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옥구읍
-
918년에서 1392년까지 고려 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의 역사. 757년(신라 경덕왕 16) 대대적인 행정 개편에 의해 군산은 임피군, 옥구현, 회미현으로 지명이 개정되었다. 이후 다시 고려시대에 옥구는 옥산으로, 회미는 연강으로, 임피는 취성현으로 변경되었고, 옥구현 옆에 문창현이 새로이 설치되어 네 개의 현이 존재했다. 그리고 고려 중기인 인종 21년에 문창...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농업 기반 사회를 중심으로 지어진 조선 후기 전통 한옥 형식의 주택. 군산 지역 고택은 대체로 조선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까지의 시기에 지어진 주택들이다. 대부분의 주택들이 군산 도심의 외곽에 자리 잡고 있는 주택들로 농업 경제를 기반으로 하여 논과 밭의 경작지를 배경으로 형성된 마을에 자리 잡고 있다. 군산시 옥구읍을 비롯하여 군산시 성...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일원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란 1983년 제정된 ‘농어촌 소득원 개발 촉진법’에 따라 농촌 지역에 공업을 유치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기하고, 나아가 지방 재정 확충 및 주민 소득 증대를 통한 도시와 농·어촌 간의 지역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조성된 공업 단지를 가리킨다. 옥구농공단지는 군산시 옥구읍에 상주한 농공...
-
전라북도 군산시 미성동에서 지역 특산품 ‘흰찰쌀 보리’ 홍보를 위해 매년 5월 열리는 축제. 군산 지역의 흰찰쌀 보리를 홍보하기위한 축제이다. 군산 흰찰쌀 보리는 대한민국 지리적 표시 등록 제49호가 되었다. 예로부터 땅이 비옥했던 군산·옥구 지역은 전국에서 손꼽히는 보리 주산지였다. 특히 옥구현에서 재배되는 보리는 조선 시대 임금님 진상품이었다....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보름날 전해지는 세시 풍속. 대보름은 한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고, 일 년의 운세를 점쳐보는 달이다. 군산시 옥구읍은 조선 시대 옥구 현청이 위치한 지역으로 현재 전승되는 대보름 놀이는 달집태우기 등이 있다. 정월 대보름날을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삼원’(三元)의 하나...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아이가 태어나고 1년이 되는 날을 기념하는 풍습. 군산시 옥구읍은 조선 시대 옥구현의 중심 지역으로 전씨, 송씨, 강씨, 김씨 등 많은 지역민들이 오랜 세월 거주해온 고장이다. 이곳에서는 돌을 초도일(初度日)·수일(晬日)이라고도 한다. ‘돌’이라는 말은 ‘주(周)’ ‘회(回)’등 한자의 뜻을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 돌...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행해지는 24절기 가운데 스물두 번째 절기 풍속. 동지(冬至)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는 날로, 태양이 적도이남 23.5도의 동지선[남회귀선] 곧 황경(黃經) 27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그래서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든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아기가 태어난 지 백일이 되는 날 치르는 풍습. 백일에는 아기가 백일동안 무사히 자란 것을 축하하며 이웃과 친척을 초대하여 간단한 잔치를 베푼다. 예로부터 백일을 맞이한 아기는 남아(男兒)와 여아(女兒)의 구분이 없이 무사히 자란 것을 대견하게 여기며 잔치를 벌여 이를 축하해주던 것이 우리의 풍습이다. 유래는 의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옛날...
-
근대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활동한 충신, 효자, 열녀에게 세운 비석을 비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운 건물. 군산 지역에 현존하는 비각은 군산 도심 외곽의 읍면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전통 한옥 형식의 비각은 대략 30여 동 정도가 현존하고 있는데 회현면과 옥산면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다음으로 옥구읍, 성산면, 임피면 등에 분포하고 있다. 비각 내부에는 대부...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어은리에 있는 하천. 어은천은 군산시 옥구읍 어은리 서마산 마을에서 옥구 저수지 남쪽의 어은리 어은동 마을을 지나 만경강 하구에 합류하는 규모가 작은 하천이다. 어은천이라는 명칭은 흐르고 있는 지역의 행정 구역 명칭인 어은리에서 유래하였다. 어은천이 시작되는 옥구읍 어은리 서마산 마을 서쪽에 옥구 저수지가 위치해 있...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오곡리에 있는 산. 영병산은 군산시 옥구읍 오곡리에서 옥구읍 어은리에 걸쳐 있으며, 서쪽 산줄기 끝이 만경강 하류에 인접한다. 영병산의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사자암 봉수대가 영병산에 있으며, 직경이 10간[약 18m]인 원형 토축이라고 기록하고 있어 영병산 위에 봉수대가 있었음을 알...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에 위치한 기업체 협의회. 옥구농공단지 입주기업체협의회는 산업 입지 기반 조성으로 공장 유치에 따른 고용 창출 및 지역 원자재 사용으로 농촌 지역 소득 증대 기여 및 지역 균형발전 도모하기위해 설립되었다. 옥구농공단지는 군산시 옥구읍에 상주한 농공 단지로서, 산업 입지 기반조성으로 공장 유치에 따른 현지인 고용 창출 효과...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에 있는 옥구읍 관할 행정 기관. 옥구읍사무소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주민 복리 증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옥구면으로 개칭하였고, 1980년 12월 1일 옥구읍으로 승격[령 제 10050호], 1989년 4월 1일 서부 출장소에서 옥서면으로 승격 분리하였다가 1995년 1월 1일...
-
757년부터 1895년까지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 지역에 설치하였던 행정 구역 명칭. 옥구현은 1995년 통합 이전 군산시 일대와 현 군산시 옥구읍·옥서면·옥산면·회현면 일대 지역이다. 백제 시대에는 마서량현(馬西良縣)이라 불렸다. 통일 신라 시대 전주(全州) 임피군(臨陂郡)[현재의 군산시 임피면 일대 지역] 관할 아래 있던 3개 현(縣)[함열현, 옥구현, 회미현] 중의...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평택 임씨 평원부원군파 입향조. 임덕온은 16세기 중엽에 옥구로 입향하였고, 이후 후손들이 옥구현 일대에 세거하면서 평택 임씨(平澤林氏) 평원부원군파(平原府院君派) 목사공파(牧使公派)를 형성하였다. 임덕온(林德溫)의 본관은 평택이고, 자(字)는 일묵(日默)이다. 평택 임씨 시조 임언수(林彦修)의 15세손이고,...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인동 장씨 입향조. 장수각(張壽珏)의 본관은 인동이며, 18세기 후반에 성주에서 옥구현으로 입거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군산시 옥구읍 일대에서 세거하여 왔다. 장수각의 자(字)는 검소(檢素)이다. 인동 장씨 시조 장금용(張金用)의 21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마시에 합격하고 세자 익위사 부솔을 지낸 장만기(張...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옥정리에 있는 고려말 절의(節義)로 유명한 장안세의 무덤. 전북 군산시 옥구읍 옥정리 척동 마을에 있다. 장안세는 본관이 옥산이며, 호는 송은이고, 후에 정은대부 덕녕 부윤에 봉해졌다. 조선이 건국된 후, 태조가 친필의 편지로 몇 번을 불렀으나, 끝내 관직에 나가지 않고, 옥산[지금의 군산시 옥구읍]에 은거하면서 일생을 마쳤다...
-
전라북도 군산 지역의 정월 설날 차례. 정초 차례란 새해의 첫날에 조상에게 전날 정성껏 준비한 음식을 아침에 제물로써 드리며 올리는 예식을 말한다. 제보자인 군산시 개정면 운회리 주민 이황세[67세] 씨에 따르면, 군산 지역 정초 차례는 떡국으로 지내기 때문에 간편하며 아침 밝아서 지내는 것과 축문을 읽지 않는 것이 기제와 다르다고 한다. 한편 군산시 옥구읍...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음력 팔월 보름에 행해지는 명절. 가배·가위·한가위 또는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한다.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에 있어 추석은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들을 수확하는 풍요로운 계절이 되었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삼국 시대부터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서기 32년(신라 유리왕 9)에 도읍 안의 부녀자를 두 패로 나...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빗물과 지표수가 모여 물길을 따라 흐르는 계통. 하(河)는 보통 큰 강을 뜻하고, 천(川)은 작은 강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큰 강을 강(江), 작은 강을 천(川), 또는 수(水)로 나타내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지표면에 내린 비나 눈은 일부는 지표면이나 수면에서 증발하고, 일부는 식물체를 거쳐 증발하여 대기 중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