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옛날부터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설화는 민속 문학의 하나로서 구비 문학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구(口)는 말을 뜻하고, 비(碑)는 기억을 뜻한다. 말과 기억에 의한 문학이 바로 설화이다. 설화는 구연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언제 어디에서나 말해질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설화는 창작, 전승, 전파 등에 다수의 사람이 참여하는 공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신성리 고암산의 각시앙골에 있던 각시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신성리의 고암산 바로 아래 칠성동마을에 1970년대까지 각시샘이 있었다. 지금은 그 자리에 건물이 들어서 있다. 고암산 아래를 ‘각시앙골’이라고 불렀던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각시샘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한창일 때 없앴다고 전한다. 각시샘에서 물을 마시면 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강감찬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강감찬 이야기」는 고려 시대의 명장이자 문신이었던 강감찬(姜邯瓚)[948~1031]의 비범한 행적에 관한 인물담이다. 강감찬은 귀주대첩과 같은 역사적 위업을 이룬 고려시대의 실존 인물로, 강감찬에 대한 민중들의 추앙심은 허구적 상상력과 결합하여 설화로 나타난다. 강감찬을 주인공으로 하는 설화는 여러 지역에서 조사되었...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석교리에서 개가장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가장터의 유래」는 공음면 석교리에 세워져 성해 오다가 일제 강점기에 폐쇄된 개가리 장터의 유래에 대한 지명전설이다. 또한 눈길도 아랑곳 하지 않고 제사 음식을 구하러 멀리 안자시장[현 해리시장]까지 가는 영모당(永慕堂) 김질(金質)[1496~1561]의 지극한 효성에 감동한 무장 원님이 개가리에 장을...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월산리 검당마을에서 천일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검당마을과 염정」은 선운사의 검단선사(黔丹禪師)가 인근의 도적들을 개과천선시키고 천일염 제조법을 가르쳐 새로운 삶을 열어준 데서 검당마을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또한 수년 전까지만 해도 마을 사람들은 검단선사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씩 선운사에 소금을 바쳤다...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에서 배맨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계선암 배맨바위」는 배를 정박하여 밧줄로 묶은 바위에 대한 암석 유래담이다. 해리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뻗어 있는 산등성이를 바라보면 밋밋한 산정에 우뚝 솟아 있는 신비롭고도 괴이하게 생긴 계선암이라는 바위가 있다. 이 바위는 높이 20m, 둘레 100m 정도의 퇴적암 무더기로 민둥한 산등성이에 위치하여 멀리서...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서 당태종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고창과 당태종」은 당태종이 옥황상제를 모시는 신하인 위진을 시험한 것과 별과에 급제한 선비의 사연을 담은 인물 전설이다. 이를 「정조지켜 별과 합격한 선비」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정조지켜 별과 합격한 선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당나라 태종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서 고창성의 축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고창성에 얽힌 이야기」는 고창성이 남자와 여자의 성 쌓기 내기를 통해 성을 쌓았다는 축성담이다. 고창읍 읍내리에 소재한 고창성은 고창읍성, 모양성이라고도 불린다. 고창성에는 손바닥만 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밟으며 도는 답성놀이가 전해지는데, 이렇게 하면 오래 살며,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한다는 전...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과거를 보러 가던 세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과거길에 종에게 봉변 당한 세 사람」은 동문수학한 세 선비가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주막집에서 하룻밤을 지낼 때 종에게 속아 밤새 고생했다는 소화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한 서당에서 세 사람이 글공부를 함께 했다. 김...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서 급제한 서생이 풀어준 청년의 한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과거길에 품은 의문이 급제 뒤에 해결된 이야기」는 한 서생이 한 청년의 도움으로 과거에 급제한 후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하룻밤 묵었던 집안의 의문을 해결하여 청년의 한을 풀어 주었다는 인물전설이다. 이를 「과거길에 품은 의문 급제 뒤에 해결」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 독곡마을 뒷산에 있는 관음정, 부처꽃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하갑리 독곡마을 뒤쪽 운곡 습지로 가는 길에는 사시사철 마르지 않는다는 관음정(觀音井)이 있다. 오래 전 불심이 깊은 불자가 매일 아침 이 관음정에서 물을 떠서 감로수(甘露水)로 공양을 하였고 ‘부처꽃’이라 불리는 꽃을 부처님께 봉양하였다는 이야기이다. 「관음정(觀音井)과 부처꽃」...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에서 구대 좌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구대 좌수가 난 의성김씨」는 우연한 선행으로 얻은 명당자리 덕에 의성김씨 가문에서 구대 좌수가 태어나게 되었다는 명당 발복담이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명당 발복 설화는 전통적인 풍수사상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특히 풍수는 당대보다는 후대를 위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한 일가에 미치는...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마래마을에서 말바위와 되바위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구암리의 말바위와 되바위」는 중국 진시황제가 만리장성을 축성할 때 최가라는 성을 가진 장수가 바위를 모으다가 성이 완공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쓸모없게 된 바위들을 구암리 마래마을에 폐기하였는데, 그 바위에는 각각 한 말과 한 되 분량을 가늠하기 위해 파 놓은 부분이 있어서 이를 말바위, 되...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군유리에서 장군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군유리의 장군바위」는 고창군 공음면 군유리에서 북쪽으로 약 2㎞ 지점 야산 능선에 있는 바위와 관련된 암석 유래담이다. 군유리 북쪽에는 크고 작은 여러 바위들이 있는데, 그중 가장 큰 바위가 장군바위다. 이 바위 속에는 위대한 장군이 들어 있어 나라가 어려울 때 장군과 그의 병사들이 바위에서 나와 나라를...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그림자와 병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그림자 때문에 병이 된 사연」은 법성에서 농악을 치던 사람이 샘에서 물을 마시다가 구포의 그림자를 실뱀으로 오인하여 병에 걸렸다는 인물 전설이다. 이를 「잘못 보고 생긴 병 치료」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잘못 보고 생긴 병 치료」라는 제목으로 수록...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서 강선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기생이 만든 강선교」는 조선 성종 연간에 강선이라는 기생이 사비를 털어 해마다 물난리로 큰 피해를 입는 냇물에 다리를 세웠다. 마을 사람들이 기생 강선의 거룩한 뜻을 기리기 위해 다리 이름을 ‘강선교’라고 했다는 교량 유래담이다. 원래 다리는 없어졌고, 현재 흥덕면 석교리에 있는 강선교는 새로 만든 것이다. 19...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살인 사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나무를 심어 살인을 면한 고을」은 한잿산의 학이 사두봉의 사귀를 보면 장날에 살인 사건이 발생하니 학이 사귀를 볼 수 없도록 과일 나무를 심어 더 이상의 살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는 풍수형 산악 전설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고, 2009년 고창...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 독곡마을에서 마을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하갑리 독곡마을에 ‘악마’라는 별명을 가진 ‘전하동’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전하동이 땔감을 구하러 인근 산에 오르다가 노루를 만났다. 그러나 전하동은 노루를 잡다가 노루를 놓치게 되고, 띠꾸리[지게에 짐을 묶는 줄]까지 잃게 되자 속상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입버릇처럼 “노야, 노야, 갈려거든 띠...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대흥리에서 개 무덤 비석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언젠가부터 대흥리 가비동을 개비골로도 부르는데, 개의 무덤 비석[犬碑]이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그렇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개의 무덤 비석은 가비동 마을 앞 고추밭에 가로로 45°쯤 비스듬하게 세워져 있다. 원래는 비석 두 개가 세워져 있었다고 하지만 2020년 현재는 높이 1m가 안 되는 비석 하나...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서 도깨비 방망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도깨비의 도움」은 과거 시험을 보러 가는 윤생원이 도중에 다투는 도깨비에게서 도깨비 방망이를 얻었다는 획득담이자, 진사 벼슬을 하고 부자로 잘 살게 되었다는 신이담이다. 이를 「도깨비 이야기」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도깨비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소금 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도둑 잡은 소금 장수」는 유기 반상 도둑을 우연히 잡거나 주인집을 털러 온 도둑을 목격하고 곡간 문을 잠가 도둑을 잡았다는 일종의 재치담이다. 소금 장수 이야기는 직업적 특성상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일종의 ‘꾀보[트릭스터]’ 유형의 설화라고 볼 수 있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 독곡마을에서 황새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하갑리 독곡마을에 사는 할머니가 손자에게 마을 앞 인천강[주진천]에서 황새가 물고기를 잡아 먹은 이야기를 하던 중 도둑이 들어와 할머니 이야기를 듣게 된다. 도둑은 할머니가 황새를 잡는 상황 이야기가 마치 도둑 자신에게 말하는 줄 알고 성급히 도망을 갔다는 내용이다. 「도둑을 물리친 황새 이야기」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서 망북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망북단의 사연」은 고창읍 도산리 지동마을 536번지에 남향을 한 한옥이 있고, 그 집 뒤안의 장독대 옆에 가로 344㎝, 세로 290㎝, 두께 60㎝, 높이 160㎝의 두 개의 판석으로 받힌 북방식 고인돌과 그 북쪽 주변의 남방식 고인돌 3기에 얽힌 지명 유래담이다. ‘도산리 고인돌[도산리 지석묘]’이라고...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김성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당 때문에 부자 된 김성수 집안」은 근대에 실존했던 인물인 인촌 김성수(金性洙)[1891~1955]에 대한 인물담이다. 김성수는 동아일보사를 창립하고 고려대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51년 대한민국의 제2대 부통령을 지낸 교육가·언론인·정치가이다. 그는 호남의 거부였던 김경중의 아들로서 전라북도 고창 출신이다. 고...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당 잡아 부자 된 사연」은 우연히 명당자리에 아버지의 묘를 쓰고 부자가 된 아들에 대한 풍수담이다. 이를 「우연히 명당쓰고 부자 된 외톨이」라고도 한다. 명당을 얻으면 운이 틔어서 복이 닥친다고 믿는 민간의 의식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다. 그래서 「명당 잡아 부자 된 사연」과 같이 명당을 얻은 뒤에 발복(發福)...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모양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모양성에 얽힌 이야기」는 모양현에 모양성을 쌓게 된 내력과 천오백 년의 기원에 대한 전설이다. 2006년 김정웅이 집필하고 고창문인협회에서 발행한 『시어로 감상한 고창 문화유산』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옛적 모양부리에/ 갈뫼 산자락 전설을 따라/ 아름 돌을 쌓아 놓았다.// 양지바른 보릿고개에/ 사방의 터를 잡아서/ 씨...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서 장자못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장군 장자면의 유래」는 나쁜 짓을 해서 돈을 벌면 천벌을 받는다는 내용과 약자에게 베풀지 못하고 인색한 사람은 재물이 아무리 넘친다 한들 결국에는 화를 당한다는 징계의 의식을 나타내는 응보담이다. 「무장군 장자면의 유래」와 같은 장자못 전설은 인색한 장자(長者)의 악행은 놀부의 모습과 겹치고, 장자의 악행을 수...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서 무장의 손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장의 손희와 관련된 이야기」는 무장에 사는 손희가 항상 과거에 떨어지다가 한 번은 순행을 도는 이에게 도움을 받았으나 결국 말을 잘 못해서 또다시 떨어지게 되었다는 과거 실패담이다. 이를 「손희 이야기」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손희 이야기」라는...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에서 병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반암리 병바위」는 신선이 잔치를 벌이고 취하여 자다가 소반을 걷어차 거꾸로 선 술병이 병바위가 되었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1992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고창군지』에 실려 있으며, 2009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고창군지』에 「병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선동(仙洞) 뒤 선인봉에...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백운리[현 운양리]에서 운중반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백운리 주변 지명의 유래」는 백운리를 중심으로 한 이웃 마을이 반달 형세를 지니고 있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고창군 흥덕면 운양리의 백운재에 운중반월이 있는데 이를 중심으로 삼탈, 백운리, 조양리, 벽송리, 달골, 산정 등의 장소가 모두 월자형 풍수와 관련이 있다. 조양리 주변 중에서 특히 창...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 독곡마을에서 솟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하갑리 독곡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마을 주민들이 솟대를 세워 도깨비 형제의 심술에 맞섰다는 내용이다. 「백학산 도깨비 형제 이야기」는 2020년 4월 5일 하갑리 독곡마을 주민 강신교[남, 72세]에게서 채록하였다. 독곡마을 백학산 봉우리 두 개에는 도깨비 형제가 각각 살고 있었다. 형제는...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괴치리 사천마을 뱀내골에서 달래의 효심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뱀내골 달래의 효심」은 고창군 성송면 괴치리에 살던 달래라는 여자 아이의 지극한 효심이 하늘을 감동시켜 마침내 아버지의 병을 고치게 되었다는 효행담이자, 마을의 냇물이 뱀내[蛇川]라는 지명을 갖게 되었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이야기의 뒷부분에 뱀내골의 지명 유래에 대한 다른 일설을 함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변망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변망암 이야기」는 우리 설화에 자주 등장하는 여우의 변신담과 변망암이라는 인물의 일생이 결합된 인물담이다. 변망암이 과거 길에 마부로 변한 여우를 만나 신이한 일을 겪고, 여우의 예언대로 삼대를 멸할 화를 면하게 된다는 점에서 보면 일종의 보은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약사와 호랑이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병 고쳐준 약사에게 보은한 호랑이」는 호랑이의 목에 걸린 비녀를 빼내 주는 황약사의 시은담이자, 그 은혜를 갚고자 동삼 두 가마를 주는 호랑이의 보은담이다. 이를 「백약이 무효」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으며, 2009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부곡리에서 마당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부곡리 마당바위」는 마당바위를 깨뜨려 버림으로써 요절이라는 재앙을 끌어들였다는 명당 훼손담이자, 도내기샘의 영험하다는 영천 유래담이다. 이를 「마당바위」라고도 한다. 노령산맥의 줄기인 고수면 부곡리 증산봉에서 서쪽으로 이어져 내린 곳에 먼 옛날부터 높이 3m, 넓이 20m 가량의 널찍한 바위가 있었는데,...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소금 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부자가 된 소금 장수」는 소금 장수가 행운에 의해 부자가 되었다는 소화담으로서 부자가 되고 싶은 민중들의 세속적인 욕망이 드러나 있다. 이외에도 소금 장수를 주인공으로 하는 다양한 설화들이 고창에서 많이 수집되었고, 다른 지역에서도 조사된 바 있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서 금돼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람으로 변하는 금돼지」는 최군수 부인이 슬기로 금돼지를 물리쳤다는 괴물 퇴치담이자, 사람으로 변신한 금돼지와 군수의 부인 사이에서 금돼지의 아들인 최치원(崔致遠)[857~?]을 낳았다는 동물 교구담이다. 이를 「금돼지 아들 최치원」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선산의 바위를 지킨 아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선산을 지킨 아이」는 선산의 바위를 없애려고 하는 영의정의 횡포를 막아내고 온전하게 바위를 지켜냈다는 김정승 아들에 대한 인물담이자 슬기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어 있다. 이군이 만기가 차면 영의정이 된다. 영의정이 더 크려고 하면 역적...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서 진흥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선운산 진흥굴의 유래」는 아산면 삼인리 선운산 사자암 앞에 있는 좌변굴이 진흥굴로 불리게 된 지명 유래담이자 중애암, 도솔암의 창건과 관련한 사찰 연기설화이다. 진흥굴은 신라 제24대 진흥왕이 태자 때부터 불교에 뜻을 두었다가 끝내 왕위를 물려주고 왕비와 중애공주를 데리고 선운사로 와서 승려가 되어 좌변굴...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서 사두봉과 용소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성내리 사두봉과 용소」는 사두봉을 깎아 우뚝한 뱀의 머리를 수그리게 하여 마을의 우환을 예방하였고, 사두봉에 느티나무를 심고 개구리 연못을 만들어 무장고을을 다시 번영하게 했다는 풍수담이자 지명 유래담이다. 이를 「사두봉 이야기」라고도 일컫는다. 무장면 성내리 옛 무장읍성이 자리 잡고 있는 북쪽 성...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어사 박문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어사 박문수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민담으로 고창 지역에도 다수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고창 지역에 박문수(朴文秀)[1691~1756]가 등장하는 이야기는 크게 5가지로 나뉜다. 어사 박문수의 사람됨에 관한 이야기, 억울한 죽음을 해결해 주거나 숨겨진 죄를 밝혀내는 이야기, 효부나 효자들의 행적을 기리는...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양계리에서 영천 우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영천에 서린 효심」은 세 아들의 지극한 효성에도 불구하고 청춘과부로 살아온 모친이 남편에게 받지 못한 정을 아쉬워하자 옆 마을에 사는 홀아비 훈도(訓導)와 결연을 성사시켰다. 그러나 큰 비로 물이 넘쳐 지속적인 만남이 불가능해지자 집 앞에 샘을 파서 시원한 정화수로 모친의 마음을 달랬다는 천정(穿井)...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성남리에서 용대밭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용대밭과 소금장수」는 고창군 대산면 성남리 마을 뒤에 있는 용대밭에 얽힌 지명 유래담이다. 하늘에 오르려던 용이 떨어져 죽은 대밭을 용대밭이라고 부르는데, 거기에 용이 생전에 살았던 용굴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고 한다. 1992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고창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대산면 성남리 마을...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장곡리에서 우레정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우뢰정이 생긴 유래」는 고창군 공음면 장곡리에 있는 남평문씨의 시제산 아래에 위치한 샘에 얽힌 지명 유래담이다. 이를 「우레정이 생긴 유래」라고도 한다. 공음면 장곡리 축동은 남평문씨의 세거지이며, 시제산이 있는 곳이다. 무장의 농민군 접주로 활동하다 1894년 12월 27일 체포돼 포살당한 문덕중도 그...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서 이서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서구 설화」는 조선 후기의 실존 인물로서 문신이자 문인이었던 이서구(李書九)[1754~1825]의 비범한 행적에 관한 인물담이다. 그는 여러 벼슬을 역임하면서 두 차례에 걸쳐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목민관으로서 탁월한 능력과 선견지명을 발휘하였으며, 백성들의 칭송이 자자했다. 그의 이런 행적은 설화로 전승되...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사포리에서 소나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포리 사포마을 안 짐대와 해수탕 중간 지점에 소나무 두 그루가 늘 푸른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소나무 두 그루는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한 그루로 보여 ‘이일송(二一松)’이라고도 한다. 1900년대 초 청나라 ‘청송(靑松)’과 주막집 딸 ‘명주’와의 사랑 이야기이다. 「이일송(二一松)」은 2011년에 출간...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 독곡마을에서 장자라는 구두쇠와 관련된 연못에 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 독곡마을 앞에는 고창천과 주진천이 합류하는 쌍천이 있다. 이 쌍천은 인천강(仁川江)이 시작되는 지점인데 부근에 2,500여 평[약 8,264㎡] 규모의 ‘장자못’이 있다. 「인천강 장자못」은 이 장자못과 관련한 이야기이다. 「인천강 장자못」은 200...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에서 전봉준과 삼암 선생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봉준의 출생과 최수운」은 동학의 전봉준을 비롯하여 의암(義庵) 손병희(孫秉熙)[1861~1922], 송암(松庵) 손천민(孫天民)[?~1900], 구암(龜庵) 김연국(金演局)[1857~1944] 등 삼암(三庵) 선생에 관한 인물담이다. 「전봉준의 출생과 최수운」은 동학 농민혁명 당시 북접(北接...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부곡리에서 성산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절터만 남은 성산사」는 절터만 남은 성산사에 얽힌 지명 전설이다. 이를 「절터뿐인 성산사」라고도 한다. 고수면 부곡리에는 성산사의 옛 터가 쓸쓸하게 흔적만 남아 있다. 1992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고창군지』에 실려 있으며, 2009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고창군지』에 「절터뿐인 성산사...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낙산마을에서 거북바위[칠성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산림리 낙산마을은 제성산(帝城山)으로, 동래 정씨가 신령의 계시를 받고 자력(磁力)을 띠는 돌을 가져다 두었다고 한다. 이 돌이 바로 제성산에 있는 거북바위로 윤도장이 방위각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거북바위는 일명 ‘칠성바위’라고 하며, 장군이 전투를 하면서 일곱 명의 장수...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서 파묘된 못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파묘된 못 이야기」는 부친의 원수를 갚으려는 하인의 아들이 알려준 거짓 명당자리 때문에 백관수(白寬洙)[1889~?] 일가가 파묘하고 낭패를 보게 되었다는 풍수담이다. 고창 출신의 백관수는 독립운동을 하다 납북된 인물이다. 도선선사(道詵禪師)[827~898]가 쓴 「옥룡자유산록(玉龍子遊山錄)」에는 그 일가의...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나성리에서 구례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풀이 나지 않는 구례산」은 해리면 나성리 구례물마을에 위치한 야산인 구례산에 풀이 나지 않는 유래를 담은 지명전설이다. 이를 「풀이 안 나는 구례산 능선」이라고도 한다. 지금도 구례산 능선에는 풀이 나지 않고 검붉은 황토에 소나무 몇 그루만이 서 있다. 1992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고창군지』에...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에서 애기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학전리 애기바위」는 여인이 아기를 업고 서 있는 것같이 생겼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이를 그냥 「애기바위」라고도 한다. 「학전리 애기바위」는 장자못 전설의 유형으로서 못된 시아버지와 착한 며느리의 모습이 대조되어 권선징악의 양상을 띤다. 1992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고창군지』에 실려 있으며,...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에서 깨진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학전리의 깨진바위」는 자식을 팔아 자신의 배를 불리고자 한 매정한 어머니가 천벌을 받아 죽은 징벌담이다. 깨진바위는 바로 그 어머니가 자식을 팔고 받은 돈을 세다가 벼락을 맞아 깨진 바위에 깔려 죽은 곳으로, 비가 올 때마다 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린다 하여 ‘명성철’이라고 부른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대산면...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학천리에서 각시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학전리 마을의 각시바위」는 고창군 성송면 학천리에 소재한 운선암(雲禪庵) 근처에 있는 양춘암이라는 바위 이름에 얽힌 암석 유래담이다. 이를 「운선암 마애여래입상」, 「양춘암 여인상」, 「양춘이바위」라고도 한다. 스님이 몰래 더듬은 왼쪽 가슴을 스스로 자르고 죽은 양춘이라는 여인의 정절을 기려 바위에 그...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계산리 사신원마을에서 신라 김유신 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계산리 사신원(四信院)마을은 옛날 공적 임무를 띠고 지방에 파견된 사신들이 묵었던 숙박 시설인 사신원이 있던 곳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사신원은 무장현에 있던 원(院)으로 사신들이 이곳에서 머물며 인천강[주진천]을 건너다녔다고 한다. 「할매바위 오은굴과 김유...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호랑이 굴에서 탄생한 아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 굴에서 태어난 아이」는 어느 약사 부부가 호랑이의 도움으로 아들을 낳고, 명당자리에 묘를 써서 아들이 정승까지 되었다는 인물담이자 풍수담이다. 이를 「호랑이 굴에서 낳은 아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호랑이 굴에서 낳은 아이」...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서 호랑이가 된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가 된 남자」는 밤에는 호랑이, 낮에는 사람으로 살던 정생원이 부인에게 들켜 다시 사람으로 변신하지 못하고 호랑이로 살게 되었다는 동물담이다. 이를 「호랑이로 둔갑한 사람」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호랑이로 둔갑한 사람」이라는 제목으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화산리 복호마을에서 수원백씨 열녀와 열녀각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화산리의 열녀」는 고창읍 화산리 복호마을[현재 새터마을]에 세워져 있는 열녀각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열녀담이다. 이 열녀각은 남편이 죽자 삼년상을 치르고 난 후에 남편을 따라 죽은 수원백씨를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이렇게 밀양박씨 처 수원백씨 열녀에 대한 이야기가 고창읍 일대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황희 정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황희 정승 이야기」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 때의 실존 인물로 청렴결백한 정승으로서 명성이 높았던 황희(黃喜)[1363~1452]에 관한 이야기이다. 황희는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했으나 태조의 요청과 두문동 동료들의 천거로 다시 벼슬길에 올랐다. 그는 세종의 치세 하에서 18년 간 영의정에 재임하였고, 어진...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후포리에서 해수탕과 용샘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후포 해수탕과 용샘의 유래」는 나병에 걸린 태자가 해수탕(海水湯)에서 목욕을 하고 나았다는 신이담이자, 도사에게 물을 대접하고 얻은 용샘은 샘을 막고 있는 바위 윗부분에 용이 승천한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 유래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소금 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흥덕원님이 된 소금 장수」는 소금 장사를 하다가 꾀를 써서 흥덕 원님이 된 후, 선정을 베풀었다는 인물담이자 출세담이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어 있다. 흥덕 읍내 밖에 뒤깨삿바라는 곳이 있었다. 그곳에 사는 사람이 아들 형제를 낳고 죽었다. 남자가 죽은...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서 흥덕 원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흥덕의 사령 자랑 이야기」는 흥덕현감으로 부임한 강감찬(姜邯贊)[948~1031] 장군이 염라대왕을 잡아 와서 알 수 없는 병으로 죽은 4형제의 원인을 밝히고, 범인을 잡아서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한을 풀어 주었다는 지략담이다. 이를 「염라대왕을 잡아 온 흥덕원님」이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서 희어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아산면 성산리 월성에서 선운사로 넘어가는 고개가 희어재이다. 「희어재의 유래」는 무장면과 해리면 쪽에서 선운사로 가는 고개에 얽힌 지명 유래담이다. 1992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고창군지』에 실려 있으며, 2009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고창군지』에 「희어재」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참당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