1621년 흥덕향교가 설립되자 마을 이름을 향교마을로 불렀다. 향교에 많은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여든다고 해서 교운(校雲)마을로 개칭되었다는 유래도 있다. 조선 말기 흥덕군 현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서문(西門)·교촌(郊村)·오태(五台)...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교흥리는 교촌(郊村)의 ‘교’자와 덕흥(德興)의 ‘흥’자를 따서 교흥(校興)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일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교촌·궁동(弓洞)·덕흥·월구(月句)·내동(內洞) 등을 병합하여 교흥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생교[일명 교촌(校村), 생기, 향교] 뒤에 당산(堂山)이...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암리는 원래 사기점이라 불리었으나 약 80년 전 사기점 흔적이 없어지자 명칭을 구암으로 바꾸었다. 구암리에 안장바위, 선바위, 형제바위, 별바위, 탕건바위, 병바위, 소반바위, 사자바위, 병풍바위의 아홉 개 바위가 있으므로 구암(九岩)이라 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박씨 집안이 자리를 잡아 사방 30리 땅을 지배하...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궁산리가 할뫼[275.5m] 밑에 있는 마을이므로 활뫼 또는 궁산(弓山)이라 불렀다. 옛날에 채씨가 마을을 지나다가 산세와 지형이 좋아 정착한 후, 영성정씨(靈城丁氏), 금성나씨(錦城羅氏), 전주이씨(全州李氏), 여흥민씨(驪興閔氏), 평산신씨(平山申氏) 등이 마을을 형성하고 살았다고 한다. 조선 시대 무장군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산리는 남산 밑이라서 남산리라 하였다. 임진왜란 전 서당골에 당씨, 변적골에 해주오씨, 지사골에 경주이씨가 살았고, 그 뒤 광주이씨를 비롯하여 진주정씨·상산김씨·창녕조씨 등 여러 성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 말기에는 무장군 탁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남산·용장(龍庄)·흥룡(興龍...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동리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대야(大也)의 ‘대’자와 동촌(東村)의 ‘동’자를 따서 대동(大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고창군 대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회진(會津)·쌍천(雙川)·추동(秋洞)·선동(仙洞)·동촌·사동(寺洞)·양정(良丁)·대야 일부, 산내면의 신성(新城)을 병합하여 대동리라...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림리는 마을 뒤에 있는 계림산(鷄林山)[닭메]에서 유래되었다. 처음에는 닭숲으로 부르다가 덕림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말기 무장군 탁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덕림(德林)·정동(貞洞)·방축(方築) 등을 병합하여 덕림리라 하고 고창군 석곡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곡리는 도산(道山)의 ‘도’자와 양곡(良谷)의 ‘곡’자를 따서 도곡(道谷)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일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도산·양곡·덕흥(德興)·월구(月句) 등을 병합하여 도곡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구덕골 위에 큰 감나무가 있었던 감나뭇골, 양곡 동쪽에 다카실 등의 골...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천리는 전설에 의하면 ‘도천’은 마을 앞까지 바다물이 들어와 선창(船艙)이 만들어져 배형국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거룻배 도(舠)와 통할 천(穿)을 붙여 도천(舠穿)이라 했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 해리 무장으로 통하는 도로가 개설되어 도천(道川)으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조선 말기 무장군 심원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부(東部)의 ‘동’자와 녹사(綠砂)의 ‘사’자를 따서 동사(東沙)라 하였다. 조선 말기 현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한림(翰林)·녹사·동문(東門)·동부·복룡(伏龍) 일부를 병합하여 동사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한림 뒤에 예전 빙고(氷庫)가 있었다는 핑갯등[일명 핑굿등, 빙곳등]이라는...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어리는 풍수지리상 마을 형국이 누에머리와 같다고 해서 잠두(蠶頭)라고 불렀다. 한편, 마을 앞 바다 속에 검은 가마귀 바위가 발견되었는데, 누에는 가마귀에게 먹힌다는 설이 있어서 지명을 두리(斗里)라고 바꿨다. 마을 뒤 고개가 풍수지리상 머리 형상이리서 두리(斗里)라 한 것이다. 물고기라 많이 잡힌다하여 두어(斗漁)라고도 하였는데 어감이...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만돌리는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장차 굴뚝이 만 개가 솟을 것이라는 예언이 있어서, 만돌(萬突)이라 하였다고 한다. 광산김씨(光山金氏) 양간공파(良簡公派) 김진(金璡)의 손(孫)이 만돌과 두어 사이에 정착하여 살면서 마을이 점차 형성되었다. 조선 시대 무장군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난호(蘭湖)[일명 난물]...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만화리의 지명 유래에 관해서는 전해지는 내용이 없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만화(萬化)·매산(梅山)·사미(士美)·연방(蓮坊)·복흥(福興)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만화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만화리에는 내동천이 흐르고 매산제가 있다. 만화리는 무장면의 서부에 있다....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동리는 옛날에 마을에 참나무 정자가 있어서, 진목정(眞木亭)·목정·목동이라 하였다. 원래 우농와라 하다가 마을 지형이 움푹한 삼태기 같다고 하여 와농(窩籠)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1900년대 초에는 와룡(臥龍)으로 불리었다. 조선 말기 고창군 대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하당(下堂)·와룡·...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우리는 이 곳에 머위가 많이 나서 머위말[머우촌]이라 부른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목우리의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태여서 목우(牧牛)라고 부르게 되었다. 조선 말기 무장군 백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목우(牧牛)·월평(月坪)·송정(松亭) 일부, 탁곡면 강정 일부를 병합하여 목우리라 하고...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무장리는 무장현의 소재지였으므로 무장(茂長)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중거(中巨)·정거(井巨)·하거(下巨)·사죽(射竹)·덕림·고라·이동·상성 각 일부를 병합하여 무장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무장리는 무장면의 중심부에 있다. 2010년 3월 기준 면적은...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행정구역. 1417년 무송현과 장사현을 합병할 때 두개의 현의 중간 지점에 해당된 곳에 무장현이 자리를 잡으면서 생긴 지명이다. 백제 시대에 송미지현과 상노현에 속하였고, 757년(경덕왕 16) 송미지현을 무송현으로, 상노현을 장사현으로 각각 개칭하였으며, 1417년(태종 17) 무송현과 장사현을 무장현으로 통합하였다. 조선 말기에는 무장군 이동면(二東面)...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 있는 무장면 관할 행정 기관. 무장면사무소는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과 관련된 지방 행정의 기초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무장면은 백제 시대에 지금의 성송면, 대산면, 무장면의 일부였던 송미지현(松彌知縣)에 속해 있었으며 신라 시대에 무송현(茂松縣)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인 1417년(태종 17)에 이웃 장사현(長沙縣)과 합하여 무장현(茂...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반암리는 마을에 소반바위가 있으므로 소반바우 또는 반암이라 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마을에 결혼식이 있던 날 신선이 말을 타고 선인봉(仙人峰)에 내려왔다. 신선은 옥녀의 거문고 소리와 술맛에 취하여 등잔을 밝히면서까지 술을 마시다가 결국 그 자리에 쓰러졌는데 쓰러지면서 술상을 발로 차 버렸다. 그 자리가 바로 선인취와혈(仙人酔臥穴)이라고 한...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양리는 자연 마을인 백양의 지명을 취한 것이다. 백양마을은 마을 형체가 원님을 향해 절하는 형국이라 배임동이라고 불려오다가 고을 원이 먹을 양을 기르는 곳이라고 해서 백양으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백양(白羊)·덕림(德林)·사죽(射竹)·고라(古羅)...
-
고창의 선운산 주변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복분자술과 함께 풍천장어가 특산물의 하나로 회자되어 왔다. 누가 뭐라 해도 오랜 옛날부터 고창군은 고창수박과 복분자술, 풍천장어의 고장으로 유명하였다. 특히 이글거리는 숯불에 구운 풍천장어의 심오한 맛은 먹어 본 사람이 아니고는 절대 알 수 없다는데, 이 때문에 고창 지역에서는 옥황상제가 고창 지역에서 살다가 죽어서 하늘로 온 사람들에게 풍천...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덕리는 풍수지리상 마을 주산인 태봉산 북쪽에 있는 봉암이라는 바위 이름을 따서 봉암으로 불렀다. 후에 만동으로 개명하였다가 1940년경 봉덕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조선 말기 고창군 대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성동(星洞)·봉덕(鳳德)·종교(宗喬)·동림(東林)·우모(牛毛)·중복(中卜)·오향...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암리의 지명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봉오(鳳梧)·인촌(仁村)·대고(大姑) 각 일부, 이서면 죽도(竹島)를 병합하여 봉암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봉오[일명 봉오리] 동쪽에 할미당이 있던 고당산(故堂山)[일명 할미당]이 솟아 있고, 봉오...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행정구역. 부안면은 간척지 논이 많아 부유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는 곳이라 하여 부안(富安)이라 하였다. 고려 전기에 자억현, 고려 후기에 흥성현, 조선 중기 이후 흥덕현이었다. 1906년(고종 43) 흥덕군 부안면으로 개편하여 중보(中洑)·덕흥(德興)·계곡(鷄谷)·서당촌(書堂村)·상오산(上鰲山)·하오산(下鰲山)·우수점(雨水店)·구정(九井)·수남(水南)·선량...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중흥리에 있는 부안면 관할 행정 기관. 부안면사무소는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과 관련된 지방 행정의 기초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부안면은 본래 고부군(古阜郡)에 속했다가 1906년 흥덕군에 예속될 때 부외면(富外面)과 부내면(富內面)을 합병하여 부안면이라 칭하게 되었다. 부안면사무소도 그 무렵 만들어졌을 것으로 예상되나 정확하지 않다. 마을 행정 지...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창리는 마을에 환곡을 넣어 두던 곳집이 있어서 사창(社倉)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사창·신점(新店), 일서면 진목정(眞木亭) 일부를 병합하여 사창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사창리는...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죽송(竹松)·덕평(德坪)·내사(內沙)·외사(外沙)·제내(堤內)·용정(龍井), 일서면의 통야·영구 일부를 병합하여 사천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내사 어귀에 지형이 두루마리...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갯가에 모래가 많으므로 사진포 또는 사포(沙浦)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주항(酒缸)·회목(檜木)·사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사포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회목 동북쪽에 남생이 형국의 남생잇등, 술항골[일명 주항] 뒤쪽에 조선 영조 때 통헌대부 정시현(鄭始縣...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577년(백제 위덕왕 24년) 검단선사가 선운사를 창건할 때 모여든 사람들이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 말기에는 무장군 탁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상(石床)·중촌(中村)·삼인(三仁) 일부를 병합하여 삼인리라 하고 고창군 석곡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갑리는 본래 고려 시대의 갑향(甲鄕)이었는데 발음이 잘못 전해져 갑평(甲坪)으로 불리었다. 1910년 갑평 윗쪽 마을이라 상갑리로 변경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청계(淸溪) 강순(姜恂)이 동지와 집안 장정 100여 명을 모아 근왕병(勤王兵)을 일으켜 남한산성으로 가던 중 굴욕적인 화친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창으로 내려왔다고 한다. 당...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등리는 산등성이 위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상등(上嶝)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중등(中嶝)·상등·등성(登城) 일부를 병합하여 상등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구꾸게[일명 구현(仇峴)]에...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암리는 상포(象浦)의 ‘상’자와 석암(石岩)의 ‘암’자를 따서 상암(象岩)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암·원당(元堂)·상포·반월(半月)·인촌(仁村) 일부를 병합하여 상암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황시암골 위에 서쪽 부안면 봉암리의 대섬과 마주 보는 대...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돌다리가 있었으므로 돌다리 또는 석교(石橋)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오공(五公)·석교, 현내면 오태리 일부를 병합하여 석교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석교리는 흥덕면의 남서부에...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모롱이[산모퉁이의 휘어 둘린 곳]에 돌이 있어 돌모루 또는 석우촌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신(石新)·동림(東林)·석우(石隅)·동신(東新)·관동(冠洞)·회화(回化)·신흥(新興) 등을 병합하여 석우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석우촌 앞으로 철생이틀이라는 골...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선운리는 마을 앞에 포구가 있어서 선운포(仙雲浦)라고 명명한 것에서 기원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과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부안면의 구룡리(九龍里)·신흥리(新興里) 일부, 이서면 선운리를 병합하여 선운리라 하고 고창군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구룡동 동쪽에 귀영다래, 독내들 밑에 남...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내리는 무장읍성 안에 있는 마을이므로 성내(城內)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성내·내동(內洞)·상성(上城)·이동(泥洞), 일동면 통정(桶井) 등을 병합하여 성내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성내리는 무장면의 중심부에 있다. 2010년 3월 기준 면적은 0.54...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산리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월성(月星)의 ‘성’자와 죽산(竹山)의 ‘산’자를 따서 성산(星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탁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계룡(溪龍)·성기(性基)·봉산(鳳山)·죽산·월성·궁월(弓月) 등을 병합하여 성산리라 하여 고창군 석곡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계리는 송암(松岩)의 ‘송’자와 용계(龍溪)의 ‘계’자를 따서 송계(松溪)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송암리, 청해면 용계리 일부를 병합하여 송계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방현에서 상하면으로 넘어가는 방고개[일명 방현(方峴)]가 있고, 방고개 남쪽에 산신...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종송(種松)의 ‘송’자와 용암(龍岩)의 ‘암’자를 따서 송암(松岩)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일남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제내(堤內)·빈월(賓月)·칠현(七玄)·용암·종송·야동(冶洞) 각 일부를 병합하여 송암리라 하고 고창군 신림면에 편입하였고, 1987년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용암 서쪽...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현리는 마을 뒤 고개에 소나무가 많아서 송현(松峴)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일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송현·신촌(新村)·궁동(弓洞) 등을 병합하여 송현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송현 서북쪽에 백여산(白餘山)이 솟아 있고, 송현에서 아산면 성산리 월산으로 넘어가는 고개인 솔재[...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현리는 송암(松岩)의 ‘송’자와 안현(鞍峴)의 ‘현’자를 따서 송현(松峴)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소고(小古)·안현·대고(大古)·송암·신흥(新興) 일부를 병합하여 송현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산정물[일명 산정(山亭)] 앞에 물은골, 선암뜸 남쪽에...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남리는 수강산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 수남(水南)이라 하였다. 다른 이름으로는 지로지(芝老池)가 있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수남·선량(善良)·신기(新基)·검곡(檢谷) 일부를 병합하여 수남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수남리는 부안면의 동부에 있다. 2010년 3월...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동리는 수강산(水崗山)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수동(水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주촌(舟村)·회룡(回龍)·종산(鐘山)·용전(龍田)·상대동(上大洞)·하대동(下大洞)·갈마동(渴馬洞)·부귀(富貴) 일부를 병합하여 수동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터골[일명...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앙리는 수강산 가운데 있는 마을이라 수앙(水央)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용현(龍峴)·반룡(盤龍)·신천(新川)을 병합하여 수앙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반룡과 용현 사이 큰길 옆에 고려장이 많이 행해졌던 고려장등이라는 산등성이가 있는데 새로 막은 둑...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서 덕 있는 사람이 많이 나올 것이라 하여 신덕(新德)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연장동·용소동·목우촌·용두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덕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원덕(遠德) 서남쪽으로 삿갓 모양의 삿갓봉[일명 입봉(笠峯)]이 솟아 있고, 단진포[일명 전정...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산 남쪽에 새로 이루어진 마을이므로 신송(新松)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연지(蓮池)·신송·노동(蘆洞)·미동(米洞)·구송(舊松)·신흥(新興)·석우(石隅)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신송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구송 북쪽에 소나무가 많이 자라는 송산(松山)이...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촌리는 자연 마을인 신촌마을의 지명을 취한 것이다. 신촌마을은 마을 뒷산 봉우리가 왕봉과 같다고 해서 왕재산이라 칭하고, 산은 왕이고 마을은 신하라는 뜻으로 왕신동으로 불리다가 후에 난세를 겪으면서 다시 일어선 마을이라고 해서 신촌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행정 구역. 산의 지형이 ‘마음 심(心)’자, ‘으뜸 원(元)’자와 비슷하여 심원이라 하였다. ‘심’자의 첫 번째 점은 양산골에서 맥(脈)을 이루어 내려오다가 고인돌군이 형성된 비석바위등에 해당하고, 가운데 점은 여양진씨(驪陽陳氏) 선산인 큰똥뫼에 해당하며, 오른쪽 점은 밀양손씨(密陽孫氏) 효열각이 있는 작은똥뫼, 구부러진 획은 월산(月山) 뒷산에 해당한다....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월산리에 있는 심원면 관할 행정 기관. 심원면사무소는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과 관련된 지방 행정의 기초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군(府郡) 폐합 시 심원면으로 하여 10개 법정리로 관할 행정 구역을 개편하였다. 면사무소가 설치된 시기는 뚜렷한 기록은 없으나 그 무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65년 3월 10개 법정리·2...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행정구역. 아산면은 대아(大雅)의 ‘아’자와 산내(山內)의 ‘산’자를 따서 아산(雅山)이라 하였다. 마한 시대에 모이부곡현, 백제 시대에 모양부리현, 통일 신라 시대에 모양현·고창현, 조선 시대에 고창현이었다. 조선 말기에는 고창군 대아면 지역으로 회진(會津)·쌍천(雙川)·추동(秋洞)·선동(仙洞)·동촌(東村)·사동(寺洞)·양정(良丁)·대야(大也)·서당(書堂)...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에 있는 아산면 관할 행정 기관. 아산면사무소는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과 관련된 지방 행정의 기초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아산면은 마한(馬韓)시대에는 모량부곡(毛良夫曲), 신라시대엔 모량부리(毛良夫里)인 고창현에 속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시 대아면(大雅面)과 산내면(山內面)의 일부를 합쳐 아산면이라 칭하게 되었다. 면사무소가 설치된...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연화리는 연화봉(蓮花峯)[224m]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연화라 하였다. 조선 시대 무장군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연화리·월산리(月山里)·화산리(花山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연화리라 하고 심원면에 편입하였다. 금산(琴山) 남쪽에 산세가 순하고 아름다워 각시와 같다는 각시매[일명 씨산(氏山)]가 솟아...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산리는 자라 모양 처럼 생긴 오미등 밑에 있는 마을이므로 오산(鰲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상오산(上鰲山)·하오산(下鰲山)·우수점(雨水店)·구정리(九井里), 이서면 동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오산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하오산 앞들 가운데 둥그런 똥...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행정구역 개편 전에 있던 지명 중 오태(五台)의 ‘오’자와 석호(石湖)의 ‘호’자를 따서 오호(五湖)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현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호·신조(新造)·오태·교촌 각 일부, 북면의 회목 일부를 병합하여 오호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석호[일명 차독배기]와 신조[...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옥산리는 마을의 산세가 구슬처럼 생겼으므로 옥산(玉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백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가라(加羅)·대산(垈山)·죽림(竹林)·신월(新月)·송정·덕림 각 일부, 대제면 성동 일부를 병합하여 옥산리라 하고 고창군 석곡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계리는 용이 계곡에 살며 등천하였다 하여 용계(龍溪)라 하였다. 1600년대 진주강씨가 터를 잡고 살았고, 그 뒤 부평김씨와 연안이씨가 같은 시기에 들어왔다고 한다. 조선 말기에는 고창군 산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인천(仁川)·원평(院坪)·신촌(新村)·오암(五岩)·용수(龍水)·용평(龍坪)...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기리는 풍수지리상 마을 앞산의 생김이 용의 형국이어서 용기(龍基)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수다동(水多洞)[일명 수대동]을 병합하여 용기리라 하고 심원면에 편입하였다. 웃뜸 남쪽에 삼망산(三望山)[일명 삼보래기]이 솟아 있어 산 정상에 오르면 정읍군의 영주산(瀛州山...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지형이 용이 서려 있는 형국이므로 용반(龍盤)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내남당(內南塘)·대양(大陽)·제내(堤內)·용반·관동(冠洞)·동신기(東新基)·회화정(回化亭)·외남당(外南塘)·중남당(中南塘)·오정(五丁) 각 일부, 부안군 건선면의 신흥·신정 각 일부를...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산리는 풍수지리상 마을 주위 산세가 용의 형국이므로 용산(龍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용산·신덕(新德)·반정(盤亭)을 병합하여 용산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용산 서남쪽에 산세가...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양리는 백운(白雲)의 ‘운’자와 조양(朝陽)의 ‘양’자를 따서 운양(雲陽)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일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백운·삼태(三台)·중등(中嶝)·조양·궁현(弓峴)·진목정(眞木亭), 이서면 석산(石山) 일부를 병합하여 운양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촌리는 조선 시대에 동원(東院)이 있던 마을이므로 원촌(院村)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일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원촌·송산(松山)·금곡(金谷)·송현(松峴)·덕흥(德興)·통정(桶井)·궁동(弓洞) 각 일부, 이동면의 하거·온금(溫金) 각 일부, 탁곡면의 안동 일부를 병합하여 원촌리라...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림리는 월구(月句)의 ‘월’자와 죽림(竹林)의 ‘임’자를 따서 월림(月林)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일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죽림·정동(井洞)·양곡(良谷)·월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월림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장재 뒤에 장재매[일명 장자산]가 솟아 있다. 산 밑에 장자가 살...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산리는 편월(片月)의 ‘월’자와 입산(笠山)의 ‘산’자를 따서 월산(月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입산·죽림(竹林)·송림(松林)·편월·토등(兎嶝)·내안(內安)·한정(漢井)·안유(安由)를 병합하여 월산리라 하고 성내면에 편입하였다. 내안촌 뒤 죽림[일명 대...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리제(古里堤)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제하촌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일남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제하(堤下)·내고(內古)·외고(外古)·성암(星巖)·종송 일부를 병합하여 제하리라 하고 고창군 신림면에 편입하였고,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따라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주진리는 고창 뱃나드리라고 해서 배날로 불리다가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오정동과 대야 일부를 통합하여 중심 마을인 주진의 이름을 사용하였다. 1731년(영조 7) 하대문이 하씨 다섯 가족과 함께 들어와 부유하게 살면서 마을을 이루었다. 1801년경(순조 1) 하대문 집안이 파산하여 이거하고 그 후 각 성씨들이 들어와 정착하였다. 처음 옆 마...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월리는 중복(中福)의 ‘중’자와 월산(月山)의 ‘월’자를 따서 중월(中月)이라 하였다. 1800년경부터 밀양박씨가 터를 잡고 살았다. 조선 말기 고창군 대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우동(右洞)·월산·월명(月明)·신월(新月)·상복(上福)·중복·신사(新巳)·상당(上堂)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월...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흥리는 통폐합된 여러 마을 중 중보(中洑)의 ‘중’자와 덕흥(德興)의 ‘흥’자를 따서 중흥(中興)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복·덕흥·계곡(鷄谷)·서당촌(書堂村)을 병합하여 중흥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서당촌 뒤로 알미[일명 난산(卵山)]가 솟아 있다. 부안면 오산리의...
-
동백(冬柏)[Camellia japonica]은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 교목이다. 때때로 줄기 밑동에서 많은 가지들이 나와 관목처럼 자라기도 한다. 수피(樹皮)는 회색빛이 도는 갈색이며 미끈하다. 잎은 가죽처럼 두껍고 어긋나며, 앞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초록색이나 뒷면은 노란색이 섞여 있는 초록색이다. 잎 가장 자리에는 끝이 뭉툭한 톱니들이 있다. 꽃은 빨간색이며...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치리(峙里)의 ‘치’자와 복룡(伏龍)의 ‘용’자를 따서 치룡(峙龍)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현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치리·구동(九洞)·동문(東門)·복룡·신흥(新興) 각 일부, 북면의 석우촌 일부를 병합하여 치룡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복룡 뒤쪽으로 배풍산 동쪽 줄기에 해당하...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양오행설을 기초로 땅에 관한 이치를 설명하는 이론. 풍수는 풍수 사상·풍수지리·풍수설·풍수 도참설 등 여러 가지로 불린다. 풍수 사상은 이를 논리 정연한 학문적 체계로 이해하는 태도이고, 풍수지리는 산의 배치와 물의 흐름, 지형과 방위, 하늘과 땅의 기운 등을 고려하여 인간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일을 하는 것이다. 풍수지리는 과거 역사 속에서 삶의 터전을 만...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갑리는 본래 고려 시대의 갑향(甲鄕)이었는데 발음이 잘못 전해져 갑평(甲坪)으로 불리었다. 1910년 갑평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갑평·하갑평·하갑이라 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청계공(淸溪公) 강순(姜恂)이 동지와 집안 장정 100여 명을 모아 근왕병(勤王兵)을 일으켜 남한산성으로 가던 중 굴욕적인 화친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창으로 내...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당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아랫남당·하남당(下南塘)·하남리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하남당·신흥(新興)·회화정(回化亭)·외남당(外南塘)·중남당(中南塘) 각 일부, 일동면의 산양·관동 각 일부, 부안군 건선면의 신흥리 일부, 고부군 서부면의 중리 일부를 병합하...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전리는 살마기[일명 전막(箭幕)]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서 하전(下田)이라 하였다고 한다. 조선 말기 무장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살마기·상전리·동전리·서전리·월산리·용기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하전리라 하고 심원면에 편입하였다. 살마기 남쪽에 예전 당산제를 지냈던 당산(堂山)[13m]이 솟...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학전리는 풍수지리상 마을 뒷산이 학형국인데 그 학이 밭에 내려와 앉은 모양이라 학전이라 부르게 되었다. 1826년(순조 26) 청도김씨가 터를 잡고 살았고, 160여 년 전 옥천조씨 5형제가 뿌리를 내렸다. 조선 말기에는 무장면 탁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매사(梅査)·두월(斗月)·장화·제내...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에 개가 있으므로 뒷개 또는 후포(後浦)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대촌(大村)·후포·용두(龍頭)·사포(沙浦)·석우(石隅)·신송(新松) 각 일부를 병합하여 후포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고말 북쪽에 비봉귀소혈(飛鳳歸巢穴)이 있다는 대성봉재[일명 죽봉정...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흥덕 읍내가 되므로 흥덕읍내 또는 흥덕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현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서부리·동부리·신조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흥덕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흥덕 북쪽에 배풍산(培豊山)[109.2m]이 솟아 있고, 솔아물[일명 효동(孝洞)] 앞에 솔아물방죽[일명 주교제(舟橋...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행정구역. 백제 시대에 흥성현, 고려 시대에 장덕현·흥성현, 조선 태조 때 흥덕현이었다. 조선 말기 현내면(縣內面)이 되어 한림(翰林)·녹사(綠砂)·동문(東門)·동부(東部)·서문(西門)·서부(西部)·복룡(伏龍)·신조(新造)·교촌(郊村)·오태(五台)·석호(石湖)·치리(峙里)·구동(九洞)의 13개 동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동사리에 있는 흥덕면 관할 행정 기관. 흥덕면사무소는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과 관련된 지방 행정의 기초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군(府郡) 폐합 때 현내면(縣內面)과 북면(北面)이 합쳐 흥덕면이 되었다. 면사무소가 설치된 시기는 뚜렷한 기록은 없으나 그 무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35년 3월 1일 면 폐합 및 구역 개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