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하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홍이상을 모시는 서원. 홍이상은 본관이 풍산(豊山)으로, 자는 원례(元禮), 호는 모당(慕堂)이다. 1579년(선조 12) 식년시에 장원 급제하였으며 예조와 호조의 좌랑과 정언(正言)을 거쳐 수찬(修撰), 기랑(騎郞) 교리를 역임하였으며, 집의, 응교, 직제학, 동부승지 등을 거쳐 이조참의에 올랐다. 임진왜...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하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홍이상을 모시는 서원. 홍이상은 본관이 풍산(豊山)으로, 자는 원례(元禮), 호는 모당(慕堂)이다. 1579년(선조 12) 식년시에 장원 급제하였으며 예조와 호조의 좌랑과 정언(正言)을 거쳐 수찬(修撰), 기랑(騎郞) 교리를 역임하였으며, 집의, 응교, 직제학, 동부승지 등을 거쳐 이조참의에 올랐다. 임진왜...
-
조선 중기 전주이씨 진안대군파 충주 입향조. 본관은 전주(全州). 아명은 현덕(玄德), 초명은 덕명(德明), 자는 하경(厦卿). 진안대군의 후손으로 슬하에 이연지(李延芝), 이연명(李延蓂), 이연래(李延萊) 3남을 두었다. 1576년(선조 9) 충청도 괴산에서 태어난 이덕량은 1590년대 현 충주시 주덕읍 제내리로 이주하여 정착한 전주이씨 진안대군파 입향조이다. 관직으로는 행용양위...
-
1946년 미군정이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실시한 미곡 수집 정책. 미군정 당국은 1945년 10월 5일에 일반고시 제1호 「미곡의 자유시장」을 공포해 일제가 1942년 이후 본격적으로 실시해오던 식량통제 정책을 해제했다. 하지만 미곡(米穀)의 자유시장 정책은 미가(米價)의 폭등만 야기하며 사실상 실패하게 되었다. 미군정 당국은 1945년 11월 19일에 일반고시 제6호 「미곡통제...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호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충주시 세거 성씨. 전주이씨는 신라 때 사공(司功)을 역임한 이한(李翰)을 시조로 한다.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이한의 22세손이지만 이성계의 고조할아버지인 목조 이안사(李安社) 이전의 계보는 전혀 기록으로 전해지지 않는다. 전주이씨의 분파는 120여 파로 거의 대군(정비의 소생)과 군(후궁의 소생)을 파조로...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무신. 본관은 평택(平澤). 증조할아버지는 증통훈대부 임재극(林栽克)이며, 할아버지는 증통정대부 임회영(林晦榮)이며, 아버지는 증가선대부호조참판 임기국(林基國)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1868년(고종 5) 용양위부사정(龍驤衛副司正)이 되었고, 1870년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1871년 훈련원판관에 이어, 1875년 행부산포진수군첨절제사로...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에 속하는 법정리. 충주군 금천면 지역으로 거북바위 아래쪽에 있다고 해서 하구암리(下龜巖里)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상구암리, 하구암리라는 현재와 같은 이름은 1912년의 『구한국 지방행정구역 명칭일람』에 처음 나타난다. 본래 충주군 금천면 지역으로 1898년에 나온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를 보면 금천면은 창동, 누암, 광대, 인담,...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중앙탑면 소재지에서 충주 고구려비를 지나면 하구암리로 들어서면 좌우의 산자락과 능선에 하구암리 고분군이 위치해 있다. 하구암리 고분군은 일찍부터 돌방무덤과 돌덧널무덤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최근까지도 도굴이 자행되던 곳이었다. 1992년 충주 누암리 고분군에 대한 지표 조사에서 하구암...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상구마을에 있는 고려시대 돌덧널무덤. 중앙탑면에서 노은 방면 지방도 520호선을 따라가면 왼쪽으로 건국대학교 농장이 나온다. 이곳으로 들어서 고속도로가 지나는 산 능선 위쪽에 해당한다. 하구암리 능골 고묘군은 1997년 중부내륙고속국도 건설 구간 문화 유적 지표 조사에서 확인하였다. 그러나 그 후 경작지로 개간되면서...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석탑. 원래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묘곡의 새마을창고 옆 장병만 가택 후원에 세워져 있던 것을 충주박물관으로 옮겨 세운 석탑이다. 많은 부재들이 결실되어 원래의 모습을 추정하기 어려운 상태이며, 전체적으로 치석 수법도 조잡한 편이다. 다만 전체적인 외관과 부재들이 석탑 양식을 취하고 있다. 하구암리...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입상. 하구암리 석불입상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62번지 묘곡마을에 있었다. 현재 충주박물관 민속자료실로 옮겨 전시되고 있는데, 묘곡마을에서는 이 불상과 함께 삼층석탑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이 일대가 사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각 수법이 소략한 석불입상으로, 머리는 소발...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석탑. 원래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묘곡의 새마을창고 옆 장병만 가택 후원에 세워져 있던 것을 충주박물관으로 옮겨 세운 석탑이다. 많은 부재들이 결실되어 원래의 모습을 추정하기 어려운 상태이며, 전체적으로 치석 수법도 조잡한 편이다. 다만 전체적인 외관과 부재들이 석탑 양식을 취하고 있다. 하구암리...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퉁점마을에 있는 시대 미상의 야철지. 중앙탑면 하구암리 퉁점마을은 동쇠를 녹이던 곳 또는 대규모의 부대가 주둔하던 곳으로 전한다. 주둔하던 병력은 충주 고구려비와 연관지어 고구려군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하구암리 퉁점마을에는 마을 어귀에서부터 뒷산 일대에 이르기까지 100여 기가 넘는 대규모의 고분이 분포한다. 하구암리 중구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에서 발굴된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고분과 요지 유적.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에 소재한 주식회사 애강에서 충주공장 설립을 계획하고 사업 시행에 앞서 2006년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이 문화재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6기의 고분이 발견됨에 따라 다른 문화재 잔존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상구마을에 있는 삼국시대와 조선시대 유적. 중부내륙고속도로 건설 구간에서 발굴 조사된 유적으로, 숯가마, 돌방무덤, 돌덧널무덤, 야철유구, 움무덤, 구상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중부내륙고속도로 구간 능골과 도장골 유적 사이에 있다. 중앙탑면에서 노은면 방면으로 520번 지방 도로를 따라가면 왼쪽으로 건국대학교 농장 위...
-
충청북도 충주시 봉방동에 있는 기독교한국침례회 소속 교회. 비전교회는 예수그리스도를 믿지 않는 사람들을 주님께 인도하여 그리스도의 성숙한 제자가 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비전교회는 1956년 8월 1일 백동호 전도사가 충주시 역전동(현 문화동) 671-40번지 옛 충주상공회의소 자리에 천막을 치고 단독 개척을 하면서 전도에 힘쓰자 미국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와 앙성면 용대리 경계에 있는 고개. 노은면 연하리 하남마을 뒤에 있는 고개라서 붙은 이름이다. 일명 하남현(河南峴)이라고도 한다. 하남고개 서쪽에는 국망산[770m]이 있고 동쪽에는 보련산[764m]이 있으며 보련산의 동쪽에 마주 보이는 곳에 장미산[342m]이 있다. 보련산과 장미산에는 보련산성과 장미산성이 있는데 축...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와 앙성면 용대리 경계에 있는 고개. 노은면 연하리 하남마을 뒤에 있는 고개라서 붙은 이름이다. 일명 하남현(河南峴)이라고도 한다. 하남고개 서쪽에는 국망산[770m]이 있고 동쪽에는 보련산[764m]이 있으며 보련산의 동쪽에 마주 보이는 곳에 장미산[342m]이 있다. 보련산과 장미산에는 보련산성과 장미산성이 있는데 축...
-
1978년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강준희가 14편의 단편을 모아 발간한 소설집. 『하느님전상서』는 강준희가 그동안 각종 문예지 및 동인지에 발표한 단편을 모아 펴낸 작품집이다. 두 번째 단편의 제목을 책의 제목으로 하였는데,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과 재미를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인 속물들의 가장 인간적인 면을 담고 있다. 단편 「하느님전상서」는 일개 촌부가 하느님께 소 한 마...
-
2006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인 최종진의 창작 시집. 『하늘 가는 그 길이』는 충청북도 충주에서 자라고, 현재 충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최종진 시인의 세 번째 시집이다. 60여 편이 수록되어 있는 『하늘 가는 그 길이』는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제1부는 ‘달맞이꽃’, 제2부는 ‘당신에 대한 나의 사랑이’, 제3부는 ‘불꺼진 내 창에...
-
1974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시인 김기태의 창작 시집. 김기태는 1938년 태어나 1977년 생을 마감하였다. 『한국일보』와 『사상계』에 입선한 기록이 있다. 시에 대한 열망으로 일생이 불행했지만 순수하게 살다간 시인으로 기억된다. 총 52쪽 분량에 시 26편과 산문이 실려 있다. 시집은 3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하늘의 시’, 2부는 ‘땅의 시’라는 제목으...
-
계립령(鷄立嶺), 겨릅산, 대원령(大院嶺), 한훤령(寒喧嶺) 등으로 불리는 하늘재는 영남과 기호를 연결하는 최초의 교통로로 알려져 있다. 『삼국사기』 권2 신라본기에 의하면 제8대 아달라(阿達羅)이사금 3년(156)에 개통시킨 교통로임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통로인 죽령(竹嶺)보다 2년 앞서 개통된 길이다. 이 길을 발판으로 한강 유역 진출이 가능하였고 고구려의 남하도...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읍 관음리를 연결하는 고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하늘재는 156년(아달라이사금 3)에 길이 열림으로써 백두대간을 넘는 최초의 통행로가 되었다. 신라의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고구려 온달장군 등의 전설에도 등장하는 유서 깊은 고개이다. 고려 말기 왜구가 창궐하면서 조운(漕運)이 육운(陸運)으로 바뀔 무...
-
충청북도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에 축조된 고대 산성. 산성의 축성과 관련한 문헌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신라 북진 거점과 전초기지로서 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훤령 산성이 위치한 곳은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충주시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관음리의 경계로, 소백산맥의 포암산[961m]과 부봉[925m] 사이의 안부(鞍部)에 형성된 교통로인 하늘재[530m]에...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읍 관음리를 연결하는 고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하늘재는 156년(아달라이사금 3)에 길이 열림으로써 백두대간을 넘는 최초의 통행로가 되었다. 신라의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고구려 온달장군 등의 전설에도 등장하는 유서 깊은 고개이다. 고려 말기 왜구가 창궐하면서 조운(漕運)이 육운(陸運)으로 바뀔 무...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읍 관음리를 연결하는 고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하늘재는 156년(아달라이사금 3)에 길이 열림으로써 백두대간을 넘는 최초의 통행로가 되었다. 신라의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고구려 온달장군 등의 전설에도 등장하는 유서 깊은 고개이다. 고려 말기 왜구가 창궐하면서 조운(漕運)이 육운(陸運)으로 바뀔 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에 정착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 시언(時言), 자는 자중(子中), 호는 하담(荷潭), 시호는 충익(忠翼). 할아버지는 영상공 김석(金錫), 아버지는 비안현감을 지낸 김인갑(金仁甲),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1605년(선조 38)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로 벼슬길에 나아갔다. 1607년 승정원주서, 1609년(광해군 1) 예조좌랑겸지...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소(강 하구의 늪)가 있었으므로 하소 또는 하담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가차면(加次面)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담리(斗潭里)·상잠리(上岑里)·사랑동(沙浪洞)·사천리(沙川里)의 각 일부 지역이 통합되어 하담리로 개편되었다. 1996년 면소재지를 공군비행장의 소음의 피해 때문에 도촌리로 이전하면서 행정리동...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하담리 하시마을에 있는 구석기시대로 추정되는 뗀석기산포지. 지질학적으로 사람이 지구상에 등장한 신생대는 제3기와 제4기로 나뉜다. 인류는 신생대 제3기 말에 등장하여 제4기와 현생대를 살아가고 있다. 보통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제4기인 프라이스토세(홍적세)를 기반으로 생활했으며, 구석기시대 이후의 사람들은 지금으로부터 1만2천년 전인 충적세 토양 위...
-
조선 후기 공청도관찰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경양(景養), 호(號)는 하당(荷堂). 증조할아버지는 민각수(閔覺洙)이며, 할아버지는 민백준(閔百準)이고, 아버지는 민용현(閔龍顯)이다. 어머니 김씨(金氏)는 김세순(金世淳)의 딸이다. 여양부원군 민유중(閔維重)의 5대손이다. 민치상은 1845년(현종 11) 생원이 되었고, 이듬해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했...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경상도관찰사의 지방관에 대한 인사고과문서. 경상도관찰사가 경상도 지역 90여 곳의 지방관에 대해 평가한 인사고과문서이다. 계급·성명·특별내용을 기록하고 그 아래에 상·중·하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여기에서 하등(夏等)이란 관직의 등급을 춘·하·추·동 넷으로 나눈 것의 둘째를 의미하며, 폄목(貶目)의 폄(...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남동에 있는 복지 단체. 지역 사회 내에서 방과 후 방치되는 아동들과 빈곤 가정 아동들의 학습 의지의 고취와 함께 이들에 대한 학습 지도 및 생활 지도를 위해 설립되었다. 1995년 4월 1일 김형만 센터장이 안림공부방을 개원하였으며 2005년 10월 지역아동센터로 충주시에 등록하였다. 2008년도에는 프로그램지원사업(공동모금회)에 선정 되었다. 201...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 낙향한 문신. 안경열의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경옥(景玉)이요, 호는 하산(荷山)이다. 참봉 안택범(安宅範)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파주목사 안성연(安性淵)이며, 아버지는 통덕랑 안정교(安廷敎)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 이재관(李載寬)이며, 생부는 중추원의관 안정료(安廷燎)이고 생모는 창영성씨(昌寧成氏) 성덕입(成德立)이다....
-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기업가. 하상우는 1953년 충청북도 충주시 성서동에 있는 충주제사공장을 경영하기 시작하여 1992년까지 사장으로 재직하였는데 전쟁 복구 시절에 충주제사공장에서 나오는 번데기는 시민의 단백질 공급원이 되었다. 제3대 충주상공회의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1970년 충주문화방송 이사로 활동하였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증조할아버지는 증영의정 이란(李鸞)이고, 할아버지는 선무공신 이극일(李克一)이고, 아버지는 부판결사를 지낸 이정(李淀)이고, 어머니는 참판 김반(金槃)의 딸이다. 상국(相國)을 지낸 이완(李浣)의 조카이다. 1645년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비변랑(備邊郞)·사복내승(司僕內乘)을 거쳐, 1649년 영일현감(迎日縣監...
-
조선 전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는 목옹(木翁). 조부는 하즙(河楫)이며 아버지는 대사헌(大司憲) 진산군(晉山君) 하윤원(河允源)이다. 처부는 판서 정우(鄭寓)이며 아들로는 하광(河廣)·하형(河逈) 및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과 대사간을 지낸 하결(河潔)·하보(河溥)가 있다. 하자종(河自宗)은 고려조에서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냈다. 1396...
-
충청북도 충주 지역의 육지 표면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충주 지역에는 태백에서 발원하여 정선·영월·단양·제천을 지나 충주·여주로 흘러나가는 남한강이 중앙부를 관통하고 있다. 남한강은 북한강과 함께 한강의 2대 지류로서, 태백에서 양수리까지 약 400㎞를 흘러가는 큰 하천이다. 또한 탄금대 부근에서는 남한강의 제1지류인 달천이 합류하면서 넓은 달...
-
충청북도 충주시 직동에 있는 남산 등에서 발원하여 시가지의 중심부를 지나 탄금대 서쪽에서 달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충주시가의 중심부를 흐르는 하천이어서 충주천이라 부르게 되었다. 길이 10.50㎞이며, 교현천과 함께 충주시가지를 흐르는 중요한 하천이다. 충주분지를 남동~북서로 관통하며 흐르면서 구릉대와 달천평야 곳곳에 충적지를 만들고 있다. 상류는 남산과 대림산 일대로서...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손동리와 하천리를 연결하는 다리. 동량면 하천리 마을의 이름을 따서 하천교가 되었다. 길이는 300m, 폭은 7.5m, 유효 폭은 6m, 높이는 36m이다. 경간은 각각 50m의 3경간 연속 강판형교로서 총 6개로 되어 있다. 차선은 2차선으로 설계하중 DB-18로 하여 2등교로 설계되었으며, 난간은 좌측·우측에 방지턱을 50㎝, 폭 7...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하곡리(荷谷里)와 만천리(萬川里)에서 ‘하(荷)’자와 ‘천(川)’자를 따 ‘하천(荷川)’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동량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하곡리와 만천리가 통합되어 하곡리로 개편되었다. 1956년 7월 8일 충주읍이 충주시로 승격됨에 따라 중원군에 속하게 되었고, 19...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에 있는 이철재의 처 경주김씨의 효부비. 이철재의 부인 경주김씨는 27세에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두 아들을 훌륭하게 성장시킴은 물론 시부모의 병환을 10여 년 동안 뒷바라지한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967년 수몰된 개천사 유물을 모아놓은 소공원 들머리에 효부비를 세웠다. 충주 동량면사무소가 위치한 조동리에서 좌회전하여...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에 있는 고려 전기 절터. 정토사는 고려 전기에 번성하였던 사찰로, 충주 개천산 옥녀봉 아래에 있었다. 옥녀가 옥경대를 내려다보며 화장하는 형국인데 그 사이에 정토사가 있었다. 정토사는 법경대사와 홍법국사가 주석한 가람으로,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가 있었다. 그러나 법경대사 자등탑은 소재 불명이고,...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에 있던 초기 철기시대에서 삼한시대에 이르는 생활 유적. 하천리 유적은 동량면 하천리의 창내(제천천) 옆 밭에 위치해 있었으나, 현재는 충주댐의 담수로 인해 수몰되었다. 창내가 S자형으로 감아 돌면서 흘러 하천리·지동리·서운리를 지나 남한강 본류에 합해지는 지점이다. 1983년과 1984년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 유적 조사의 일환으로...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국곡마을에 있는 정려문. 전주이씨 이유양의 처 효녀 숙인 풍산홍씨는 전적(典籍) 홍봉상(洪鳳詳)의 딸로, 시어머니의 병환이 위중함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넣어 즉시 완쾌시켜 명정되었다. 효자 통덕랑 이적은 이유양의 장남으로, 효가 극진하여 증집의(贈執義)하고 명정되었다. 효자 증 통훈대부 사복시정 이서는 이적의 아우로 역시 부친...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하곡마을 주민들이 가뭄이 심할 때 지내는 마을 제사.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하곡마을에서는 예로부터 날이 가물어서 농사에 피해가 심하게 되면 기우제를 지내왔다. ‘무제’라고도 한다. 동리 책임자인 이장과 마을 유지들이 의논하여 기우제를 지내기로 결정하면 우선 희생이 될 돼지를 준비하였다.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가 제당이 되었다....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에 있던 초기 철기시대에서 삼한시대에 이르는 생활 유적. 하천리 유적은 동량면 하천리의 창내(제천천) 옆 밭에 위치해 있었으나, 현재는 충주댐의 담수로 인해 수몰되었다. 창내가 S자형으로 감아 돌면서 흘러 하천리·지동리·서운리를 지나 남한강 본류에 합해지는 지점이다. 1983년과 1984년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 유적 조사의 일환으로...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어사로 활동했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학광(學光), 시호는 충민(忠愍). 증조할아버지는 김영유(金永濡), 할아버지는 김훈(金薰), 아버지는 이조판서에 추증된 김세필(金世弼)이다. 1539년(중종 34)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1542년에 심한 흉년이 들자 경상도와 충청도에 어사로 파견되어 진휼했다. 인종 초에...
-
목계 서북쪽 입구 노변공원과 목계줄다리기 별신제유래비가 서 있는 곳에는 목계 주민들에 의해 세워진 공덕비에 학교 설립과 관련된 내용이 있다. 마을 사람들의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서로 엇갈린 주장도 있다. 이런 이야기를 듣기 위해 윤해영 씨의 아드님이신 윤우식 씨를 윤태호 씨와 함께 찾아보기로 하였다. 대문을 들어서서 찾아온 사연을 말하자 강경한 어조로 “그런 일이라면...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암행어사로 활약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장(子章), 호는 학당(鶴塘). 증조할아버지는 풍안군(豊安君) 조흡(趙潝)이며, 아버지는 도정(都正)을 지낸 조도보(趙道輔)이다. 1710년(숙종 36) 사마시를 거쳐, 1712년 29세로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설서(設書)·정언(正言)·지평(持平)을 지냈다. 1717년(숙종 4...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4월 1일에 행정구역 통폐합 때 불견리(不見里)와 학성리(鶴城里)의 이름을 따서 견학리(見鶴里)라 하였다. 견학리는 일찍이 충주와 서울을 오가는 길가의 양옆 너른 들에 형성된 마을로, 본래 충주군 신석면(薪石面)에 속하였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불견리·학성리·마제동(馬蹄洞)과 주류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경임(景任), 호는 학암(鶴巖). 유관(柳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사헌부감찰을 지낸 유용량(柳用良)이고, 어머니는 안동인 권련의 딸이다. 1567년(명종 22) 사마시에 합격하여 음보(蔭補)로 현감이 되었다. 1574년(선조7)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581년(선조 14) 영암군수로 있을 때 사간원의 탄핵...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의 하나. 농경사회에서 유래된 추석은 우리 고유의 명절로 충주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중추절 또는 한가위라고도 한다,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初秋, 7월), 중추(中秋, 8월), 종추(終秋)로 불린 데서 붙여진 이름이고, 한가위란 8월 중에서도 가장 크게 한가운데 있다는 뜻이라고 한다. 추석은 한 해의 농사가...
-
목계별신제는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 지역에서 행해졌던 굿놀이를 말한다. 1940년대 중반까지 연행되다가 현재는 전승이 중단된 상태로 그 이름을 빌어 일부 재연 행사를 하고 있다. 본래 무당이 주재했기 때문에 목계별신굿이라는 명칭이 적합하겠지만, 현재는 별신제로 많이 칭하고 있어 목계별신제로 불러도 무방하다. 목계별신제는 목계 지역에서 행해진 목계 줄다리...
-
한강의 본류로 강원도 삼척시 대덕산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충주시와 경기도 남부를 흘러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강. 본래 명칭은 한강이나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하므로 편의상 남한강이라고 부른다. 남한강은 강원도 삼척시 대덕산(大德山)[1,307m]에서 발원하여 골지천, 동강을 따라 남서쪽으로 흐른 뒤 영월읍에서 평창강(平...
-
충청북도 충주시 호암동에 있는 한국교통장애인협회 산하 충주 지역 지회. 충주 지역의 교통 장애인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사회 참여 확대, 재활 및 자립을 도모하여 교통사고 예방을 통한 올바른 교통 문화 정착과 교통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3월 20일 한국교통장애인협회 충주시지회가 설립되였으며 같은 월 25일 충주시 장애인 차...
-
충청북도 충주시 용산동에 있는 국악 단체. 악성 우륵의 전통과 얼을 계승·발전시키고, 충주 지역에서 유능한 국악 인재를 발굴·육성하기 위해서 창립되었다. 1969년 7월 한국국악협회 충주지부로 발족하여 1970년 1월 농악분과·시조분과·민요분과·가야금분과가 조직되었다. 1973년 3월 정식 인가를 받고, 초대 지부장으로 김흥배가 선출되었다. 1983년 12월 산하에 충주...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산하 충주·제천·단양 지역 지사. 농촌 정비 사업, 농업 기반 시설의 종합 관리, 환경 친화적 농업 생산 기반 구축, 농업인의 영농 규모 적정화 촉진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여 농업인의 소득을 향상시킴으로써 농촌의 경제·사회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2월 5일 제정된 「농업기반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에 의...
-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한국농촌지도자회 산하 충주 지역 지회. 농촌 생활의 과학화·합리화로 농가의 소득 증대를 촉진함과 동시에 농촌 생활의 질을 향상시켜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74년 4-H구락부 성인자원지도자로 출범하였다가 1985년 농촌자원지도자 충주시연합회를 결성하였다. 1989년 농촌지도자 충주시연합회로 개칭하였으며 1999년에는 다시 한국농...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1동에 있는 한국도덕운동협회의 충청북도 지부. ‘도덕 예절 교육 가정에서부터’라는 슬로건 아래 윤리·도덕관을 높이기 위한 도덕성 회복 운동의 주체가 됨과 동시에 교육과 홍보를 통해 의식을 개혁하고 사회 질서를 바르게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1년 한국도덕운동협의회 충청북도회가 설립됨과 동시에 초대 양경득 회장이 취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도덕성...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에 있는 한국도로공사 강원지역본부 소속 충주 지역 지사. 중부내륙고속도로 연풍IC~여주JCT 구간의 개통과 더불어 연장 70.9㎞의 고속도로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12월 20일 중부내륙고속국도 여주~충주 구간의 개통과 함께 한국도로공사 충주지사가 개소하였으며 2004년 7월 15일 개통된 충주~괴산 구간...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무용 단체. 충주 지역의 무용 문화 발전과 더불어 무용가의 지위 향상과 권익 신장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무용협회 충주지부는 1992년 6월 16일 김경인을 초대 지부장으로 선출하고 창립되었다. 1997년 김운태, 1999년 윤경민, 2003년 채연희를 거쳐 2007년 윤경민이 지부장으로 선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학...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문학 단체. 충주 지역 문학 발전과 더불어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와 작가의 권익 옹호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는 1971년 9월 8일 초대 지부장으로 박재륜을 선출하고, 부지부장 양채영, 사무국장 강준희 외 박종구·이인원·조봉래·김기태·여운채·이명동 등 회원 17여 명으로 발족하였다. 2007년 11월...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한국문인화협회 산하 충주 지부. 전통적 감각과 현대적 숨결이 살아 숨쉬는 문인화를 연구하고 문인화의 독창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단체로 회원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일반인들에서 문인화가 정서 함양 및 생활의 활력소가 되게 하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한국문인화협회 충주지부는 1984년 동천문인화연구실로 개원하였다. 1999년 창립된 한국...
-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에 있는 한국문화센터 소속의 충주지부. 다양한 분야에 걸친 생활 공예 강좌의 개설 및 교육을 통해 전문인을 양성하는 등 지역 사회의 문화 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1년 3월 충주시 문화동에서 한지 공예 강좌를 시작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2006년 3월 충청북도 충주시 성서동 348번지로 이전하였다가 2010년 다시 칠...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미술협회. 지역 미술문화 발전을 도모하고, 미술인구 저변확대에 역할을 담당하며 회원 상호간의 협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0년 황병장, 심후택, 이덕준, 이윤진, 정태국 등이 발기하여 충주미술인협회를 결성하고, 1971년 한국미술협회로부터 인준을 받아 지부활동을 시작했다. 초대 지부장에 황병장, 제2대 이윤진 지부장, 제3대 정휘철 지...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산하 충주 지부. 외래 문화에 맞서 주체적 민족 문화를 계승·발전시키고 소비적이고 감각적인 대중 문화를 건강하고 생산적인 삶의 문화로 바꿔나가며, 지역 주민과 함께 자주적인 지역 문화를 창조·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충주지부는 1994년 창립된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산하 민족 문화...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에 있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 충청북도 북부 지역의 공정하고 건전한 방송언론 문화 창달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청주방송국 충주중계소를 설립하였다. 1971년 중앙방송국 충주출장소로 개소되었다가 다시 한국방송공사 청주방송국 충주중계소로 개칭되었다. 1975년 중계소 청사가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동 787-3번지로 이전되면서 출...
-
1997년 충주시 대소원면 장성리 혜원정사에서 창종된 불교 종단. 한국불교 해동종은 조계 임제계열 태고의 후손으로 경우(耕牛) 대종사를 종정으로, 혜원 승려를 총무원장으로 하여 1997년 11월 11일 충주시 대소원면 장성리 혜원정사에서 창종하였다. 수행 방법은 선교쌍수(禪敎雙修)로서 교(敎)가 아닌 선(禪)은 없고 선이 아닌 교가 없다는 것을 따르고 있다. 소의경전은 『화엄경(華...
-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에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생산공장. 첨단 생산 설비를 갖추고 엄격한 생산 공정 관리를 통해 고객이 필요로 하는 최고 품질의 자동차, 컴퓨터, 사무용품, 건축, 기타 산업 원료로 사용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품을 신속히 공급하기 위해 컴파운딩 공장으로 건립되었다. 1987년 설립된 한국GE(USA)프라스틱스의 생산공장으로 1989년 5월 준공되었...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사진작가협회. 한국사진작가협회 충주지부는 사진예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회원 간의 화합과 친목을 돈독히 하여 지역 사진문화 발전과 저변확대를 위하여 봉사하는 단체이다. 한국사진작가협회 지부 활동을 원활히 하고 지역사회 문화 창달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 1976년 5월 22일 전신인 한국사진협회 충주지부를 창립했는데,...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위치한 서예협회. 서예가 김생(金生)의 서법을 숭모하며 우리의 전통예술인 서예문화를 계승·발전시키며 충주 지역의 서예문화 창달을 위해 설립되었다. 1999년 2월 송향(松鄕) 임병웅(林丙雄)을 초대 지부장으로 하여 회원 40여 명이 모여 결성되었다 한국서예협회 충주지부는 정기회원전을 제9회까지 열었으며, 충주호수축제에서 200여 점의...
-
충청북도 충주시 용탄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산하 충주 지역 관리단. 한국수자원공사 충청지역본부 충주권관리단은 1985년 10월 완공된 충주댐의 운영 관리와 충청북도 중서부 지역과 경기도 남동부 지역의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산업기지개발공사 충주다목적댐건설사무소로 처음 개소하였다. 19...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연극협회. 중원 문화의 계승 발전과 연극 공연의 활성화를 이루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충주 지역에 연극 활동을 위한 모임이 시작된 것은 1975년 봄이다. 대학에서 연극 활동을 하던 삼원초등학교 최은성을 중심으로 남한강초등학교 한영순, 교현초등학교 김현구, 삼원초등학교 윤명애, 미덕중학교 이순애 등 7명의 교사가 모여 연극 불모지인...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연예협회. 충주 시민을 위한 봉사 활동과 지방 대중예술의 발전을 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연예인 상호간의 친목과 연예활동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0년대 충주비료전속악단의 활동이 시작으로 1978년 3월 충주연예인친목회를 발족하였다. 1979년 8월 한국연예협회 충청북도지부 북부분실로 창립하였다. 198...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충주 지부. 충주시의 향토 예술 문화를 계승·창달하고 예술 문화인의 친목 도모와 권익 옹호를 위하여 창립되었다. 1971년 5월 3일 창립 발기인 대회를 개최하고, 1972년 7월 10일 한국문인협회·한국미술협회·한국음악협회 등 3개 협회 대의원이 참석하여 창립 총회를 개최, 초대 지부장에 권태성을 선...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음악협회. 음악예술문화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권익을 옹호하며, 향토예술문화의 발전 및 창달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1년 한국음악협회 충주지부로 결성되었다. 그 후 충주 탄금대에 현대적 야외음악당이 건립되어 충주 지역의 음악활동은 전기를 맞게 되었다. 한국음악협회 충주지부는 초대 지부장 김승호, 부지부장 정관수, 사무국장 이...
-
충청북도 충주시 지현동에 있는 한국자유총연맹 산하 충주 지부. 자유민주주의의 항구적인 수호·발전과 세계 자유 우방과 유대를 위해 창립되었다. 1969년 2월 26일 한국반공연맹 충주시·중원군지부로 출범하여 1대 지부장에 지정환이 취임하였다. 1989년 4월 1일 기존의 한국반공연맹이 한국자유총연맹으로 재편됨에 따라 한국자유총연맹 충주시·중원군지부로 재결성되었다. 1993...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에 있는 문학 단체. 1987년 9월 17일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확대·개편되면서 참다운 민족문학과 사회 민주화, 문학인의 권익 보호, 국제 교류, 남북통일 등에 기여하기 위해 민족문학작가회의가 창립되었다. 현재 사단법인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산하 여러 위원회와 장르별 분과를 두고 있다. 1996년부터 전국적으로 지회 조직을 결성하였다. 근년 들어 회...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한국전기안전공사 산하 충주 지역 지사. 전기 재해 예방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4년 6월 7일 재단법인 한국전기보안협회가 설립되어 1975년 4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9년 2월 20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충북지부 충주출장소가 개설되었으며 1985년 4...
-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제천전력관리처 산하 충주 지역 변전소. 한국전력공사 제천전력관리처 충주변전소는 충주댐 준공 후 충주 지역에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고자 설비 용량을 증설한 뒤 현재의 금릉동에 변전소 건물을 건립하였다. 한국전력공사는 1941년 충주시 호암동 155-1번지[호암중앙1로 42-1]에 변전소를 건립하였다가, 1984...
-
충청북도 충주시 봉방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산하 충주 지점. 고품질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1961년 7월 조선전업·경성전기·남선전기가 통합되어 설립된 한국전력주식회사의 충주영업소로 개소해 충주·제천·단양을 통합 관리하였다. 한국전력주식회사가 한국전력공사로 전환되면서 1982년 한국전력공사 충주지점으로 개칭되었다. 1997년 9월 현재의 위치에...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에 있는 택견협회. 민족 고유의 무예인 택견의 원형을 계승·발전·보존하고 적극적으로 전수·보급함으로써 조상의 얼과 기상을 되살리고, 국민의 건전한 의식과 민족적 자긍심을 함양하여 인류문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택견은 1880년대 이후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임호·송덕기·신한승·정경화를 중심으로 전수되어 왔다. 신한승이 1973년 10월 충...
-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첨단산업에 있는 의약품 생산공장. 한국팜비오는 요로결석 치료제, 소화제, 담석증 치료제, 요석 치료제 등 전문의약품 생산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유망 벤처기업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양재동에 소재하고 있으며, 충주시 대소원면 첨단산업단지에 공장을 두고 있다. 한국팜비오 충주공장에서는 국내 최초로 요로결석 치료약을 개발하였고,...
-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에 있는 국립 기능전문학교. 성실과 정의를 바탕으로 투철한 국가관과 건전한 가치관을 지닌 전문 기술인 육성 및 정보화 시대를 대비한 컴퓨터 및 첨단 기술교육을 통하여 전문 기술인을 육성하며, 학식과 덕성을 겸비한 실천 교육으로 창의적 사고를 지닌 유능한 직업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80년 3월 6일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에 충주직업훈련원...
-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송강리에 있었던 한국환경자원공사 충북지사 산하 기관. 한국환경자원공사는 환경부에서 행하는 폐기물 정책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공공 기관이다. 2008년 현재 전국에 9개의 지사 및 1개의 출장소를 산하 기관으로 두고 있으며 충북지사도 그중 하나이다. 그리고 충주사업소는 충북지사에 소속된 3개 사업소 중 하나이다. 폐기물의 발생 억제와 재활...
-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매현리에서 한글의 소리를 따라 부르는 문자유희요. 「한글풀이 노래」는 아이들이 자음의 음에 따라 이루어진 짧은 사설로 부르는 문자유희요이다. 놀이를 하면서 놀이의 진행을 위해 혹은 놀이에다 즐거움을 더하기 위해 부르는 단순한 구성의 노래가 유희요이다. 언어유희요는 주로 아이들의 노래인 동요로서 불러지는데, 유희의 방법에 따라 문자유희요...
-
충청북도 충주시 용관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조선 시대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공신들의 충절을 높이 사 이들의 관직을 추증하면서 시호를 내리고 사당을 짓도록 하였다. 더욱이 가문의식이 형성되면서 존조경종(尊祖敬宗)이 강화되어 묘소 인근에 많은 사당이 세워졌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충주 IC에서 빠져나와 국도 3호선 충주 방향으로 약 4㎞ 직진하다가 달천다리를 건너...
-
충청북도 충주시 용관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조선 시대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공신들의 충절을 높이 사 이들의 관직을 추증하면서 시호를 내리고 사당을 짓도록 하였다. 더욱이 가문의식이 형성되면서 존조경종(尊祖敬宗)이 강화되어 묘소 인근에 많은 사당이 세워졌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충주 IC에서 빠져나와 국도 3호선 충주 방향으로 약 4㎞ 직진하다가 달천다리를 건너...
-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옥(群玉). 세종의 12남이자 네 번째 서자로, 어머니는 혜빈 양씨이다. 부인은 예빈녹사 권격(權格)의 딸로, 1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흥안군(興安君) 이중생(李衆生)이며 손자는 호천군(湖川君) 이옥근(李玉根)과 이인도정(利仁都正) 이숙근(李叔根)이다. 성품이 순수하며 효심과 우애심이 깊고 처신이 단정하고 무거운데다 검약하고 온공...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 강가에 너럭바위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한바우 또는 함암(咸岩), 칠성바위라고도 하였는데, 충주댐 수몰 지역 발굴 결과 모두 고인돌이었음이 밝혀졌다. 본래 청풍군(淸風郡) 수하면(水下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초전리를 병합하고 함암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 1929년 10월 14일 한...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대야리(大也里)와 황전리(黃田里)에서 ‘대(大)’자와 ‘전(田)’자를 따 ‘대전(大田)’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동량면(東良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야리·황전리·사천리(沙川里)·배일리(排日里)·마흘리(馬屹里)가 통합되어 대전리로 개편되었다. 1956년 7월 8일 충주읍이 충주시로...
-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사진 단체. 한빛포토는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진 작가와 사진 예술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을 회원으로 영입하여 충주 지역의 아름다움을 사진으로 담는 예술 활동을 활성화하고 회원들의 친목 도모를 위하여 창립되었다. 1997년 1월 22일 충주시 성내동 172번지 이광주스튜디오에서 초대회장 권은성과 사진이 취미인 서너 사람이 모여 한빛포토...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치도(致道), 호는 수암(遂菴)·한수재(寒水齋). 아버지는 집의(執義)를 지낸 권격(權格)이다. 형제로 우참찬(右參贊)을 지낸 권상유(權尙游)와 권상명(權尙明)이 있다. 송준길(宋俊吉)과 송시열에게 배우고, 1660년(현종 1) 진사가 되었다.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하던 중, 1668년에 스승 송시열이 좌의정 허적(許積)과의...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이치의(李致儀)이며, 생부는 이형의(李衡儀)이다. 이기진은 20대 초에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장담마을에서 강학하던 유중교(柳重敎)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화서학파에 입문하였고, 유중교 사후에는 장담마을의 선비들을 이끌던 유인석(柳麟錫)을 좇았다. 명성황후가 일본군에게 피살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유...
-
조선 중기의 유생.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호호(浩浩), 호는 회헌(晦軒). 별제(別提) 한극공(韓克恭)의 현손이며 생원 한천뢰(韓天賚)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좌승지 한효중(韓孝仲)이다. 아버지는 전첨(典籤) 한필후(韓必厚)이며, 어머니는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이수일(李守一)의 딸 경주이씨(慶州李氏)로서 숙부인(淑夫人)이다. 동생은 한여두(韓如斗)이다. 한여해는...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잠병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조선시대에는 가문의식이 형성되면서 존조경종(尊祖敬宗)이 강화되어 사당을 건립하고 조상에게 제사를 올렸다. 인곡사 역시 이러한 사당에 해당하는데,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항복한 것을 비분강개하여 산중에 은거하였던 회헌 한여해(韓如海)를 추모하고 제사를 모시기 위해 청주한씨 종중에서 건립하였다. 충주시에서 제...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평생 교육기관. 각자의 개성에 맞게 장래의 진로를 결정하는 능력을 키우고 교양을 높이며 국가와 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바른 가치관, 건강한 비판력 함양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알자, 이기자, 웃자’이다. 1980년 9월 10일 개교하였다. 1980년 10월 26일 교사 20명, 학생 65명으로 제1기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19...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읍 관음리를 연결하는 고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하늘재는 156년(아달라이사금 3)에 길이 열림으로써 백두대간을 넘는 최초의 통행로가 되었다. 신라의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고구려 온달장군 등의 전설에도 등장하는 유서 깊은 고개이다. 고려 말기 왜구가 창궐하면서 조운(漕運)이 육운(陸運)으로 바뀔 무...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읍 관음리를 연결하는 고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하늘재는 156년(아달라이사금 3)에 길이 열림으로써 백두대간을 넘는 최초의 통행로가 되었다. 신라의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고구려 온달장군 등의 전설에도 등장하는 유서 깊은 고개이다. 고려 말기 왜구가 창궐하면서 조운(漕運)이 육운(陸運)으로 바뀔 무...
-
고려 후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승려. 속명은 한찬영(韓粲英).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고저(古樗). 호는 목암(木庵)·혜월원명(慧月圓明)·지감원명(智鑑圓明). 아버지는 사복직장에 재직했던 한적이고 어머니는 청주곽씨이다. 대지국사는 1341년 삼각산 중흥사에서 태고화상 보우를 은사로 삭발하고 법을 받았다. 승과에 응시한 23세 전까지 보우에게 5년, 정혜국...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경량(景亮), 호는 한천(寒泉). 아버지는 생원(生員) 허초(許礎)이고 어머니는 임하임씨(臨河林氏)이다. 숙종조 영의정을 지낸 허적의 할아버지이다. 선조 때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등용된 뒤 1587년(선조 20) 선공감 봉사(奉事)가 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 왕을 따라 호종했으며...
-
1939년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작가 지봉문이 일제강점기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발표한 단편소설. 「한탁」은 조선문학가동맹 문인이었던 소설가 지봉문이 1939년 『조선문학』지에 발표했던 단편소설이다. 지봉문의 이름이나 일생에 대해서는 확실한 기록이 없으나, 해방 전 이무영이 발행하던 『조선문학』을 이어받아 1939년까지 발행인으로 지냈다고 전한다. 소설 「한탁」의 배경은...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 원통산에서 발원하여 노은면 중심부를 흘러 중앙탑면 봉황리에서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20.50㎞이며, 노은면 대덕리 원통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다가 수룡리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하류까지 가게 된다. 충주 지역에서 차령산지를 개석하면서 동·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하천으로는 한포천을 비롯하여 북쪽의 앙성천, 남쪽의...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 설립된 최초 금융기관. 농공은행은 1906년 농업과 공업의 개량 발달을 위해 설립된 은행이다. 당시 정부에서는 지방 금융의 핍박을 우려하여 전국 주요 도시에 정부 창고를 건설하고 미곡의 담보 대부, 부동산의 담보 대부를 행하였다. 그러나 그 시설이 응급적·과도적인 것에 불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부 자원도 빈약하여 지방 금융을 완화하는 데...
-
충청북도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에 축조된 고대 산성. 산성의 축성과 관련한 문헌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신라 북진 거점과 전초기지로서 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훤령 산성이 위치한 곳은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충주시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관음리의 경계로, 소백산맥의 포암산[961m]과 부봉[925m] 사이의 안부(鞍部)에 형성된 교통로인 하늘재[530m]에...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읍 관음리를 연결하는 고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하늘재는 156년(아달라이사금 3)에 길이 열림으로써 백두대간을 넘는 최초의 통행로가 되었다. 신라의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고구려 온달장군 등의 전설에도 등장하는 유서 깊은 고개이다. 고려 말기 왜구가 창궐하면서 조운(漕運)이 육운(陸運)으로 바뀔 무...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 강가에 너럭바위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한바우 또는 함암(咸岩), 칠성바위라고도 하였는데, 충주댐 수몰 지역 발굴 결과 모두 고인돌이었음이 밝혀졌다. 본래 청풍군(淸風郡) 수하면(水下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초전리를 병합하고 함암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 1929년 10월 14일 한...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 강가에 너럭바위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한바우 또는 함암(咸岩), 칠성바위라고도 하였는데, 충주댐 수몰 지역 발굴 결과 모두 고인돌이었음이 밝혀졌다. 본래 청풍군(淸風郡) 수하면(水下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초전리를 병합하고 함암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 1929년 10월 14일 한...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함암리에 있던 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무덤 유적. 함암리 유적은 충주시 동량면 함암리에 있었으나, 현재는 충주댐의 담수로 인해 수몰되었다. 이 유적을 조사할 당시에는 제원군 한수면에 해당되었으나, 1987년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충주시 동량면으로 편입되었다. 동량면 하천리에서 지동리를 지나 충주호 강변길을 따라가면 함암리가 나온다....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함암리에 있던 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무덤 유적. 함암리 유적은 충주시 동량면 함암리에 있었으나, 현재는 충주댐의 담수로 인해 수몰되었다. 이 유적을 조사할 당시에는 제원군 한수면에 해당되었으나, 1987년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충주시 동량면으로 편입되었다. 동량면 하천리에서 지동리를 지나 충주호 강변길을 따라가면 함암리가 나온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유생.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인보(仁甫), 호는 함월(涵月). 최문한(崔文漢)의 후손이고 형제로 형 최응건(崔應健)이 있다. 1655년(효종 6) 충주에서 태어난 최응성(崔應聖)은 권상하(權尙夏)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집 앞에 정자를 세웠는데 권상하가 정자의 운치를 칭찬하면서 함월정(涵月亭)이라고 명명했다. 스승이 지어 준 정자의 이름으로 호를...
-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용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충주에서 수안보로 가는 국도 3호선을 따라 국도 36호선이 갈라지는 삼거리에서 400여 m를 가면 왼쪽 장목등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충주시 살미면 무릉리에 최응성이 거처하던 가옥 앞에 1720년경에 지었다고 한다. 또한 1874년(고종 11)에는 권상하와 최응성을 향사하고 있는 무릉사를 지었...
-
충청북도 충주시 호암동에 있는 저수지. 1898년 편찬된 『충주군읍지(忠州郡邑誌)』에서 함주제(含珠堤)는 충주에서 남쪽으로 3리 떨어진 남변면에 위치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제저수지가 있던 수청골은 대제동이라고도 불렸다. 대제저수지는 축조 당시 호암지(虎岩池)[일명 소제]보다 규모가 커서 붙여진 이름이다. 저수지의 형태가 함지박처럼 둥글게 생겼다고 하여 함지못이라고...
-
충청북도 충주시 호암동에 있는 저수지. 1898년 편찬된 『충주군읍지(忠州郡邑誌)』에서 함주제(含珠堤)는 충주에서 남쪽으로 3리 떨어진 남변면에 위치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제저수지가 있던 수청골은 대제동이라고도 불렸다. 대제저수지는 축조 당시 호암지(虎岩池)[일명 소제]보다 규모가 커서 붙여진 이름이다. 저수지의 형태가 함지박처럼 둥글게 생겼다고 하여 함지못이라고...
-
1513년(중종 8)에 간행된 이승소(李承召)의 시와 산문 등을 엮은 문집. 이승소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호는 삼탄이며, 본관은 양성(陽城)이다. 1438년(세종 20) 진사시에 합격하고 1447년(세종 29)에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면서 집현전 부수찬이 되었다. 이후 예문관응교, 예조참의를 거치며 예조판서에 지경연사가 되었다. 여러 차례 과거를 주관하여 인재 등용에 힘...
-
1291년(충렬왕 17) 충주산성에서 고려군이 원의 반란 세력인 합단(哈丹)의 군대를 격퇴한 전투. 1287년(충렬왕 13) 4월 원(元)에서 흥안령(興安嶺) 동쪽을 지배하던 내안(乃顔)이 사심을 품고 동방의 여러 왕들을 충동질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원 세조(世祖)의 친정에 의하여 토벌되었다. 1288년 초에 내안의 잔여세력인 합단이 막북(漠北)에서 다시 반기를 들었는데, 원이 대...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에 있는 합천이씨 집성촌. 오산리(烏山里)는 충주시 수안보면의 8개 행정동(리) 중 하나이다. 까마귀가 많이 서식했다고 해서 오산리로 명명되었다고 전해진다. 합천이씨 오산리 집성촌은 1601년(선조 34) 합천이씨 11세손 절충장군 이흡(李洽)이 여주(혹은 원주)에서 현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오산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오산부락에 있는 합천이씨 종중 사당. 합천이씨의 시조인 강양군(江陽君) 이개(李開)는 신라 6촌 중 하나인 알천양산촌 수장 이알평(李謁平)의 후손이며, 그의 21세손 이흡(李洽)은 1601년(선조 34) 현 충주시 수안보면 오산부락에 정착하였다. 이후 오산부락은 합천이씨 오산리 집성촌이 되었다. 충주시에서 수안보 방면...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 있는 종2품 이상의 관직을 역임한 인물의 무덤 남동쪽 큰길가에 세운 석비. 신도비(神道碑)는 왕 또는 고관의 무덤 앞이나 무덤으로 가는 길목에 세워 죽은 이의 사적을 기리는 비석을 말한다. 신도(神道)라는 말은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神靈)의 길을 의미한다. 신도비는 중국 한대(漢代)부터 종2품(從二品) 이상의 관직에 있었던 이들의 무덤...
-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이루어지는 정규 학교 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 활동. 충주시에서의 평생교육은 크게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의 평생교육은 기존의 학교 시설을 이용하여 주민을 위해 마련한 여러 교육 활동을 의미하고, 지방자치단체의 평생교육은 각 읍·면·동에 주민자치센터를 개소하여...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서예단체. 해동(海東) 서성인 김생(金生)을 숭모하여 향토 서예문화를 선도하고, 서예 인구의 저변 확대를 통하여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연구 활동을 목적으로 1981년 설립되었다. 해동연서회 충주지부는 1981년 9월 15일 충주시 성서동 55-10번지에서 첫발을 내디뎠다. 1983년 3월에는 충주시 문화동 648-20번지, 11월...
-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참삼골에 있는 대한불교 해동종 소속 사찰. 한국불교 해동종은 신라 원효 사상의 화쟁 이념을 통해 불법을 전하고, 불교의 생활화, 현대화, 대중화하는 것을 종지로 삼아 1997년 11월 해동불교 혜원정사에서 발족되었으며, 종정은 경우(耕牛) 대종사였으나 열반하였다. 이후 종정은 일광사 주지 혜우(慧牛)가, 총무원장은 해월사 주지 정일(正一)이...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서예단체. 해동(海東) 서성인 김생(金生)을 숭모하여 향토 서예문화를 선도하고, 서예 인구의 저변 확대를 통하여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연구 활동을 목적으로 1981년 설립되었다. 해동연서회 충주지부는 1981년 9월 15일 충주시 성서동 55-10번지에서 첫발을 내디뎠다. 1983년 3월에는 충주시 문화동 648-20번지, 11월...
-
김생의 글씨는 풍운의 조화와 사람으로서 신(神)의 경지에 이른 필치라는 평을 받고 있다. 충주에서는 오현(五賢)의 한 사람으로 추대하여 우륵문화제 때에 추모제를 지내고 있으며, 1996년에는 김생연구회가 조직되어 김생의 서예를 연구·전승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김생의 진품 유적을 찾을 길은 없고, 단지 김생의 글씨를 집자한 경상북도 봉화군의 태자사낭...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서예단체. 해동(海東) 서성인 김생(金生)을 숭모하여 향토 서예문화를 선도하고, 서예 인구의 저변 확대를 통하여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연구 활동을 목적으로 1981년 설립되었다. 해동연서회 충주지부는 1981년 9월 15일 충주시 성서동 55-10번지에서 첫발을 내디뎠다. 1983년 3월에는 충주시 문화동 648-20번지, 11월...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유생.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사휘(士輝), 호는 해동처사(海東處士), 할아버지는 풍안군(豊安君) 조흡(趙潝)이며, 아버지는 풍창군(豊昌君) 조백운(趙伯耘)이다. 동생은 승정원좌부승지 조성보(趙聖輔)와 직장 조명보(趙命輔)[후에 조공보(趙公輔)로 개명]이며, 아들은 조상건(趙尙健)이다. 아들 조상건에 대해서는『하서집(荷棲集)』속의 「조상건묘지명」...
-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참삼골에 있는 대한불교 해동종 소속 사찰. 한국불교 해동종은 신라 원효 사상의 화쟁 이념을 통해 불법을 전하고, 불교의 생활화, 현대화, 대중화하는 것을 종지로 삼아 1997년 11월 해동불교 혜원정사에서 발족되었으며, 종정은 경우(耕牛) 대종사였으나 열반하였다. 이후 종정은 일광사 주지 혜우(慧牛)가, 총무원장은 해월사 주지 정일(正一)이...
-
조선 전기 충청감사를 역임했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자는 대숙(大叔)·언부(彦夫), 호는 해화당(海華堂). 아버지는 밀직사를 지낸 서원(徐遠)이다. 목은 이색(李穡)의 증손으로 황해도관찰사를 지낸 이축(李蓄)을 사위로 맞이하였다. 아들 서달(徐達)은 황희(黃喜) 정승의 사위이다. 1367년(공민왕 16) 태어난 서선(徐選)은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행가(行可). 부사용 홍우전(洪禹甸)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부사직 홍수(洪脩)이며, 아버지는 사헌부대사헌 홍이상(洪履祥)이며, 어머니는 선무랑 김고언(金顧言)의 딸 안동김씨이다. 홍탁은 1613년(광해군 5) 진사가 되었다. 1643년(인조 22) 심기원(沈器遠)이 이일원(李一元)·권억(權澺) 등과 모의하여 회은군(懷恩君)...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서예 단체. 하곡 전찬덕이 김생(金生)을 숭모하여 그의 예술혼을 계승 발전시킴과 더불어 회원 간 친목 도모 및 지역 서예 문화 창달에 기여하고자 설립하였다. 행단(杏壇)은 학문을 닦는 곳을 가리키는 말로, 공자가 은행나무 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1982년 11월 5일 하곡 전찬덕과 그 문하생들이 모여 삼락서도...
-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서예 단체. 하곡 전찬덕이 김생(金生)을 숭모하여 그의 예술혼을 계승 발전시킴과 더불어 회원 간 친목 도모 및 지역 서예 문화 창달에 기여하고자 설립하였다. 행단(杏壇)은 학문을 닦는 곳을 가리키는 말로, 공자가 은행나무 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1982년 11월 5일 하곡 전찬덕과 그 문하생들이 모여 삼락서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와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경계에 있는 산. 충주시 서쪽 끝에 있어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북북동-남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