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6년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전개된 농민들의 투쟁. 1946년 11월 1일 화원면을 제외한 13개 면에서 1만 3000여 명의 농민들이 일제히 일어나 지서와 면사무소 등을 점거한 1946년 해남 추수봉기가 일어났다. 이때 미군정 경찰은 주동자 600여 명을 체포 또는 사살하거나 투옥시켰다. 일제강점기에도 강제 공출과 친일 경찰 때문에 고통을 당한...
-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3일까지 전라남도 해남군을 비롯한 한반도 전역에서 지속된 남한과 북한의 전쟁. 6·25전쟁 당시 해남 지역에서의 경과는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1950년 6월 25일 전쟁 발발부터 1950년 7월 23일 군경이 부산으로 탈출하기까지로 ‘경찰 후퇴기’이다. 두 번째 시기는 1950년 7월 28일 인민군 주둔부...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가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가옥과 관련된 말.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가옥 어휘를 건물, 마당, 마을과 관련된 어휘로 나누어 기술한다. ‘[ ]’ 안의 표기는 표준어이고, ‘[ ]’ 왼쪽에는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는다. 1. 지붕 관련 어휘 우리가 사는 집의 모양이나 구조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가좌(可座)마을은 기와를 굽는 터였다고 하여 ‘와등’, ‘왓등’, ‘와초’라고 불리었다가 가좌로 명칭이 변하였다. 본래 해남군 화이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지동리, 입암리와 무학리, 율동리, 관동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가좌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가좌마을, 무학마을 등의 자연마...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앞이 배 모양이고 뒤는 학이 나는 전선후비학(全船後飛鶴) 형국으로, 배의 앞이 멍에 모양이기 때문에 마을 이름에 멍에 가(駕) 를 쓰고, 배를 차에 비유한 수레 차(車)를 써서 마을 이름을 가차(駕車)라 하였다고 전한다. 하지만 한자 표기를 ‘가차(駕車)’로 기록한 문헌은 찾아볼 수 없다.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뒷산이 학(鶴)이 어가(御駕)를 모시고 날아와 앉은 형국이어서 가학리(駕鶴里)라 부르게 되었다. 해남군 청계면 지역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래리, 신촌리, 용지리, 월하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계곡면 가학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가학마을 1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가학마을은 1600...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가학리와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경계에 있는 산. 가학산(駕鶴山)[575m]은 험준한 바위산으로 유명하며, 계곡면의 진산(鎭山)이다. 호남정맥에서 분기한 땅끝기맥의 별뫼산에서 계곡면 남서쪽으로 길게 뻗어내려 동서 좌우로 벌린 흑석지맥(黑石支脈)에 위치한 산이다. 월출산국립공원 남쪽의 별뫼산에서 서쪽으로 질재·가학산·흑석산으로 이어지면서 해...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가학리에 조성한 보건·휴양 기능의 산림. 산림의 보건·휴양적 기능에 대한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산림을 국민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고, 무질서한 개발로 인해 산림이 파괴되는 것을 보호하는 한편 국민의 복지후생 증진을 위해 개장하였다. 가학산자연휴양림은 1997년 7월 개장하였다. 2009년 해남의 명소화를 위해 기존 산막을 황토방으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산. 한반도 최남단 땅끝에 위치한 산이다. 갈두산(葛頭山)[156m]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산수관에 따르면 백두대간에서 뻗어내린 호남정맥의 한줄기인 땅끝기맥의 끝이다. 호남정맥 마루금인 화순 국사봉 바람재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를 땅끝기맥이라고 한다. 국사봉에서 시작하는 기맥은 월출산, 월각산, 흑석산, 서기산,...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연호리에서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갈마음수터」는 논에서 일을 하던 머슴이 마을 앞을 지나던 승려에게 먹을 것을 나누어 준 후 명당자리를 얻게 되었지만 10대가 지나면 묏자리를 옮기라는 승려의 말을 듣지 않아 묘가 저수지에 잠기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갈마음수터」는 2016년 12월 15일 해남향교에서 채록하였으...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나무꾼들이 갈퀴를 던져 겨루는 놀이. 갈퀴치기는 해남군에서 가을과 겨울철에 나무꾼들이 많이 하는 놀이이다. 과거에는 가을이 되면 산에 나무들이 낙엽이 되어 땅에 쌓이므로 이를 갈퀴로 긁어다가 집에 쌓아 두고 땔감으로 사용했다. 특히 해남 지역에서는 소나무가 많은 곳에서 갈퀴나무를 많이 하였다. 대체로 아이들이 떼를 지어서 나무를 하러 가...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수령 200년~450년의 감나무 3그루. 감나무는 한반도 경기도 이남을 비롯하여 대만,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교목이다. 높이 7~14m까지 자란다. 감나무 나무껍질은 코르크화되며, 잘게 갈라지고 흑회색으로 일년생 가지에 갈색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두껍고 타원상 달걀형이고 긴난형 또는 역난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형 또는 원저...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겨울철 감태의 성장 정도를 보고 이듬해 농사의 풍흉을 점쳐 보는 풍습. 감태(甘苔)는 우리나라 남해안 및 제주도 해안 일대에 분포하는 다시마과의 여러해살이 해조류로, 주로 겨울철에 생산된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어촌에서는 겨울철 바다 갯벌에서 자라는 감태를 보고 이듬해 농사가 잘될 것인지를 점치는 풍습이 전하고 있다. 이를 감태점이라 한다. 이렇...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강강술래를 지키려고 애쓰는 해남 군민들의 이야기. 전라남도 해남에서 강강술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 민속놀이이다. 일제강점기에도 강강술래는 서남해 연안에서도 큰 마을인 해남 우수영에서 매우 성행하였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때 출간된 잡지 『별건곤』제9호에는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강강술래와 관련하여 ‘팔도 전설 순례’라는 연재 기사의 하나인 「해...
-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민주화 운동가. 강상철(姜相喆)[1963~1986]은 1986년 개헌 정국 때 목포민주회복국민회의 간부로 활동하던 중 목표역 광장에서 군사정권을 규탄하며 분신·사망하였다. 강상철의 아버지는 강종학, 어머니는 임금손이며 4남매 중 장남이다. 강상철은 1963년 3월 24일 해남군 산이면 금송리에서 태어났다. 해남 산이동...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묏자리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강씨 집안과 명당자리」는 해남군 삼산면에 묏자리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이다. 진주강씨(晉州姜氏) 집안에서 해남 대흥사(大興寺) 주변 명당에 몰래 묘를 썼는데, 자손들이 점쟁이의 말을 무시하고 벌초하였다가 대흥사에서 알게 되어 묘를 옮기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강씨 집안과 명당자리」...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장흥임씨 형제가 살았는데, 형은 사촌(沙村)에, 동생은 강절(康節)에 거주하였다. 형제 간의 우애가 좋고 절개가 있었다. 형이 사는 마을은 모래가 많아 사촌이라 하였고, 동생은 절개가 좋아 강절이라 하였다. 여기서 강절리(康節里) 명칭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사촌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계곡면 강절리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수령 약 250년의 개서어나무 3그루. 해남군 보호수로 지정된 개서어나무는 3그루이며, 해남읍 구교리에 있다. 개서어나무는 한반도 남부 지방과 중국, 일본 등지에서 서식하는 낙엽 활엽 교목이다. 높이 15m, 지름 70㎝까지 자란다. 개서어나무의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울퉁불퉁하지만 터지지 않는다. 가지는 일년생 가지는 털이 있고 흰색...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활동하는 그리스도교의 한 분파. 예수그리스도를 주로 믿는 기독교회는 역사적 발전 속에서 11세기에 동방교회[정교회]와 서방교회[천주교]로 1차 분열이 있었고, 이후 16세기 들어 서방교회인 천주교에서 재차 분리되어 나온 교회를 개신교(改新敎)[Protestantism]라 한다. 개신교는 16세기 독일의 종교 개혁자이자 신학 교수였던 마틴 루터가 일으킨...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용역의 생산·분배·소비와 관련된 활동과 영역. 해남군의 경제권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포함되며, 영암방조제 등의 교통 단축 요인으로 인해 목포시와 남악신도시의 경제적 영향권에 포함되어 있다. 특히 출퇴근, 고용인구, 상품소비, 시장이용권 등은 광역권인 광주광역시와 경제권의 중심인 목포시에 영향을 받고 있다. 20...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의 자연 풍광을 읊은 노래. 「계곡가」는 『계곡향우회지』에 실린 노래이며, 구전으로 전해 온 것이다. 작자 미상의 곡인데, 가사를 알고 있는 사람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계곡가」는 2011년 계곡면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계곡면지』 268쪽에 수록되어 있다. 최사규의 구전을 빌어 기록하였다고 전한다. 자료는 해남군 계곡면 강절...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임진왜란 이후에 비곡면(比谷面)과 청계면(淸溪面)으로 나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청계면의 ‘계’와 비곡면의 ‘곡’을 따와 계곡면(溪谷面)이라 부르게 되었다. 백제 때는 고서이현(古西伊縣)에, 신라 때는 고안현(固安縣) 혹은 동안현(同安縣)에, 고려 때는 죽산현(竹山縣)에, 조선 초에는 해남삼역의 하나인 별진역(別珍驛)에...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북쪽 벌매산과 가학산에서 발원하여 금호호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계곡천은 계곡면 당산리 북쪽의 벌매산[465m]과 가학산[575m]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장소리와 강절리 분지에서 사행하다가 서쪽으로 흘러 성진리를 관류한 후 다시 사행천을 이루어 금호호로 유입한다. 계곡면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계곡천...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성진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바른 인성을 가꾸어 더불어 사는 학생, 스스로 탐구하며 실력을 갖춘 학생, 재능과 끼를 키워 개성 있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하여 행복한 학생이다. 1921년 9월 15일 성진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47년 4월 1일 성진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1년 3월 13일 성진국민학교 병설유치원을 개...
-
전라남도 해남군의 읍면과 마을 또는 인접 시군을 연결하는 산 사이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해남에는 오래된 역사와 사연을 간직한 고개[재]들이 많다. 시대가 흐름에 따라서 재의 위치와 높이도 변경되기로 하고, 재 아래로 터널이 통과한다. 『대둔사지』[1823]에서는 높은 재를 령(嶺)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령(嶺)은 보통 ‘재’[예컨대 대관령]를 뜻하나,...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고당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우수영성당 소속의 공소.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천주교를 전파하려는 목적으로 고당공소(古棠公所)가 설립되었다. 1957년 4월 15일 영명중학교 교사였던 정정봉[바오로]을 중심으로 10여 명의 신자들이 학교 사택에서 공소 예절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1959년 10월 26일 해남군 문내면 고당리 194번지 5...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고당리(古棠里)는 당집이 있어서 당몰, 당리라 부르다가 옛 당집이라는 의미로 고당(古棠)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고전리, 고당리, 장서면의 방하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고당리로 개설되었다. 고당리 일대는 백제의 황술현과 통일신라·고려의 황원현 치소터로 추정된다. 그 이유로는 마...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호구총수(戶口總數)』[1789] 기록에 의하면 고도지리(古道旨里)[그 이전은 고도지·고들몰]라고 부르다가, 이후 고도리(古道里)가 되었다. 조선시대 현일면·군일면 지역에 속해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천변리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해남면 고도리로 개설되었다. 1955년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되...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중등 보통 기관 및 실업 전문 교육 기관. 우리나라 고등학교는 중학교 졸업 이후에 진학하게 되는 후기 중등교육기관으로 실업계와 인문계가 있다. 형태는 복선형이지만 인문계, 실업계 모두 대학을 진학할 수 있어 단선형 학제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는 1974년 평준화가 도입되어 도시의 고등학교는 무시험 전형이지만, 해남과 같은 면 단위 지역의 고등학교는...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전하는 옛 문서. 고문서(古文書)는 보통 1910년 이전까지 작성된 문서를 말한다. 발급자와 수취자, 작성 목적에 따라 공문서와 사문서로 나뉘고, 다시 형태에 따라 낱장 문서와 성책 문서로 나뉜다. 혹은 고문서를 정리하는 방식에 따라 교령류(敎令類), 소차계장류(疏箚啓狀類), 첩관통보류(牒關通報類), 증빙류(證憑類), 서간통고류(書簡通告類), 치부기...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고산 윤선도의 문학 세계를 조명하고 계승하고자 여는 축제. 전라남도 해남군은 해남윤씨(海南尹氏)의 본관이며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가 지은 「오우가」, 「산중신곡」의 배경이기도 하여 남도 문학의 요람이자 문향으로 불리고 있다. 해남군에서는 윤선도의 문학 세계를 알리고 보존하고자 많은 프로그램을 동반한 축전인 고산문학축...
-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승려이자 탱화장. 고재석(高在奭)[1924~2005]은 1924년 해남군 현산면 덕흥리에서 태어나 탱화장으로 활동하였다. 조선 말 금호(錦湖)에게서 김보응(金普應)[1867~1954]을 거쳐 김일섭(金日燮)[1900~1975]으로 이어지는 불화의 맥을 잇는 한국 근현대 불화의 4대 금어에 해당된다. 고재섭으로 불리기로 하며, 법호(法號)...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시인이자 여성운동가였던 고정희 시인의 삶과 문학 정신을 계승하고 여성문화 활성화 및 육성을 위하여 개최하는 문화제. 1948년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서 태어난 고정희(高靜熙)[1948~1991] 시인은 1975년 『현대시학』에 「연가」, 「부활 그 이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1991년 지리산에서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아름다운...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과 황산면, 화산면에 이르는 철새도래지.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철새 이동 경로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철새들의 번식지, 월동지,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다. 강, 하구, 호수, 갯벌 등 다양한 환경의 습지가 전국에 분포하고 있어 다양한 수조류(水鳥類)의 서식지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조류 54종[미확인종 제외], 즉 수금류 33종, 맹금류 5종...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한자리와 화산면 율동리를 이어주는 방조제. 1963년 12월 5일 해남 고천암 지구의 대규모 공유수면 매립권이 개인에게 부여되면서 바다를 메우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1964년 해남 지역 농민들의 항구적 자립과 농경지 확장에 따른 양곡 증산을 목적으로 보건사회부와 미국 민간구호단체인 CARE의 공동 지원 아래 간척공사가 시작되었다. 1985년 2월...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고평(固坪)마을은 고당과 한 마을이었다가 인구가 늘어나면서 마을을 분리할 때 ‘평리’ 또는 ‘고평’이라 하였다. 본래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고평리, 고대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고평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고평마을, 고대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고...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고현리에 있는 다리. 고현교(古縣橋)는 해남군 현산면 고현리에 세워진 4차선의 다리로서 국도 제13호선 노선상에 위치하여 있다. 고현교의 전신인 다한교(多恨橋)는 고현마을 서쪽 어귀에 있었으며, 태식천(太息川)에 놓여 있었다. 고려 때에 해남현은 현산면에 있다가 1357년 왜구의 침략을 받았다. 그 후 조선에 들어와 왜구의 피...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시대 해남군 현산면 지역으로 옛 해남현이 있던 곳이라 하여 고현(古縣), 고해남이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학의리, 연평리, 사정리와 홍도리, 하도리, 하마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고현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고현마을, 학의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공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 공공기관이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를 수행하는 관공서는 물론 공기업·준정부기관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공공 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제2조 등에 의하면, 공공기관은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각급 학교, 「지방 공기업법」에 따른 지방 공사 및 지방 공단,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하천오염 방지와 수질 개선을 위하여 하수를 인공적으로 처리하여 강이나 바다로 방류시키는 시설. 해남군에 설치된 공공 하수 처리는 500톤 이상 처리할 수 있는 면 단위 공공하수처리장과 500톤 이하의 하수를 처리하는 농어촌 마을 하수처리장에서 이뤄진다. 면 단위 공공하수처리장은 화원면, 송지면, 황산면, 문내면, 해남읍, 옥천면 등 6곳에...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에 있는 공룡, 익룡과 새 발자국 화석지의 형성과 발굴 과정.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는 1998년 10월 17일 천연기념물 제394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세계적으로 가치가 높은 고생물 화석 산지이다. 행정구역과 지리적 위치는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 산13-1 일대이며,...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의 해남 공재 고택에서 공재 윤두서를 기리기 위하여 개최되는 문화제. 조선 후기 시서화에 능하였던 천재 화가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의 생애를 되돌아보고, 예술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해남 공재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232호]이 있는 해남군 현산면 백포마을에서 개최되는 행사이다. 우리 미술사 최대 걸작 중 하나로 꼽히는...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연구 개발되고 있는 농업과 어업 관련 과학과 기술.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와 육종전복보급센터가 해남군 화원면 시야로[화봉리]에 건립되었다. 면적은 부지 총면적 22,843㎡, 해조류연구센터[1,424㎡], 육종전복보급센터[1,022㎡]이다. 해조류연구센터 시설은 본관동 1동[1,202.9㎡], 관사 6동[221.4㎡]이 있으며, 전복종...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관광객을 대상으로 교통, 숙박, 오락을 제공하는 산업. 해남군은 한반도의 최남서 지역으로 수많은 도서들이 산재하고 있으며, 침강해안으로 심한 굴곡을 이루고 있고 해침에 의해 가파른 해식절벽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해남군에는 땅끝관광지와 우수영 등 많은 관광지와 다양한 축제가 있으며, 역사와 관련된 많은 문화유산이...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관두산에 있는 봉수 모양이 사람이 상투를 쓰고 있는 것과 같다고 하여 관머리산이라고 부르다가 마을이 산의 동쪽에 있다 하여 관동(館東)이라 불렀다. 이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한자 표기가 관동(關東)으로 바뀌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성조리, 무학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로 개설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와 평호리를 잇는 방조제.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와 평호리 사이에 이어진 방조제이다. 관동방조제는 화산면 방조제라고도 부른다. 국가 관리 방조제의 경우 화원, 우근, 백포, 관동, 신월 등 모두 5곳이다. 자연재해 예방 및 영농생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1967년 관동방조제가 완공되었다. 관동방조제는 총길이 780m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와 무학리에 걸쳐 있는 산. 관두산(館頭山)[177m]은 해남군 화산면 해안가에 있으며, 조선시대에 봉수대가 있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봉수가 있다. 두륜산에서 뻗어 나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 봉수 조에 의하면 관두산의 봉수는 서쪽으로는 진도의 여귀산(女貴山) 봉수로 신호를 보내고, 남쪽으로의 영암의 마산(...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 관두산 자락에 있는 바람 구멍. 풍혈(風穴)[air-hole]은 산림 내 분포하는 애추, 암괴원, 암괴류 등 사면에서 여름철에는 찬공기가 나오고 겨울에는 따뜻한 바람이 나오는 구멍이나 바위틈[바람구멍 또는 바람굴]을 말하며, 국지적인 특이 기후환경을 형성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밀양 얼음골’을 비롯하여 총 2...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관춘리(冠春里)는 마을의 생김새가 갓을 쓴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갓점골 또는 입점이라고도 불렀다.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 관촌리(冠村里)라는 지명이 보이는데, 이로써 오래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 본래 해남군 황원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성리,...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지하와 지표에서 쳔연광물을 채굴, 채취, 추출하는 산업 활동. ‘대한광업협동조합 광구일람표’에 보면 해남군 일원에 7개광종 108개 광구[총면적 47,523㏊]가 등록되어 있다. 이 중 비금속광인 납석과 고령토[점토, 도석]광 38개 광구 106㏊가 가동되었다[1991년 11월 『해남통계연보』]. 대부분 가동되고 있는 지역은 황산 성산광산[부곡 백암광...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신죽리에 있는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광주국토관리사무소 산하 출장소. 광주국토관리사무소 해남출장소는 해남, 강진, 완도, 진도 지역의 국도 및 국도상의 도로시설물의 보전과 관리, 시설 개량, 재해예방 및 복구, 안전 시설물 설치 및 개선 등을 목적으로 개소되었다. 광주국토관리사무소 해남출장소는 1949년 6월 이리지방건설...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광주보호관찰소 산하의 지소. 광주보호관찰소 해남지소는 범법자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전한 사회 내 생활을 영위하면서 보호관찰, 사회봉사명령, 수강명령 등 체계적인 법 집행을 함으로써 사회를 보호하고 범죄인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광주보호관찰소의 업무를 분장·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8년 12월 31일 법무부령 제65...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광주은행 산하 지점. 광주은행 해남지점은 금융 업무의 지역적 분산과 지역 경제의 균형 발전을 위하여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설립된 광주은행의 지점이며, 해남 지역에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광주은행은 1968년 9월 지방 금융 활성화를 목적으로 세워졌다. 금융 업무의 지역적 분산과 지역 경제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광주지방검찰청 지청. 해남, 완도, 진도 지역의 검찰 사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광주지방검찰청 해남지청은 1982년 9월 1일 개청했으며, 1986년 9월 합의지청으로 승격하였다. 일반 형사 사건의 수사·처리·공판, 지청장이 지정하는 사건의 수사 및 처리, 압수 금품의 보관·관리, 고소·고발의 접수, 내사...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사법행정을 관할하는 국가기관의 지원. 광주고등법원 관하에 있는 광주지방법원의 관할에 목포지원, 장흥지원, 순천지원과 더불어 해남지원이 있다. 광주지방법원 해남지원의 재판관할은 해남군, 완도군, 진도군이며, 등기관할과 즉결관할 구역은 해남군이다. 광주지방법원 해남지원은 1980년 12월 31일 법률 제3345호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미황사에서 매년 가을에 괘불을 중심으로 영축산에서의 석가모니 부처의 설법을 재현하여 열리는 불교 종합예술 행사. 수륙재의 전통적인 의식을 바탕으로 전통식 상차림과 깨달음의 설법, 노래와 춤을 통하여 현대인들의 정신적 성숙과 존재감을 일깨우는 축제이다. 괘불은 법회를 야외에서 거행할 때 본존불상을 대신해 밖에 내거는 불교 그림이다. 「미황사...
-
개항이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해남 지역 교육의 역사와 현황. 해남지역의 교육은 우리나라가 개항한 1876년 이후 근대교육을 확대하는 과정과 함께 발전하여 왔다. 우리 민족의 힘으로 근대교육을 도입한 이래 일제강점기의 시련을 극복하고, 농촌인구 감소 등의 어려운 조건에서 현재 해남교육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019년 현재 초등학교 20개교, 중학교 11개교, 고등학...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운송 수단과 운송로. 전라남도 해남군은 서남해안 땅끝에 위치하여 육로는 도로, 철도을 이용하여 사람과 화물을 이동시키고 있다. 한편 해남의 경우 일제강점기 전까지 14개 읍면에 배가 닿지 않는 곳이 없었으나, 간척사업으로 많은 수로가 막혔다. 1925년에 금성자동차부(錦城自動車部)[김종현 설립], 호남자동차부(湖南自動車部)[안유석 설립]...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속하는 법정리. 구 향교가 있는 지역이라고 하여 구교(舊校)라 불리었다. 본래 해남군 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관동리·사포리·서외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해남면 구교리로 개설되었다. 1955년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하여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로 개편되었다. 현재 구교마을, 관동마을, 학동마을 등의 자연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구림리(九林里)는 대흥사에서 내려오는 물이 구곡수를 이루고, 수풀이 우거진 마을이라 하여 구림(九林)이라 불렸다. 또 물이 좋고 기름진 들이므로 구룡들, 구룡 또는 구림이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녹산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매정리, 덕촌리, 용전리를 병합하여 삼산면에 편입되었다. 구림리는...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구림리(鳩林里)는 마을 뒷산 큰봉재가 거북이 모양을 하고 있어서 구등리(龜登里), 거북등이라 불렀다. 이후 큰봉산[199.5m]에 비둘기가 많이 살고 있어서 구림(鳩林)이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의병들이 큰망재 칡덩굴에 몸을 숨기고 항쟁해서 칡더울이라고도 불렀다. 본래 장동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말과 기억에 의존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전승 문학. 구비 전승은 말로 전승되는 문화를 가리키는데, 대표적으로 구비문학이 있다. 구비문학은 말로 존재하고 말로 전달되며, 말로 전승되는 문학을 말한다. 따라서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대면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만 전달이 가능하다. 말로 전승되는 까닭에 전하여 들은 내용이 기억이 되어 다시 말로 재연되...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 명종 때 뒷산 형국이 용머리를 닮았다 하여 용두라 불렸다가, 이후 개산 또는 구산(九山)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안덕리, 신덕리, 장동리, 방두리, 금제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구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구산마을, 금제마을, 방두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의 북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해로 흘러가는 하천. 구산천(九山川)은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의 북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현산천과 합류한 후 약 2.5㎞ 남류하여 백포방조제를 통해 남해로 유입하는 지방하천이다. 상류는 두륜산도립공원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다. 구산리(九山里) 일대에서 조산천과 합류하고, 좌안에 비교적 넓은 평야를 이루면서 서...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 중기부터 돈월리(頓月里) 또는 1789년에 편찬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나오는 돈다리(頓多里)라 부르다가 1882년(고종 19)부터 구성리(九星里)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구전에 의하면 마을 주위에 있는 9개의 섬에서 아홉 구(九) 자를 따고, 군소재지 북쪽에 마을이 있으므로 북두칠성의 성(星) 자를 따서 구성리(九星里)...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구시리(九市里)는 아흐레 만에 서는 장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상구시(上九市)마을은 아흐레 만에 서는 시장 위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또는, 구시저수지가 축조된 후 구시저수지를 경계로 구시마을이 둘로 나눠졌는데, 저수지 위쪽이라서 상구시로 명명되었다고도 한다. 하구시마을은 아흐레 만에 열리는 시장 아...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북일면을 경유하여 전라남도의 해남군과 충청남도 금산군을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 남창 교차로부터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 우체국사거리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해남군은 북평면·북일면을 경유한다. 북일면을 지나 강진군 신전면으로 이어진다. 일반지방도는 자치단체마다 세 자리 주요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국...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현산면·화산면·삼산면·해남읍·옥천면·계곡면을 거쳐 전라남도 완도군과 충청남도 금산군을 연결하는 일반국도.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완도교차로부터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양전교차로까지 잇는 대한민국 국도 중 하나이다. 주요 경유지는 전라남도 완도군~해남군~강진군~영암군~나주시~광주광역시~전라남도 담양군~곡성군~남원시~순창군~임실군~장수군~진...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황산면·마산면·해남읍·옥천면을 거쳐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과 구례군 마산면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금골 교차로부터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를 잇는 국도이다. 진도, 해남, 강진, 장흥, 보성, 순천, 곡성, 구례를 경유한다. 해남군은 문내면 동외리·황산면·마산면·해남읍·옥천면 성산리를 경유한다. 우리나라 일반 국도 번...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송지면·현산면·화산면·황산면·문내면·화원면을 거쳐 부산광역시와 경기도 파주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부산광역시 중구 옛 시청교차로부터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자유 나들목까지 잇는 대한민국 국도 중 하나이다. 본래는 부산~인천선이라고 하여 인천광역시 동구까지였으나, 대한민국의 극북과 극서, 극남을 연결하는 간선도로가 되었다. 종점에서는 국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화봉리에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산하 연구 센터.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는 유용 해조류 양식 기술 연구, 해조류 신품종 개발과 보급, 해조류 유전 자원 보존과 관리, 해조류의 산업적 이용 확대 방안 연구, 수산 식물 기탁 등록 보존 기관 운영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는 1924년 7월 전라남도...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국민보험공단의 해남진도지사. 국민의 질병·부상에 대한 예방·진단·치료·재활과 출산·사망 및 건강 증진에 대한 보험급여 실시를 통하여 국민 보건 향상 및 사회보장 증진, 그리고 노후 건강 증진과 생활안정 도모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7년 해남군 의료조합으로 출발하였다. 1998년 10월에 국민의료보...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와 일신리에 걸쳐져 있는 산. 풍수지리에서 나라의 국사(國師)가 나올 만한 터가 있는 산이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땅끝기맥에서 뻗어내린 화원지맥에 속한다. 원호천의 발원지이다. 지층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되었고, 분류산성암층 산성분류암질 응회암이며, 대표암상은 산성분류암질 응회암이다. 국사봉(國師峰)의 높이...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일신리에 국사봉 호랑이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국사봉 호랑이」는 해남군 황산면 일신리에 서당이 없어 옆 마을의 서당으로 공부를 하러 다니던 아이가 국사봉(國師峰)[140m]의 호랑이에 물려 죽은 후 주민들이 일신리에 서당을 세웠다는 이야기이다. 「국사봉 호랑이」는 2016년 7월 10일 해남군 황산면 일신리에서 채록하...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민간 봉사 단체. 1917년 미국 아리노이주 시카고시에서 멜빈 존스가 설립하였다. 특히 국제라이온스클럽은 “세계 인류 상호 간의 이해심 배양과 증진, 건전한 국가관과 시민의식 고취, 지역 사회의 복지 및 생활 개선, 우의와 협력에 바탕으로 클럽 간의 유대 강화 등을 위해 설립된 국제 단체”이다. 미국에서 설립된 라이온스클럽은 192...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남외리에 있는 봉사 단체인 국제로타리클럽의 해남 지부. 국제로타리클럽은 1905년 미국 시카고의 변호사 폴 해리스에 의해 창립된 사회봉사와 세계평화를 표방하는 국제 봉사 단체이다. 전 세계 154회원국에 120만 정도의 회원이 있다. 국제로타리클럽은 인도주의 활동을 통해 세계의 평화증진과 질병 퇴치, 깨끗한 물 공급, 교육 지원 사업 등...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국제와이즈멘 한국지역 전남지구 서해지방 소속의 봉사 단체. 국제와이즈멘은 1922년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토에서 조직된 범세계적인 봉사 단체로 적극적인 봉사 활동을 통하여 인류를 위해 보다 나은 세상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 설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53년 국제와이즈멘 서울클럽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국...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군곡리(郡谷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정리, 안곡리와 은소면의 방처리와 완도군 보길면의 삼마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군곡리로 개설되었다. 방처마을, 군안마을, 현안마을, 신정마을의 4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방처마을은 조선 말에 들어온...
-
도시민이 전라남도 해남군으로 삶의 터전을 옮겨 농업에 종사하거나 생활하는 현상. 외환위기 이후 경제가 급격히 악화되면서 생업을 위한 귀농 인구가 늘기 시작하였고 2000년 이후에는 전원생활이 목적인 은퇴자들의 귀촌이 차츰 늘어났다. 2000년 후반 들어서는 젊은 층의 귀농·귀촌이 늘면서 농림축산식품부는 귀농귀촌종합센터를 설치해 귀농을 지원하고 있다.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가는 인구...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베틀바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귓골 베틀바위」는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 은적사(隱跡寺) 인근에 있는 ‘베틀바위’에서 선녀가 베를 짰다는 이야기이다. 「귓골 베틀바위」는 2016년 6월 6일 해남군 마산면 남계리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윤대현[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펴낸 『설화로 꽃피는 땅끝해남』에...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금강리(今江里)는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 금강(錦江)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을 앞 가공산[335m]이 옥녀가 비단을 짜는 옥녀직금(玉女織錦) 형국인데, 산의 오른편에 물레재, 바람재가 있어서 짠 비단을 펼쳐 놓은 곳이어서 비단 금(錦) 자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금(今) 자...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금강리 금강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무고와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금강리 금강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무고와 풍년, 어른들의 무고, 객지로 나간 사람들의 무고를 기원하며 도제를 지낸다. 정월 열나흗날 자정 마을 뒷산의 제각에서 당할머니께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시작하여 마을 입구의 솔대[솟대]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금강리에서 베를 짜기 위해 물레를 돌리면서 부르던 노래. 해남군 송지면 금강리는 뒷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강이 되어 마을 앞으로 흐르고 있는데, 강의 이름을 따서 마을 이름이 붙여졌다. 「금강마을 물레타령」은 금강리 아낙네들이 물레를 돌려 실을 자으며 부르던 노래이다. 「금강마을 물레타령」은 2009년 송지면지편찬위원회가 펴낸...
-
전라남도 해남읍 구교리, 수성리, 해리와 마산면 장촌리의 경계에 있는 산. 금강산(金剛山)[488m]은 해남읍의 500여 년의 역사를 지켜 온 해남읍의 진산(鎭山)이다. 마산면의 맹진과 화내를 경계 짓는 만대산(萬垈山)과 옥천면과 해남읍을 경계 짓는 만대산은 금강산의 줄기에서 갈라진 산들이다. 조선 전기 문신 유희춘(柳希春)[1513~1577]의 호가 미암(眉...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왼쪽에는 옥금산(玉金山)이 있고, 오른쪽으로는 주령산(珠嶺山)이 싸고 있어 풍수적으로 당(塘)[연못]과 같다고 하여 금당(金塘)이라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진도군 백도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금당리, 하금당리, 갈두리를 묶어 해남군 북평면 금당리로 개설되었다. 1983년 북평면에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있는 석재와 금속류 등에 기록된 문자. 금석문(金石文)은 글자 그대로 쇠나 돌에 표기된 문자를 말하는데, 석비나 암각명문(巖刻銘文)[바위 따위에 새긴 글] 등 재료가 돌인 경우가 가장 흔하고 동종이나 금고 등 금속류 법구나 도구에 기록한 경우도 있다. 금석문의 범위를 넓히면 목재나 토기, 기와, 도자기 따위에 기록된 문자도 포함된다. 전라남도 해남...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금송리(琴松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금동리의 첫 자와 반송리의 두 번째 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이면의 업자리(業子里)·방축리(防築里)·금동리(琴洞里)·반송리(盤松里)·덕호리(德湖里)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산이면 금송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업자마을, 방축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 있는 금융 거래 중개 기관. 금융이란 이자를 받고 타인에게 자금을 빌려주거나 타인으로부터 자금을 빌리는 행위를 말한다. 금융자산이 거래되는 시장이 금융시장이고, 금융시장에서 저축자와 차입자 사이에서 저축과 투자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곳이 금융기관이다. 금융기관과 금융시장은 소비, 저축, 투자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분리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부정을 막고자 매는 새끼줄. 금줄은 금하는 줄이라는 뜻으로, 부정(不淨)한 것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려고 치는 새끼줄이다. 볏짚으로 만들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새끼줄과는 달리 왼쪽으로 꼬아 만든다. 금줄의 종류에는 출산한 후에 집 대문에 치는 금줄, 동제를 지낼 때 마을 어귀나 동네 우물, 제관의 집, 당산나무, 당집 등 신체(神體)나 신체 주변에 치...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평리(錦平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평리를 중심으로 합치면서 평리에 ‘금(錦)’ 자를 붙여서 지은 이름이다. 그런데 평리는 본래 금평리라 불렀다고 한다. 금평리의 유래 이야기는 18세기 전반에 감목관으로 부임한 강필경(姜弼慶)과 연관된다. 강필경은 마을의 장사들이 황원곶 목장의 병마 사육을 방해하자, 마을의...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금풍리(金豊里)에는 자연마을로 명금(明今)마을과 신풍(新豊)마을이 있다. 명금과 신풍의 이름을 따서 금풍리(金豊里)라고 하였다. 명금마을은 마을을 감싸고 있는 금성산이 거문고 형태이며, 바로 옆 옥녀봉이 옥녀가 거문고를 타고 있는 형세라 하여 명금(鳴琴)이라 하였다가 일제강점기에 명금(明今)으로 바뀌었다. 신풍마을은 원래...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속하였던 섬. 해남군 산이면에 속하였던 섬이었으나 1993년 육지와 연결되었으며, 현재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 속하여 있다. 면적은 5.4㎢, 해안선 길이는 2.9㎞였다. 금호도(錦湖島)는 1450년(세종 32)에 관제 개편에 따라 현이 폐지되면서 무안현 문내방에서 해남군 화원방으로 이속하였다가 1906년에 산이면에 편입되었...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금호리(錦湖里)는 본래 ‘속금(束金)’이라 불렀다. 속금은 목화를 생산하여 돈을 묶는다는 뜻이다. 그러나 100여 년 전에 어떤 학자가 마을 산세를 둘러본 후에 ‘금호’라 불러야 마을이 부흥할 것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금호(錦湖)’로 바꾸었다. 금호는 바다경치가 비단자락을 펼쳐 놓은 듯 아름답고, 물결이 호수처럼 잔잔하...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도에서 화원면 별암리를 잇는 방조제. 영산강유역 농업종합개발은 1978년 박정희 대통령이 구상한 ‘서남해안 간척농지 개발사업안’에 뿌리를 두고 있다. 영산강 1단계 사업은 영산강 내륙지역인 장성·담양 등에 4개 댐을 건설하는 것이었으며, 2단계 사업은 목포~영암군을 잇는 영산강 하굿둑 공사였다. 제3단계 사업은 영암군 삼호읍에서 해남군 산이면...
-
전라남도 해남군에 전하는 문자로 쓰인 기록물. 고려시대까지 현산면 부근에 있던 해남현(海南縣), 마산면 부근에 있던 죽산현(竹山縣), 문내면과 화원면 일대에 있던 황원군(黃原郡)이 조선 초에 해남현으로 통폐합되었다. 이후 해남현이 해남군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일부 지역이 진도로 넘어가고 영암·강진 땅 일부가 해남으로 편입되어 오늘에 이른다. 해남의 기록유산으로...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기업을 경영하는 조직체. 해남군 소재의 제조 기업체는 2016년 3월 기준으로 373개소가 있으며 등록 완료가 된 곳은 361개소, 부분 등록한 제조 기업은 3개소, 휴업한 제조 기업체는 9개소이다. 제조 기업 종사자는 2016년 기준 총 3,496명으로 남자 1,887명, 여자 1593명, 외국인 16명이이다. 업종별로는 373개소 중 식...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대기 현상의 평균적인 상태. 한반도 서남단에 있는 해남 지역은 3면이 모두 바다이기 때문에 난류와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매우 온화한 기후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여름철에는 남동·남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하고,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고기압과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한랭 건조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최근 5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일터로 나가면서 서로 부르던 노래. 「길노래」는 우수영부녀농요 중 하나이다. 부녀자(婦女子)들이 아침에 들에 일하러 나가거나 저녁에 들에서 돌아올 때 부르던 노래이다. 「길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14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다만 19...
-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저항시인. 김남주(金南柱)[1946~1994]는 사회변혁운동의 이념과 정신을 온몸으로 밀고나간 전사이자 혁명적 목소리로 한국 문단을 일깨운 민족시인이다. 김남주는1946년 10월 16일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에서 아버지 김봉수와 어머니 문일님 사이의 3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삼화국민학교와 해남중학교를 거쳐 1964년 당시...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에서 해남 출신 김남주 시인의 시 세계를 기리고 문학 혼을 선양하기 위하여 매년 개최하는 문학제. 김남주문학제는 자유와 평화·통일을 노래한 민족시인이자 전사로서 불꽃같은 삶을 살다 간 김남주 시인의 시 세계를 기리고 문학 혼을 선양하기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다. 해남 출신 시인인 김남주[1946~1994]는 1969년 전...
-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문인. 김봉호(金鳳皓)[1924~2003]는 1924년 2월 26일 해남군 해남읍 학동리에서 아버지 김치준과 어머니 최영숙 사이에 7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해남지부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해남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한국 전통 차 문화 복원과 대중화에도 앞장섰다. 호는 우록(友鹿)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임하도에서 제철 숭어를 맛보고 토종고래인 상괭이가 뛰노는 임하도의 바다를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된 마을 축제. 문내면 예락리 임하도는 해남 우수영의 울돌목을 거슬러 올라온 숭어가 남해로 이동하는 길목으로 4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숭어를 잡기 시작하는데, 하루 2톤 가량의 활어를 위판하고 있다. 꼭꼭 숭어랑 상괭이 보일랑 한마당 축제는...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딸을 여러 사물에 빗대어 표현한 노래. 「꽃노래」는 꽃에 대한 노래를 불러 보자고 시작하여 딸 자랑을 하는 내용으로 끝나는 노래이다. 「창부타령」, 「심청가」 등의 여러 노래의 가사가 섞여 있다. 「꽃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8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 제보자 등에 대한 자료는...
-
전라남도 해남군 땅끝마을이 국토 순례 1번지가 되기까지의 변화 과정. 해남 땅끝마을이 한반도의 남쪽 땅끝이라는 사실은 몇몇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만국경위도에는 우리나라의 남쪽 기점을 땅끝 해남현으로, 북쪽 기점을 함경북도 온성부로 잡고 있다.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는 해남 땅끝에서 서울까지를 천 리, 서울에서 함경...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 신방마을에서 낙화암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낙화암전설」은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 신방마을에 살았던 백성한 부부와 오정달 부부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이다. 금실이 좋았던 두 부부가 죽은 뒤에 부인들은 꾀꼬리, 남편들은 호랑이로 환생하였다는 내용이다. 「낙화암전설」은 2016년 8월 1일 해남문화원에서 채록하였으며,...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난대리(蘭大里)는 터가 세서 민심이 사나워서 순박한 마을을 만들고자 난초(蘭草)를 심어 가꾸게 되면서 마을 이름을 난대(蘭大)라 불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난대리·동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난대리로 개설되었다. 난대리(蘭臺里)는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에 황이면에 속한 마을로 나...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에 조성된 종합 장사 시설. 해남군·완도군·진도군이 서남권 광역화장장과 해남군 공설추모공원 조성 사업을 연계 협력하여 진행함으로써 2019년 4월 남도광역추모공원이 완공되었다. 총사업비 195억 원을 투입하였는데, 사업별로 살펴보면, 서남권 광역화장장 사업에 국비 56억 해남군 8억, 완도군 4억, 진도군 4억 등 총 72억 원이...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현산면, 북평면에 걸쳐 있는 달마산에 둘레길이 만들어진 과정과 4개 코스를 걸으며 만나는 풍경. 달마산은 백두대간에서 시작한 호남정맥이 한반도 최남단 땅끝으로 가기 전 일구어 놓은 산이다. 달마산의 능선은 공룡의 등줄기처럼 울퉁불퉁 솟아있으며, 능선을 따라 오르면 아름다운 완도와 진도의 다도해가 시원스럽게 조망되고, 날씨가 좋은 날은...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주로 생산되는 특산품과 이를 이용해서 만든 향토 음식. 땅끝 해남은 중생대 우항리 공룡화석지, 천년 고찰 대흥사, 육백년 된 윤선도 종가집, 오래된 시간의 흔적들이 겹쳐서 흘러간다. 이른 봄 어린 마늘밭에 난 풀을 뽑는 농민의 주름진 얼굴에 쏟아지는 햇살도 느긋하다. 사계절 어느 때라도 푸름과 여유를 잃지 않는 곳, 순박한 사람들이 들과 바다를 끼고...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1949년에 일본식 지명을 바꾸면서 ‘대화정(大和町)’에서 ‘남동리(南洞里)’라 칭하게 되었다. 본래 『호구총수(戶口總數)』 기록에 의하면 현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후에 군일면 지역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남문리의 남쪽 지역을 나누어 대화정이라 하여 해남군 해남면 대화정으로 개설되었다. 1949년 일본식 지명이 교체되는 과정에...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남리리에 있는 전통시장. 남리5일시장은 3일과 8일에 정기적으로 열리는 공설시장이다. 남리5일시장은 1964년 개설된 시장이나, 조선 후기부터 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 1770년 편찬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에 화원·남리 3일 개시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부터 시장이 이어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남리(南利)는 고려 때부터 남리(南里)로 칭하고, 압리(鴨里)[‘앞리’에서 파생된 말]라고도 불렀다. 남(南)은 따뜻하고 풍요로움을 일컬으며, 리(利)는 하늘이 지니고 있는 4가지 덕인 원형이정(元亨利貞)에서 의로움의 조화나 만물이 이루어지는 가을을 뜻한다. 그러므로 남리는 따뜻하고 풍요로움이 조화롭게 이루어진다는 의미이...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남외마을은 해남읍성의 남문 밖이었기에 남외라고 불리게 되었다. 본시 해남읍성의 남문 밖이므로 ‘남문밖→남밖에’·‘남문외(南門外)→남외(南外)’라 칭하였는데 ‘남외(南外)’로 굳어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외리 일부와 군이면의 용정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해남면 남외리로 개설하였다.1955년 해남면이...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에 있는 전통시장. 남창5일시장은 완도와 강진을 잇는 교통 요충지에 위치해 2일과 7일에 정기적으로 열리는 공설시장이다. 남창5일시장은 1945년 직후에 형성되어 1964년에 개설되었다. 남창5일시장은 1964년에 개설된 이후, 1970년경 선창가에서 남창농협 뒷쪽으로 옮겼다가 2005년 북평면 남창리 1279...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해남성당 소속의 공소.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는 곡창 지대로 마을 앞바다 건너에 있는 완도와 여러 섬 지역의 모든 물동량이 모이는 창고라 해서 붙여진 동네 이름이다. 물자가 많다 보니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남창리 지역에 천주교를 전파하고 종교 모임을 활성화하려는 목적으로 남창공소가 설립되었다. 1954년 김...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에서 완도군 원동리 달도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 남창교(南倉橋)는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와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달도 사이를 잇는 다리로, 3차에 걸쳐 별도로 건설되었다. 1차는 1927년 무렵 건설되었고, 2차는 1965년 광복 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바다를 연결하는 연륙교로 건설되었다. 3차는 1999년에 준공되어 국도 제13호선...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법정리. 본래 고달도라 불렀으며, 달량진이라고도 하였는데, 1555년(명종 10) 달량진왜변 이후 남창을 두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남창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웃마을인 이진리에는 이진진이 설치되었다. 영암군 북평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이진리 일부를 병합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남천마을은 ‘쪽내’라고도 하였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보이는 한자명 ‘남천리(藍川里)’와 연관이 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보이는 종천포(淙川浦)를 음독한 ‘종내’가 ‘쪽내’가 되어 남천리(藍川里)가 된 것이다. 이후 남(藍) 자가 남(南) 자로 변화한 것으로 보이나 그와 관련된 기록은 전해지...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꼴을 베거나 나무를 하러 가서 낫을 도구로 즐기는 놀이. 낫치기는 해남 지역에서 여름철에 소에게 먹일 꼴[풀]을 베러 갔을 때나 겨울철에 땔나무를 하러 갔을 때 청소년들이 즐기던 민속놀이이다. 꼴을 베고 나무를 할 때 사용하는 낫을 이용해 놀이하며, 꼴이나 나무를 내기로 경쟁심을 유발하는 놀이이다. 목적지를 정해 두고 낫을 던지거나 굴려...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앞산인 봉태산(烽台山)에 봉화를 올렸다고 하여 봉촌(烽村)으로 불렸으나, 후에 봉태산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내봉(內烽)으로 바뀌었다.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봉리와 동리의 이름을 따서 내동리(內東里)라 하였다. 강진군 백동면에 속하여 오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봉리, 동리, 좌일리, 중산리 일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내사리(內四里)는 월교마을, 기동마을, 장화마을, 신리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월교마을은 『호구총수(戶口總數)』[1798]에는 두정리(斗井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두정리는 말[斗]만한 우물[井]이 있어 붙여진 것이라고 하나, ‘마루[산마루]’에서 유래한 것으로도 본다. 즉, 산마루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마루물[몰]’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외출했다가 돌아와서 병증이 생겼을 때 행하는 치병 의례. 내전주기는 병증의 원인이 바깥의 잡귀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해소하고자 잡귀를 위협하고 풀어먹이는 방식으로 행한 주술적 치병 의례이다. 주로 귀신이 두려워하는 주술적 행위를 통해 잡귀를 쫓아내고자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주술 방식은 전국적으로 행하였는데, 지역에 따라 객...
-
전라남도 해남군의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상태. 우리나라의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른 평균수명의 증가, 저출산 등으로 인구의 고령화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더욱이 급속한 산업화의 결과로 농촌의 젊은 층이 도시로 빠져나간 결과 농촌 인구의 고령화는 도시에 비해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해남군의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실제 인구 고령화 추...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노송리(老松里)는 병자호란 때 창의한 김안방, 김안우, 김선지, 김연지가 청주화의(淸州和議) 소식에 비분강개하고 충절을 다하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하여 마을 뒤 주성산에 노송을 심고 종신하므로 노송정(老松亭)이라 부른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이면의 노송리, 석연리, 구교리, 금동리·...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노인들이 건강하고 편안한 삶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된 평생교육기관. 해남군에서는 인구 고령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노인들의 여가 선용과 사회참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관내 5개소에 노인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노인대학에서 노인들은 취미 활동뿐 아니라 인문학이나 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교양 및 건강 관련 프로그램에 참...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노하마을은 갈대밭이 있던 곳이라 갈앗 또는 노하(蘆河)라 불렀고, 노하(鷺河)로도 썼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노하리(路下里)라는 지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전부터 불렀던 명칭이다. 2008년 2월 18일에 노하(路下)에서 노하(鷺河)로 한자 표기를 바꿔 부르고 있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가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농경과 관련된 말.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농경 어휘를 경작, 타작, 방아 찧기, 곡물, 채소로 나누어 기술하기로 한다. 1. 농기구 ‘쟁기’에는 ‘보습’과 ‘볏’이 달려 있다. 해남 지역에서는 ‘보습’과 ‘볏’을 각각 ‘버섯’, ‘벳’이라고 한다. 전라도 지역에서는 땅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인 ‘...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주로 농사를 지을 때 사용했던 도구. 농기구는 농사를 지을 때 사용하는 다양한 도구들을 말한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은 논이 많아 농사와 관련된 다양한 도구가 전하여 오고 있다. 해남 지역의 농기구는 농사 쓰임새에 따라 가는 도구, 삶는 도구, 매는 도구, 물 대는 도구, 거두고 터는 도구, 알곡 내는 도구, 말리고 갈무리하는 도구, 운반 도구 등으...
-
전라남도 해남군의 산업 분야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유용한 동·식물을 길러 생산물을 얻어내는 산업. 해남군은 한반도의 남서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해남군은 영암호와 금호호가 간척되기 전에는 동쪽과 북쪽이 전라남도 영암군과 강진군으로 연결되던 반도였으나, 영산강 3단계 간척으로 북쪽과 동쪽이 육지와 연결되고, 서쪽과 남쪽이 바다에 접하게 되었다. 해남의...
-
해남군 농업인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을 통하여 농업 생활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협동조합. 해남군에 있는 농업협동조합은 농업인이 협동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자신의 권리를 지켜 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단체로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신...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수령이 220~1100년 된 느티나무 41그루. 느티나무는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 교목이다.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오랫동안 평활하나, 비늘처럼 떨어지고 껍질눈은 옆으로 길어진다. 느티나무의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2~13㎝, 너비 1~5㎝로...
-
전라남도 해남군의 서로 다른 국적, 인종,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포함된 가정. 우리 사회는 주로 농촌지역 남성들의 국제결혼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다문화가정이 늘어 다문화사회로의 변화가 시작되었다. 다문화가정은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혼란, 빈곤 문제, 지역사회 구성원의 배타적인 태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남군은 다문화가정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다문화가 어울려 살아가는 지...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매년 음력 5월 5일에 행하는 풍속. 단오는 음력으로 양수인 홀수 5가 겹치는 날이어서 길한 날로 여긴다. 중국의 음양 철학에서는 기수(奇數)[홀수]를 양(陽)으로 치고, 우수(偶數)[짝수]를 음(陰)으로 친다. 이 중에서 기수가 겹쳐 생기(生氣)가 있는 날을 명절로 삼는데, 바로 1월 1일,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달마산 미황사에서 시작하여 송지면과 북평면으로 이어지는 달마산 둘레길. “천년의 세월을 품은 태고의 땅. 낮달을 찾아 떠나는 구도의 길”을 주제로 2년여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17년 11월 18일 개통한 둘레길이다. 달마고도는 미황사에서 시작하여 큰바람재, 노지랑골, 몰고리재 등 달마산 주능선 전체를 아우르는 여행길이다. 기계를 사용하지...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미황사가 있는 달마산의 둘레길인 달마고도 힐링 걷기를 테마로 개최하는 축제. 남도명품길, 달마고도는 땅끝마을 아름다운 절 미황사가 위치한 달마산의 둘레길이며, ‘눈이 즐겁고 발이 편한 명품 걷기길’이다. 미황사에 전해 내려오는 12개 암자를 연결하는 암자 순례길이기도 하고, 달마산 미황사의 옛길이기도 하다. 달마고도는 본래의 자연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송지면 서정리와 북평면 서홍리에 걸쳐 있는 산. 달마산(達磨山)[470m]은 호남정맥에서 뻗는 기맥이 한반도 최남단으로 가기 전 해남군 남단에서 암릉(巖陵)으로 솟은 산이며, 송지천의 발원지이다. 달마산에 관한 최초의 지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영암군 산천조이다. 달마산은 이미 고려시대 이전에도 그 명성이 중국에까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서 달마산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달마산」은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달마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해남군 송지면의 달마산은 부처의 모습을 닮은 산이며, 중국 소림국에 있던 달마대사가 해남의 달마산으로 와서 지냈다는 내용이다. 「달마산」은 2016년 12월 1일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1에서 채록하였으며, 구...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달마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의 말사인 암자.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도솔암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해진다. “그 땅의 끝 편에 도솔암이 있고, 그 암자가 향한 형세가 곶(串)[바다로 돌출한 육지의 선단부]을 얻어 장관이 따를 만한 짝이 없다. 화엄조사(華嚴祖師) 상공(湘公)이 터 잡...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 및 남창리와 현산면 월송리의 경계에 있는 고개. 닭골재를 경계로 해남군 북평면과 현산면이 나누어진다. 큰닭골재[68m]는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에서 현산면 월송리로 넘어오는 재이며, 원닭골재[100m]는 북평면 이진리에서 현산면 월송리로 넘어오는 재이다. 원닭골재는 월송에서 북평 이진마을로 넘어 다녔던 작은 재다. 지금은 임도가 나...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이 산(山) 자 형태를 하고 있고, 여기에 마을 전체가 한 집안이라는 의미로 당(堂) 자를 넣어 당산(堂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해남군 비곡면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동리, 춘언리, 신광리, 동백리, 모동리 일부를 합하여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당산마을, 신기마을, 태인마을 등의...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당산마을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한 자치조직. 대동계는 마을의 이익을 공동으로 추구하기 위해 조직된 기능집단의 하나이다. 계원의 상호부조와 공동 이익을 위해 규약을 만들어서 운영하였다. 당산리 당산마을 대동계는 마을 주민들의 친목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마을 총회의 성격을 띠고 지속되고 있다. 당산리 당산마을 대동계는 애...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마을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해 운영되는 촌락 단위의 자치 조직. 대동계는 마을의 이익을 공동으로 추구하려고 조직한 기능집단의 하나로, 전국 곳곳에서 발견된다. 계원의 상호부조와 공동 이익을 위해 대동계는 규약을 만들고 그에 따라 운영하였다. 마을에 거주하는 구성원들은 의무적으로 대동계에 가입하는 것이 관례이며, 마을 내로 분가하거나 외지에서 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펼쳐진 차를 중심으로 한 초의, 추사, 소치 등의 교유. 조선 중기 이래로 일부의 선승(禪僧)과 문인들에 의해 겨우 계승되고 있던 음다풍은 19세기에 이르러 해남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성행하게 된다. 조선 후기의 차는 호남을 중심으로 융성하였다. 호남은 다승(茶僧)인 초의(草衣) 의순(意恂)[1786~1866]의 생(生)[무안군 삼향면]과 사(死)...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행하는 명절 풍속. 대보름이란 음력으로 1월 15일, 곧 그해에 처음으로 보름달이 뜨는 날로, 정월보름, 정월대보름 등으로 부른다. 태음력을 사용했던 우리 민족은 이날을 매우 중요하게 여겨 공동체 및 개인이 일 년 동안 안녕과 풍요를 누리기를 기원하면서 다양한 풍속을 행하여 왔다. 보통은 정월 열나흗날 밤부터 행하는...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뒷산이 크다고 하여 한뫼라 한 것을 한자화하여 대산(大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영암군 옥천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대산마을, 동리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대산마을의 입향조는 문의박씨이...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철물 제작 기술을 보유·전승하고 있는 장인. 대장장이는 수공업적인 방법으로 쇠를 달구어 각장 도구를 만드는 사람을 말한다. 역사 발전 과정에서 철기 문명이 무기에서 생활 도구, 노동 도구 등으로 확장됨에 따라 대장장이의 역할도 커져 갔으나, 근대 서양식 산업기술, 기계 기술이 발달하면서 대장장이는 사라질 운명에 처하게 되었다. 해남군에서는 농수산업에...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양화리와 목포시 달동 달리도 사이의 물길. 지금의 해남 구 목포구(木浦口) 등대 인근에 있는 대진(大津)은 나주와 영암 등 영산강 인근 지역으로 진입하려는 배들이 통과하는 곳이었다. 조선시대에는 물길이 세어 영산강으로 진입하려는 배들이 통과하기 어려웠으나, 현재는 영산강 하굿둑 등 간척으로 인하여 물길이 느려졌다. 옛날 세곡을 실은 배가 대나리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큰 나루가 있으므로 한나루, 한날 또는 대진(大津)이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이면의 신농리, 대진리·원항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산이면 대진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대진마을, 원항마을, 지사마을, 신농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지사와 신농은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대한노인회 산하 해남군 지역 지회. 대한노인회는 1969년 노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한 우리나라 최대 노인 단체이다. 현재 대한노인회에는 16개 시·도연합회, 1개 직할 지회, 245개 시·군·구 지회를 비롯해 읍·면·동에 2,031개의 분회와 20개의 해외지회가 소속되어 있다. 또 마을과 동마다 6만 5000여 개의...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대한적십자사봉사회 산하 해남 지역 협의회. 대한적십자사는 1905년 고종 황제 칙령 제47호에 의해서 설립된 이후 1919년 상하이에서 활동하는 독립군과 재외 거주 동포를 위한 다양한 인도적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국전쟁 시기에는 피난민을 위한 구호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등의 정치적 격변기에도 인도주...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구림리에 있는 조선 기업. 대한조선은 끊임없는 혁신을 통한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역 경제와 국가 조선산업에 기여하고 있는 해남 지역의 조선 기업이다. 대한조선은 ‘세계 최고의 중형 조선소’로 발돋움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자랑스러운 기업, 고객들로부터 선택 받는 조선소로 성장하여 지역 및 국가경제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와 두륜산의 여덟 군데 아름다운 경치. 해남 출신 시조 시인 김연태[1917~1986]가 해남 두륜산의 자연환경과 두륜산 자락에 있는 대흥사의 아름다움을 대흥팔경(大興八景)으로 명명하고 시로 남겼다. 팔경(八景)이란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대명사이며, 중국 송나라 때 명승지인 호남성 소상에 있는 동정호 남쪽 언덕 소수와 상강이 합수되는 근처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있는 대흥사 및 암자에 전해지는 성보 문화재를 전시하기 위해 세운 박물관. 해남 대흥사 및 산내 암자에 전해지는 성보 문화재가 도난이나 훼손으로 인해 망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문화재청, 전라남도, 해남군의 지원을 받아 건립한 사찰 박물관이다. 1978년 서산대사의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 처음 개관하였다가, 2012년 대흥사의 역사...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22교구의 본사인 대흥사의 산내 암자. 대흥사 일지암(大興寺一枝庵)은 초의선사가 39세인 1824년(순조 24)에 중건하였으며, 1866년(고종 3) 81세로 입적할 때까지 지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초의선사는 완호의 법맥을 이은 대흥사 13대 종사로, 1840년 55세 때에 대각등계보제존자초의대선사...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해남 대흥사 천불전 건립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대흥사 천불전」은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해남 대흥사(大興寺) 천불전(千佛殿) 건립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이다. 천불전을 지을 때 못을 전혀 쓰지 않고 목침을 끼워서 지었다는 내용이다. 해남 대흥사 천불전은 2013년 8월 5일 보물 제1807호로 지정되었다. 「...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의 산내 암자. 대흥사 청신암에 대한 창건과 중수는 기록이 없어 알길이 없다. 다만 승려 범해각안이 쓴 『동사열전』에 응암학성(應菴學性) 승려가 청신암에서 1886년 입적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1865년 청신암의 후불탱화인 아미타회상도가 초의의순을 증사로 용완기연(龍浣錡衍), 현종...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덕송리(德松里)는 산수가 수려하여 학이 많이 모여들었고, 노송이 많다고 하여 덕송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덕곡리, 황조리, 대진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산이면 덕송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덕송마을, 덕곡마을, 황조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덕송마을은 1789년에 편찬된 『호...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삼산면 상가리·옥천면 영춘리에 걸쳐 있는 산. 덕음산(德陰山)은 옥천천(玉泉川)의 발원지이고, 해남읍 연동리(蓮洞里)의 주산(主山)이다. 덕음산 주변에 사는 사람들은 덤벙산으로 부른다. 덤벙산을 한자로 차자하여 덕음산(德陰山)이라고 명명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덕음산은 땅끝기맥에서 뻗어내린 화원지맥에 속...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관흥군(冠興君) 임희성은 진도군수를 지냈는데, 처가가 해남이었다. 처가에 왕래하던 차에 마을 지형이 솥[鼎]과 같아, 터를 잡으면 큰 덕을 보고 자손만대에 인물이 많이 나올 것이라 하여 정착하였으며, 마을 이름을 덕정(德鼎)이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청계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덕정리 지명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덕정리와 진양주」는 해남군 계곡면 덕정리(德鼎里)의 지명 유래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5호로 지정된 진양주(眞釀酒)가 덕정리에서 만들어지게 된 유래에 관한 이야기이다. 「덕정리와 진양주」는 2016년 12월 2일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824-19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임정모[...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덕호리(德湖里)는 텃골 북쪽 갯가에 있어 ‘텃골개’, ‘텃굴개’라 하였다. 옆 마을 부흥마을을 내덕(內德), 덕호마을을 외덕(外德)이라 하였다. 본래 산이면 지역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이면의 백동리, 학림리, 백천리, 옹암리와, 반송리·덕호리·부흥리·해당리·방축리·예정리 각 일부를 합하여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원래 마을 이름은 앞산이 높다고 하여 대봉리라 불렀으나, 광해군 때 점(店)이 있었으므로 거치점 또는 큰바위 더미가 있어 덕흥리(德興里)라 하였다고 한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정리, 봉림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덕흥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덕흥마을, 봉림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덕흥마을은...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사람이나 차들이 편히 다닐 수 있드록 만든 비교적 큰길. 해남군은 해남읍을 중심으로 동쪽으로 강진 21.2㎞, 장흥 29.3㎞, 서쪽으로 진도 48.8㎞, 남쪽으로 완도 49㎞, 북서쪽으로 목포 54㎞, 북쪽으로 영암, 나주[영산포]를 거쳐 광주까지 92.4㎞ 거리에 위치한다. 해남군에는 광주, 목포 등 전라남도 주요 시군과 해남군 내...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보리타작을 할 때 부르던 노래. 「돌깨노래」는 도리깨를 이용하여 보리타작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도리깨를 이용하여 보리를 타작한다는 점에서 「타맥요(打麥謠)」, 「보리타작소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돌깨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15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아이들이 땅에 고누판과 유사한 놀이판을 그려놓고 한 발로 돌을 차며 진행하는 놀이. 돌차기는 해남 지역에서 주로 여자아이들이 즐기던 놀이로, 땅에 여러 칸을 그려 놓고 규칙에 따라 깨금발로 돌을 차며 진행하다가 도착점에 도달하면 되돌아 나온다. 아이들의 평형감각을 키우는 데에 유익한 놀이이다. 해남 지역에서 돌차기가 언제부터...
-
전라남도 해남군에 서식하는 동물.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고라니, 두더지, 수달, 삵 등 19종이 확인되었다. 법정 보호종으로는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1급이며, 천연기념물 제330호인 수달과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인 삵이 서식하고 있다. 조류는 지역에 따라 46종에서 99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서류는 10종, 파충류는 10...
-
전라남도 해남군을 상징하는 군화.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 교목으로, 산다목(山茶木)이라고도 한다. 겨울에 꽃을 피워 동백(冬柏)이라 불린다. 동백나무는 주로 온화한 기후의 섬에서 자라며, 동쪽으로는 울릉도, 서쪽으로는 대청도까지 분포한다. 동백과 관련된 전라도 지방의 민요로는 「동백타령」이 채록되었다. 동백나무는 높이 7~8m에 지름이 30~50㎝까지 자...
-
전라남도 해남군을 상징하는 군목.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 관목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 서식하고 있다. 잎이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물결 모양의 잔톱니가 있다. 잎의 길이는 5~12㎝, 너비 3~7㎝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난다. 뒷면은 황록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15㎜로 털이 없다....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외리(東外里)는 우수영성(右水營城)의 동문 밖에 있어서 ‘동문밖’, ‘동밖’ 또는 ‘동외’라 불렀다. 본래 해남군 문외면 지역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외리, 일정리, 신창리, 난대리, 남외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동외마을, 동영마을, 동내마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절기에 행하는 풍속.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보통 양력 12월 22일 또는 23일 무렵에 든다. 이날을 계기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데, 사실상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다. 그...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이 배의 모양, 즉 구레, 배바통을 닮았다 하여 ‘배성국’이라 하였고,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홍해(洪海)로 나온는데, 1914년 행정구역개편 과정에서 마을 좌향이 동(東)이고 바다가 보인다고 하여 동해(東海)라 개칭하였다고 한다. 본래 영암군 북평시면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동해리에 누룩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동해리 누룩바위」는 해남군 북평면 동해리에 있는 누룩바위와 관련하여 전하여 오는 이야기이다. 동해마을에는 큰 인물이 많았지만 옆 마을인 동천마을에는 인물이 나오지 않았다. 동천마을 청년들은 누룩바위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산꼭대기에 있는 바위를 아래로 밀었다가 1년 사이에 모두 죽고 말았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 기반을 두고 활동했던 문학 단체인 두륜문학회에서 발간한 동인지. 『두륜문학』은 1959년 전라남도 해남에서 결성된 두륜문학회가 문학회 활동의 결과물을 정리하여 묶어 낸 동인지이다. 두륜문학회는 창립된 이래 영역을 확장하여 시, 시조, 동화, 수필, 소설, 희곡, 한시 등 분과별로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 결과물을 매년 12월에 발간한 『두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1959년도부터 1971년까지 활동했던 문학 단체. 두륜문학회는 해남 지역에서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에 이바지하면서 회원 간의 친목을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민재식, 이정훈, 윤상현, 이광정, 김남용 등은 지역의 문화예술에 큰 관심이 두고 있었는데, 특히 과거에 찬란하게 꽃을 피웠던 해남 문학의 명맥이 거의 끊어져 불...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있는 테마공원. 특색 있는 미로 공원을 조성하여 새로운 관광수요를 창출하고 두륜산권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는 동시에 미로 전시 텐츠 구축으로 내방객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건립하게 되었다. 2010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미로 공원 조성 사업을 시작하여 2014년 1월 건물 외관을 준공하였다. 그러나 2013년 6월 측백나무 등...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북일면·북평면·옥천면·현산면·화산면에 걸쳐 있는 산. 두륜산(頭輪山)의 지명은 정약용이 편찬한 『대둔사지(大芚寺地)』에 의하면 백두산에서 두(頭), 중국 곤륜산에서 륜(輪)을 빌어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한편 『1872년 지방지도』[해남현]에는 지금의 두륜산에 있는 대둔사가 기재되어 있는데 절 이름을 따서 대둔산(大芚山)이라고 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있는 명승지. 두륜산을 대둔산(大芚山)이라 부르기도 했기 때문에 원래 사찰명은 대둔사(大芚寺)였으나, 대흥사(大興寺)로 명칭을 바꾸었다. 대흥사의 명칭 유래에 대해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일제강점기 지명이 두륜산의 한자가 두륜산(頭崙山)에서 두륜산(頭輪山)으로 변경되면서 대둔사가 대흥사(大興寺)로 고정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북평면·현산면·북일면·옥천면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자연보호 및 두륜산(頭輪山)[700m] 일대의 산수미와 사찰, 남해를 조망할 수 있는 지리적인 조건, 사계절 휴양 가능 등으로 인하여 1979년 12월 두륜산도립공원[면적 33.39㎢, 2018년 면적 32.91㎢]으로 지정되었다. 1971년 5월에 국민관광지[교통부고시 제98호]로, 1975년...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교육목표는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에 있다. 교훈은 “날로 새로워라”이다. 1969년 10월 14일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에서 두륜중학교(頭輪中學校)로 인가받았다. 1970년 3월 1일 초대 김학인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1970년 3월 19일 개교하였다. 2017년 3월 1일 제18대 김종서 교장이 취임하...
-
전라남도 해남군에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이자 애정요. 「둥게야노래」는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놀이를 할 때 부르던 유희요이자 남녀 사이의 사랑을 노래한 애정요이다. 아이를 어르거나 달랠 때 부르는 「둥게소리」와 달리 해남 지역에서 전해 오는 「둥게야노래」는 유희요로 널리 불리고 있다. 「둥게야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여성들이 즐겨 부르던 노동요이자 유희요. 「둥당애타령」은 해남군에서 여성들이 즐겨 부르던 노래인데, ‘물방구’나 ‘활방구’ 같은 기구를 악기로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둥당애타령」이라는 명칭은 “둥덩에당 둥덩에당 당기둥덩애 둥덩애당”이라는 후렴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둥당애타령」은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전염병 등의 재앙을 막고자 마을 어귀에 디딜방아를 거꾸로 세우는 주술적 풍속. 호남과 충청, 영남 일대에는 전염병이나 나쁜 액이 돌 때 다른 마을의 디딜방아를 훔쳐 와서 마을 어귀에 거꾸로 세운 후 생리혈이 묻은 여성 속옷을 씌워 액을 막는 풍속이 있었다. 디딜방아를 세워 놓으면 나쁜 액이 침법하지 못한다고 믿었던 것이다. 이렇게 디딜방아를...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딸을 달래거나 기쁘게 할 때 부르던 노래. 「딸 어르는 노래」는 해남군에서 칭얼대거나 보채는 아이를 어르거나 놀이를 행할 때 불러 주던 노래이다. 첫 소절에 “둥둥둥 내 딸이야”라고 시작함으로써 딸에 대한 노래임을 제시하고 있다. 「딸 어르는 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6쪽에 수록되어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해남 명량대첩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땀 흘리는 이순신 비석」은 해남 명량대첩비가 땀을 세 번 흘리면 일본이 망한다는 전설 때문에 일본이 몰래 명량대첩비를 철거하였다는 이야기이다. 「땀 흘리는 이순신 비석」은 2016년 1월 24일 해남군 해남읍 수성리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천병국[남]이다. 2017년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땅끝마을 땅끝 맴섬에서 옥천면 세곡재로 이어지는 길. 땅끝 천년숲 옛길은 다양한 해남의 역사와 문화재를 탐방할 수 있는 코스로, 작은 오솔길을 활용해 자연스러운 숲길을 조성하였다. 땅끝 천년숲 옛길은 국토 순례 및 도보 여행을 위한 신개념 이동로를 조성함으로써 지역의 새로운 명소를 창출하고 자연보전 및 생태환경 교육과...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과 북평면, 문내면을 시작점으로 하여 조성된 트레킹 코스. 2005년 이후 도보 여행과 트레킹이 관광 트렌드로 부각되면서 제주 올레길, 지리산 둘레길 등 각종 도보 여행로와 순례길이 전국 각지에서 조성되었다. 해남 또한 ‘국토 최남단’, ‘국토 순례의 시발지’라는 소재로 다수의 도보 여행로를 조성하였다. 가장 먼저 조성된 것은 땅끝길[문화생태탐방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해남성당 소속의 공소. 해남군 송지면은 일명 땅끝마을로 불린다. “땅끝까지 이르러 복음 전하라.”라는 말처럼 우리나라에서는 상징적인 이 마을에 천주교를 전하려는 목적으로 1993년 6월 해남성당[주임신부 조영대]이 땅끝공소를 설립하였다. 땅끝공소는 1990년 1월 21일 산정마을에 사는 김정이...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예정리 보해매실농원 일대에서 매화꽃을 주제로 매년 3월 열리는 축제. 1978년 조성된 보해매실농원은 국내 최대 규모인 총 50여 만㎡의 면적에 1만 4000여 그루의 매실수가 식재되어 있어 봄이면 꽃 천지를 이룬다. 해남 보해매실농원은 매화꽃의 개화 시기에 맞춰 일반인들에게 개방된다. 보해매실농원은 백매화, 홍매화 등과 동백나무가 심어...
-
전라남도 해남군에 기반을 둔 문학 단체인 땅끝문학회에서 발간하는 동인지. 『땅끝문학』은 해남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들의 단체인 땅끝문학회에서 매년 발행하는 문학 동인지이다. 『땅끝문학』은 자유, 민주, 평화, 통일을 노래한 김남주(金南柱)[1946~1994] 시인의 시 정신을 계승한다는 취지 아래 1999년 9월 9일 김경윤, 김경옥, 이봉환,...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학 단체. 땅끝문학회는 1999년 9월 9일 김경윤, 김경옥, 이봉환, 문재식, 박태정 등이 주축이 되어 해남 지역 문예활동의 저변을 확대하고자 창립하였다. 땅끝문학회는 자유, 민주, 평화, 통일을 노래한 김남주 시인의 시 정신을 계승한다는 취지로 1999년 9월 9일 김경윤, 김경옥, 이봉환, 문재식, 박태정 등이...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땅끝마을에 있는 선착장. 땅끝-산양[보길도, 노화도] 구간과 땅끝-넙도 구간을 운항하는 여객선이 이용하고 있는 선착장이다. 노화농업협동조합과 해광운수에서 여객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구간별 1일 운항횟수는 땅끝-산양 구간 26회, 땅끝-넙도 구간 5회이다. 1980년대 초반 갈두항과 보길도 연계 항로로 개발되었다. 완도군 노화도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해변. 송호(松湖)는 해변가로 노송이 무성하고 바닷가의 고운 모래와 맑고 잔잔한 물결이 호수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해남의 가장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땅끝송호해변은 모래가 좋고 수심이 얕으며, 주위에 소나무 숲이 울창하여 야영장으로도 적합하여 전라남도 각지에서 모여드는 사...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서 땅끝송호해변을 중심으로 여름철 관광객과 지역민들의 화합을 위하여 개최하는 축제. 땅끝송호해변푸른음악회는 땅끝송호해변과 해남의 관광지를 찾아온 피서객들에게 여행의 즐거움과 함께 문화예술을 즐기는 시간을 제공하고자 개최하는 행사이다. 땅끝송호해변푸른음악회에서는 초청 가수 공연, 지역 가수 공연, 각종 퍼포먼스 공연 등이 다양하게...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문화 예술 시설. 땅끝순례문학관은 해남의 문학사를 정립하여 해남의 문학적 전통을 계승하고 지역문인들의 작품과 문학 사료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는 문학관이다. 해남 문학의 비조라 할 수 있는 금남 최부, 호남 시학의 스승인 석천 임억령, 독보적인 기록 문학가인 유희춘, 인간애를 표현한 삼당시인 백광훈, 조선의 으뜸시인 윤선도 등 조...
-
전라남도 해남군 관내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생으로 이루어진 오케스트라. 2006년 창단된 해남 땅끝오케스트라는 민립(民立) 청소년 관현악단으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단 당시 군 단위 지자체 중 유일하게 학생들로만 구성된 오케스트라로 주목을 받았다. 창단 이래 수준 높은 공연을 선보이며, 지역 음악 인재 배출의 요람이 되고 있다. 땅끝...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조성된 오토캠핑장. 해남군은 땅끝권역의 관광 활성화와 땅끝의 지리적 이미지를 활용한 체류형 관광지를 조성하기 위해 2008년 땅끝오토캠핑장을 개장하였다. 구역 면적은 8,000㎡이며, 오토캠핑장 면적 3,300㎡, 야영장 면적 4,700㎡이다. 캐러밴 18대, 오토캠핑장[캠핑카사이트 4면, 데크 21면, 흙바닥 25면], 야영장...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매년 땅끝 관광객들을 위하여 개최하는 축제. 해남군에서 땅끝 해남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땅끝작은음악회는 한국생활음악협회 해남지부가 주관하며 총 10회로 운영된다. 회차별로 다른 주제와 내용으로 구성하는 한편 관광객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행사를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땅끝 해남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에 있는 조각 공원. 땅끝조각공원은 2001년 땅끝마을 일대를 문화 관광단지로 조성하면서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2003년 건립되었다. 땅끝조각공원은 2003년 3만 9,000㎡의 부지에 조성된 테마형 조각 공원으로 남해안 다도해의 수려한 경관과 조각작품을 동시에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인근 땅끝마을과...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한국국악협회 해남지부 주관으로 열리는 전국 규모의 국악 경연 대회. 땅끝해남 전국국악경연대회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문화 예술인 국악의 계승 및 발전을 도모하고, 국악인의 자질 향상과 신진 국악인을 발굴 육성하기 위하여 매년 8월 중에 해남군에서 개최되는 전국 규모의 국악 경연 대회이다. 땅끝해남 전국국악경연대회는 1990년 제1...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발행하는 관보. 『땅끝해남소식』은 해남 지역 14개 읍면 주민들의 공동체의식 함양과 더불어 편익 증진 및 삶의 질 향상, 해남의 관광자원 홍보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해남군에서 창간하였다. 『땅끝해남소식』은 매월 1일에 발행되는 관보로, 처음에는 타블로이드판형이었으나 현재는 책자 형태이다. 지면은 정해져 있지...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에 있는 식료품 제조업 단지. 농공단지(農工團地)는 ‘농어촌 지역 공업 개발 촉진 지구’의 약칭으로 지역 소득을 높이기 위해 일정 규모의 공업 지역을 조성하고 입주 업체에 대해 금융, 세제, 기술 지원을 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개발에 관한 법률 및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농공...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땅끝에서 매년 12월 31일과 새해 1월 1일 개최되는 해넘이해맞이 축제 해남 땅끝은 일몰과 일출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장소이다. 다도해의 비경과 어우러진 땅끝마을의 상징적 의미가 더해 매년 수십만 명의 인파가 찾는 일출 명소이다. 매년 12월 31일과 새해 1월 1일, 땅끝마을 맴섬 일원과 갈두산 사자봉 땅끝전망대 일원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해양 자연사 박물관.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은 패류와 산호류, 어류, 포유류, 갑각류 및 화석과, 그 외 척삭동물, 극피동물, 연체동물, 해면동물, 완족동물, 절지동물 등 수많은 해양생물을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이다. 특히 해양 생태계의 신비를 직접 체험할 수 있으며 아이들에게 관찰력과 상상력 및 바다 생태계의 경이로움과 진기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테마공원. 송호리 땅끝마을은 1986년 관광지로 지정되었지만 숙박 및 체험 시설 등이 부족하였다. 해남군은 해남 땅끝 일대를 대표하는 상징성과 기능성을 갖춘 관광 거점 지구를 만들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 동안 종합 관광지 조성 사업을 실시하여 2011년 땅끝황토나라테마촌을 개장하였다. 구역 면적은 8만...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여름 삼복 더위에 몸보신을 위해 마늘을 넣고 삶은 백숙. 해남 지역에서는 여름철 삼복 더위를 이기기 위해 닭과 마늘을 이용하여 백숙을 만들어 먹었다. 마늘백숙는 ‘마늘을 넣은 닭’이라는 뜻으로 과거에 불리던 이름이다. 현재는 해남 지역에서 주로 백숙 혹은 삼계탕으로 부르고 있다. 여름철 더위에 닭을 삶아 먹는 풍속은 조선시대에도 있었다....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고려시대 특수지역의 하나인 마봉소(馬峰所)가 있던 지역이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영암군에 속한 지역으로, 옛 영암군 남 60리[약 23.56㎞]에 마봉소가 있다.”라고 적혀 있다. 그 후 조선시대에는 영암군 송지종면 지역이었으며, 마장(馬場) 밑에 마을이 있다 하여 마봉(馬峰)이라 하였다. 마봉은 말[馬]과 관계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마봉마을에서 해마다 섣달그믐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마봉마을에서는 해마다 섣달그믐이 되면 마을 사장길에 있는 당목(堂木) 앞에서 당할머니를 모시고 제관과 무당이 함께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마봉리 마봉 당제를 지낸다. 마봉리 마봉 당제는 그 연원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마산리(馬山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천(馬川)과 월산(月山)의 첫 자와 끝 자를 취하여 지었다. 마천 마을은 마을 지형이 말의 형국이고, 마을 앞으로 하천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마천(馬川)이라 불렀다고 한다. 월산마을은 마을 앞산 지령산(地靈山)의 맥이 동북쪽을 가리고 있어 등산(登山)이라고 하였는데, 앞...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포면(馬浦面)과 산일면(山一面)의 첫 글자를 따서 마산면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포면(馬浦面)과 산일면(山一面)의 일부를 합쳐서 마산면이 되었다. 이후 마산면은 1972년 7월 1일 복평리가 해남읍에 편입되었으며, 1983년 1월 15일 월암리가 계곡면에 편입되었다. 1992년 10월 13...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화내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기초 기본 능력을 다져 창의력을 발휘하는 어린이[創],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體],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여 개성을 추구하는 어린이[藝], 예절 바른 생활습관 배양으로 공동체의 발전에 앞장서는 어린이[德], 우리 문화의 이해를 바탕으로 진취적인 기상을 가진 어린이[技]이다. 192...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 옥천면 영신리와 마산면 장촌리, 송석리, 맹진리에 걸쳐 있는 산 만대산(萬代山)은 해남읍의 진산인 금강산과 이어지는 산인데, 봉우리가 서로 떨어져 두 군데에 걸쳐 있다. 『대동지지』[1865]에 처음으로 나온다. 『호남읍지』[1872]에 따르면 “현의 북쪽 13리[약 5.11㎞]에 있다. 금강산에서 꿈틀거려서 나와서 북으로 굴러...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는 법정리. 뒷산 매봉산이 말이 엎드린 형국이고, 지금은 논이 된 바다가 연못과 같다 하여 지당(池塘)이라 불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마을 인근 숲이 좋다 하여 만수리(萬樹里)로 개칭하였다. 본래 강진군 백도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금당리, 항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북평면 만수리로 개설되었다. 1...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첩첩산중에 있는 마을로 세상과 접촉이 별로 없고 아름다운 곳이라 하여 미세(美世)라 불렸는데, 상노봉 뒤에 만안사(萬安寺)라는 절이 세워지면서 만안(萬安)이란 이름으로 바뀌어 지명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흥리[일명 웃미세]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자연마을로는 만안마을이 있다. 만...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매월리(梅月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매개(梅介)와 월내(月內)의 첫 자를 취하여 지은 이름이다. 매개(梅介)마을은 마을 뒷산에 있는 매화나무에서 매화가 떨어진다고 하여 매화 매(梅)와 시내 계(溪)를 써서 매계(梅溪)라 하였다가 매개(梅介)로 바꿨다. 월내(月內)마을은 달처럼 생긴 마을 뒷산이 마을을 품고 있어...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에 있는 다리. 맹진교는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에 세워진 2차선 다리로서 지방도 제819호선의 노선상에 위치하여 있다. 조선 후기 맹진교(孟津橋)는 남리역과 별진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조수 등으로 인하여 맹진교가 붕괴되면 수시로 보수하였고, 징검다리를 놓아 썰물 때 건너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맹진은 으뜸나루로 남리역과...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맹진리(孟津里)는 처음에 ‘큰 나루가 있는 마을’이었기 때문에 ‘맏나루’라고 불렀는데, 한자로 표기하여 맹진이 되었다. 또한 ‘맏나루’가 ‘마나루’로 되어 마포(馬浦)라고 불렀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포면의 맹진리, 대월리·평촌리·송석리·북창리의 각 일부를 병합...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맹진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화합과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맹진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이 되면 마을의 정자나무에 금줄을 치고 불을 밝혀 가정마다 축원을 빌며 음식을 마련하여 정성껏 맹진리 맹진 당제를 지낸다. 맹진리 맹진 당제는 그 연원에 대해서는 밝혀진...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백호리에 있는 수령이 150년 된 멀구슬나무 1그루. 멀구슬나무는 한반도 남부에서 주로 식재 하였으며, 중국, 대만, 인도, 네팔, 말레이시아와 호주 북부, 솔로몬 제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 15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암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가지가 굵고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호생하며 기수우상복엽으로서 길이는 80...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명량대첩과 관련해 전해 오는 이야기. 「명량대첩 민초」는 1597년 해남 주민들과 어선 4,000여 척이 명량대첩(鳴梁大捷)에 참여하여 조선 수군과 함께 왜군을 물리쳤다는 이야기이다. 「명량대첩 민초」는 2016년 12월 3일 북평면 영전리 남성경로당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문찬운[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펴낸 『설화로...
-
임진왜란 명량대첩을 기념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해남군과 진도군이 울돌목 일원에서 개최하는 축제. 명량대첩(鳴梁大捷)은 1597년 9월 16일 이순신 장군이 조선 수군 함대 13척을 거느리고 울돌목에서 일본 수군 함대 133척에 맞서 그중 31척을 격파하는 승리를 거둔 싸움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은 1997년 명량대첩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명량대첩 400주년 기념행사를 울돌목 일원...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에 있는 명량대첩의 랜드마크와 교육·체험을 제공하는 전시관. 2014년 영화 「명량」이 12일 만에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해남 우수영 울돌목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2016년 사적 제535호로 지정된 해남 전라우수영,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최우수상을 받은 우수영문화마을 등 문화자원과 연계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명량대첩의...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이순신 장군의 호국정신과 명량대첩을 알리기 위해 우수영 일원에서 개최하고 있는 상설 공연 및 체험 프로그램. 해남군은 전라우수영과 울돌목 명량대첩지가 있는 곳이다. 해남군은 우수영 일원을 찾은 관광객들이 공연과 체험 행사를 통하여 이순신 장군과 민초들의 호국정신도 배우고, 우리 역사도 배우는 알찬 시간이 되도록 준비하고 있다. 울...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와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사이에 있는 해협. 해남 우수영의 명량(鳴梁)은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왜군의 선단과 싸워 승전한 명량대첩(鳴梁大捷)의 격전지이다. 명량해협(鳴梁海峽)은 조선시대에 해남의 우수영(右水營)과 진도의 녹진(鹿津)이 연결되었고, 해남의 삼지원(三枝院)은 진도의 벽파진(碧波津)을...
-
전라남도 해남 지역 주민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생활문화 장터. 해남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생활문화 장터인 모실장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교류하며 물품을 사고판다. 내 가족을 위하듯 이웃을 위하고 싶은 건강하고 안전한 장터이면서, 서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목표 아래 만들어졌다. 모실장은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사라져가는...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무고리(武古里)는 본래 우수영 병사들의 활 쏘는 연습을 했던 연병장이었던 곳에 들어선 마을이라 하여 무고(武古)라 불렀으며, 무고율(舞鼓律)이라고도 칭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외암리, 난대리, 증도리, 충평리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무고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무고마을, 외암마을, 공영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무고리 궁항마을에서 매년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문내면 무고리 궁항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하루가 되면 마을 뒷산 중턱에 있는 당고랑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무고리 궁항 당제를 모셨다. 섣달그믐에 시작하여 정월 초하루 새벽 한두 시 사이에 제사를 지냈는데, 제관이 손빔[비손]으로 기원하고 나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대보름날 무와 노적을 먹는 풍속. 해남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이 되면 무와 함께 김밥을 온 가족이 나누어 먹는다. 이때 김밥은 수북히 쌓인 곡식 더미를 일컫는 ‘노적가리’를 모방한 것으로, 명칭도 ‘노적’이라 칭한다. 이러한 무와 노적먹기 풍습은 건강과 풍농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는 것이다. 해남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에...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행해지는 무용. 해남의 무용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집단무인 강강술래를 비롯하여 전통 무용 위주의 공연문화를 가지고 있다. 해남 지역에서 무용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무용가들은 주로 전통무용을 하고 있으며, 전문 무용가가 많지 않다. 근래 들어 해남 출신의 젊은 무용가가 한국 창작무용, 발레 등에서 활발히 활동을 하고 있다. 해남의 대표적인...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구전이나 행위로 전승되어 온 문화유산. 구전이나 행위로 전승되어 온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무형유산들은 땅과 바다를 배경으로 삶을 이어 온 해남 지역 사람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특히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인 강강술래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인 우수영부녀농요, 해남 진양주, 판소리고법 등은 해남의 문화와 해남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자산이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대보름에 말려서 보관하던 재료로 만들어서 먹던 나물. 정월대보름의 절식으로 오곡밥과 함께 빠질 수 없는 음식이 나물이다. 정월대보름에는 나물을 많이 먹는다고 하여 ‘나물 명절’이라고도 불렀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나물을 만들 재료를 구하기가 어려웠다. 시금치, 배추, 무, 숙주 등은 생나물로 만들 수 있지만 다른 나물들은 말려 둔 것을...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묵동리에 좆대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묵동리 좆대바위」는 남성의 성기와 닮은 바위를 세우지 않으면 여자들이 바람나서 마을이 망하게 된다고 하여 해남군 북평면 묵동리에 ‘좆대바위’를 세우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묵동리 좆대바위」는 2016년 8월 8일 해남군 북평면 서홍리 776-1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나준...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황일면(黃一面)과 황이면(黃二面)이 1897년 합쳐져서 문내면(門內面)이 되었다. 문내면에는 조선시대 초부터 전라우수영이 자리하고 있었는데, 전라우수영 영문(營門)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호구총수』(1789)에 의하면 문내면(門內面)은 조선시대의 황일면(黃一面)과 황이면(黃二面)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1897년 황일...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언어와 문자를 매체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창작 활동.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문학의 범주는 해남 출신 문인이 창작한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외지 문인이 해남으로 이주하여 살면서 창작한 문학 작품이나 여행을 와서 해남의 자연환경을 노래한 문학 작품을 모두 포함한다. 해남 지역의 문학에 대해 시기별로 크게 고전문학과 근대문학·현대...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문학을 비롯하여 음악·미술·연극·무용 등의 문화 예술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일제 강점기와 8·15해방. 6·25전쟁 등의 격동 속에서 민족 자존심 회복과 전통문화 재건이라는 문화 의식이 피어나기 시작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서부터 전국 각지에서 복지관·문예관·공보원·문화원 등 다양한 명칭으로 자생적인 문화 시설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해남...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사립유치원. 미래클유치원은 교육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말과 글을 바르게 사용하는 어린이, 좋은 습관을 기르며 남을 생각하는 어린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어린이, 자연을 사랑하고 탐구하는 어린이며, 원훈은 꿈, 지혜, 감사, 사랑이 있는 어린이다. 2001년 2월 5일 유치원 설립 인가[4학...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공간 및 시각의 미를 표현하여 이루어지는 미적 표현. 조선 후기 서화가인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로부터 시작된 해남의 미술은 일제강점기 서양화의 유입으로 전통 양식과 외래 양식의 갈등을 겪으면서 서양의 근대적 양식을 수용하였다. 1970년대 이후 지역의 화단이 활성화되었으며 1990년 이후에는 해남미술협회[한국미술협회 해남지...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사단법인 한국연극협회 해남지부가 운영하는 공식 극단. 미암극단은 1952년에 해남 지역의 예술인들이 중심이 되어 창단한 극예술 단체로, 창단 이래로 해남 지역 연극인을 꾸준히 발굴하여 왔다. 극단의 이름인 미암(眉岩)은 조선 전기의 석학 유희춘의 호에서 딴 것이다. 미암극단은 해남만이 가지고 있는 문학적 특수성을 발현해 내고 그...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학 단체. 미암문학회는 2009년 3월 초대 회장 임상영, 부회장 강양원, 사무국장 이순자 등이 주축이 되어 창립하였다. 주된 활동 목표는 해남 지역에 대한 긍지를 느끼며 지역문화 창달에 매진하는 한편, 지역문화 활동의 초석을 다지는 것이다. 미암문학회는 2010년 11월 1일에 동인지 『미암문학』을 창간하고 이후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 해남군 은소면에 속한 독야전(禿也田)으로 나와 있다. 미야마을 경주정씨 집안 호구단자에도 은소면 독야지(禿也只)로 나타나 ‘독야’로 불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862년 마을의 풍속이 아름답다 하여 민둥산을 뜻하는 독(禿) 자 대신 아름다울 미(美) 자를 써 미야(美也)라 한 데서 명칭...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에서 미황사 소 무덤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미황사 소 무덤」은 인도에서 온 황소가 죽은 자리에 소를 묻고 그 위에 절을 지었다는 미황사(美黃寺) 창건에 대한 이야기이다. 「미황사 소 무덤」은 2016년 6월 19일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박맹심[여]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펴낸 『설...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에서 미황사 창건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미황사 창건설화」는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에 있는 미황사 창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해남군의 사자포구(獅子浦口)에 인도에서 온 배가 들어왔는데, 배 안에 검은 돌과 금함이 있었다. 검은 돌과 금함을 땅에 내려놓자, 금함에서는 불상과 경전이 나오고, 검은 돌에서는 검은...
-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민간에서 전승되어 온 신앙.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민간신앙으로는 전승 공간·주체·성격에 따라 마을공동체 신앙, 가정신앙, 무속신앙 등이 있고, 이 밖에도 개인의 신앙적 필요에 따른 주술과 점복 등이 있다. 마을 단위의 신앙은 산신과 당할머니를 마을신으로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고, 마을에 따라 짐대[솟대]·벅수[장승]·미륵 등을 의례의 대상으...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민간인들에게 전해오는 전통지식으로 오랜 경험을 통해서 축적된 생태론적 치료법. 민간의료는 현대 의학이 들어오기 전부터 민간에서 활용된 전통 지식이다.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체험하거나 들어서 알게 된 의료지식이다. 민간의료에는 자연물이나 식품을 이용한 약물요법, 물리적인 접촉을 이용한 비약물요법, 주술적인 방법을 이용한 주술요법 등이 있다. 2014...
-
전라남도 해남군 출신의 역사학자. 민두기(閔斗基)[1932~2000]는 1932년 11월 2일 해남읍 백야리에서 태어났다. 1939년 해남읍 해리에 있는 심상소학교를 졸업한 후 1945년 광주서중학교에 입학하여 1951년 졸업하였다. 1955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염철론(鹽鐵論)』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3년 『청대신...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민간의 생활양식과 문화. 민속은 오랜 기간 민간에서 전승되어 온 생활양식과 문화로, 민간 계층의 주민들이 자연, 사회 등의 환경에 대응하여 살아가는 공동체적인 삶의 방식을 일컫는다. 민간에서 전승되어 온 기층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고, 오랜 기간에 걸쳐 반복하여 지속되어 왔다는 점에서 전통문화와 관련이 깊으며, 일정한 집단과 공간 내에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민간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하여 전승되는 놀이. 민속놀이는 민간에서 전승되는 놀이를 뜻한다. 놀이는 인간의 모든 신체적·정신적 활동 가운데 생존과 관련된 활동을 제외한 것으로, 보통은 일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쓰이지만 전통사회에서는 노동과 의례와 놀이가 복합적인 양상을 띠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전승되는 민속놀이는 놀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민중들이 삶을 영위하며 불러서 전하여 내려온 노래. 민요(民謠)는 예부터 일반 민중 사이에 불러 오던 전통적인 노래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민요는 민중들의 사상·생활·감정 등을 담고 있으며, 작사자와 작곡자가 따로 없고 민중들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하여 오는 노래이다. 따라서 민중의 생활을 노래한 단순한 노래의 차원을 넘어 노동과 불가분의 관계를...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바르게 살기 운동 해남군 지역 협의회. 바르게살기운동 해남군협의회는 1989년 「바르게살기운동 조직 육성법」에 따라 설립된 국민 운동 단체이다. 진실, 질서, 화합을 3대 이념으로 선진 한국의 밝은 미래를 건설하기 위하여 모든 국민이 함께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바르게 살기 운동을 전개하여 민주적이고 문화적 국민 의식을 함양하...
-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연극인. 박승남(朴承南)[1938~2009]은 1938년 음력 6월 29일 해남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1953년부터 미암극단에서 활동했으며, 해남 출신 가수인 오기택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60~1970년대에는 김봉호 연출의 「비가」·「왜 싸워」·「마의태자」, 김연태 연출의 「로미오와 줄리엣」·「햄릿」 등의 연극에 배우로 출연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전체가 반석(磻石) 위에 자리하고 있고, 마을 앞으로는 계곡천이 흐르고 있어서 반계(磻溪)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청계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악리와 대운리, 방춘리의 각 일부와 비곡면의 성진리 일부와 마포면의 대월리 일부가 병합되어 해남군 계곡면 반계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반계마을, 대운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는 법정리.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중산리(中山里)라 기록되어 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방축(方丑)과 중산(中山)의 이름을 따서 방산리(方山里)라 하였다. 방산(方山)은 마을 뒷산인 봉태산(烽台山)을 널리 알린다는 뜻에서 붙은 지명이다. 본래 강진군 백도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방...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유희요로 전해 내려와 부르는 노래. 「방아타령」은 “방아로구나”라는 가사 때문에 노래 제목이 붙었지만 실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노래는 아니다. 「방아타령」은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15~516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다만 1972년 전국민속경연대회 때의...
-
바다에서 밀려드는 조수의 해를 막기 위하여 전라남도 해남군에 설치된 제방. 해남 지역의 간척 면적은 250㎢이며, 대부분의 큰 간척은 영산강 종합 개발 계획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영산강 3-1지구인 영암방조제, 영산강 3-2 지구인 금호방조제가 대표적이다. 그 외 해남 지역 방조제로 고천암방조제, 관동방조제. 금호방조제, 영암방조제 등이 있다. 방조제는 밀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에 방죽이 있어 방죽몰이라고 불렸으며, 마을 형국이 와우형, 즉 소 형국을 닮았다 하여 방축(方丑)이라고도 불린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화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명리, 석전리, 갑길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방축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마명마을, 중앙마을, 석전마을, 방축마...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흑석산 아래의 봉우리가 금(金) 자 형이고, 봉우리 남쪽 마을 뒷산에 동백꽃이 화창하여 방춘(芳春)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혹은 옛날 이곳의 터가 방죽이었다 하여 방죽안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청계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반계리, 대운리, 중수리, 용계리, 마고리의 각 일부를...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에서 당산나무 할머니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배큰애기 할머니와 당산나무」는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의 입향조(入鄕祖)인 ‘배큰애기 할머니’가 마을의 당신(堂神)으로 좌정하게 된 이야기이다. 「배큰애기 할머니와 당산나무」는 2016년 8월 14일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영전리[북평면 서호길 47]에서 채록하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 백련재 문학의 집은 땅끝순례문학관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문인의 창작활동과 신인 작가 발굴을 통해 지역 문학 향유의 폭을 넓히기 위한 문학창작공간과 다양한 세미나를 진행할 수 있는 다목적실, 소규모 합평회가 가능한 토론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문학의 고장인 해남의 문학적 성과를 계승하고 문학으로 꽃피는 지역을...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속하는 법정리. 백야마을은 백토가 많이 나서 ‘희재’, ‘희야재’ 또는 ‘백야치’, ‘백치’, ‘백야’라 하였다. 한편, 백토가 나고 마을의 형국이 ‘야(也)’ 자의 모습이어서 백야(白也)라는 지명이 생겼다고도 한다. 이는 해남읍과 삼산면에 걸치는 지역을 포함하는 신라 사라향(紗羅鄕)의 사라(紗羅)와 같은 어형(語形)을 보이는 지명으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행하는 풍속. 백중은 음력 7월 15일로, 전통적인 보름 명절 중의 하나이다. 백중날이 되면 일반적으로 불가(佛家)에서는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열어 공양하는 풍속이 있고, 민간에서는 조상의 혼을 위로하고자 술과 햇과일을 정성껏 차려 놓고 천신(薦新)[철 따라 새로 난 과실 등을 조상의 신위에 올리는 일]을 하기도 한다...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 백포리(白浦里)는 백방산 밑에 있는 포구라 하여 백포 또는 백방포라 불렸다. 일설로는 백포마을을 바라보면 하얗게 보여 백포리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간척되기 이전 포구 연안에 굴과 꼬막 껍데기가 패총처럼 쌓여 있어 하얗게 보였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모리와 장등리를 병합하여 백포리라 하고 해남군 현산...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백호(白虎)라는 이름은, 마을이 풍수상으로 원경산[뽀쭉산]의 오른쪽[백호]에 자리잡고 있기에 붙여졌다고 한다. 본래 망골, 양지물동, 새터를 합하여 백호동, 백오동이라 칭했는데, 망골은 백호의 큰마을로 고려시대에는 옥산현과 이웃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옥천면소재지였다. 영암군 옥천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백호리에 있는 수령 200년의 버드나무. 한반도 각지 습한 지역에서 자라며 특히 냇가에서 흔히 자란다. 만주와 일본에 분포한다. 높이 20m, 지름 80㎝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검은 갈색이고, 가지는 황록색이며 원줄기에서 잘 떨어진다. 줄기의 나무껍질은 암갈색이고 얕게 터지며 일년생 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황록색이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옛날에 큰 절이 있어 근래까지도 법실(法실)[법이 있는 골짜기]로 불렸다가, 실을 나타내는 한자 곡(谷)을 써서 법곡(法谷)이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비곡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법곡리, 장산리, 용호리, 월신리가 병합하여 해남군 계곡면 법곡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법곡마을, 장산마을,...
-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승려이자 수필가. 법정(法頂)[1932~2010]은 1932년 2월 15일 해남군 문내면 선두리에서 아버지 박근배(朴根培)와 어머니 김인엽(金仁葉)의 아들로 태어났다. 1955년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무소유』를 비롯한 수십 권의 수필집을 출간하였다. 속명은 박재철이다. 법정(法頂)은 우수영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목포상업중...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장춘리와 청룡리 경계에 있는 고개. 고개가 어찌나 가파랐던지 병아리가 찔끔찔끔 울고 넘었다고 하여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삥아리 잔등’이라고도 부른다. 일성산 자락에 줄기에 위치한 고개이다. 고개 높이는 40m이다. 병아리재는 화원면 장춘리 사람들이 목포를 가거나 화원5일시장을 가기 위하여 넘어 다녔던 고개다. 지금은 완...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와 강진군 도암면 지석리를 잇는 고개. 병치재(兵峙재)는 해발 100m의 고개로서, 해남과 강진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옥천면 성산리에서 병치재를 넘으면 바로 강진군 도암면이 나온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해남 옥천 성산뜰에서 의병과 왜군 사이에 전투가 일어났던 곳이다. 의병들과 중무장한 일본군과의 전투는 숱한 사상자...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구시리와 현산면 원진리·충리·송정리에 걸쳐 있는 산. 병풍산(屛風山)[310m]은 현산천의 지류인 문소천(聞簫川)의 발원지이다. 병풍산 자락 문소천과 수정동에서 발원한 물은 구시저수지에 유입된 후 현산천으로 유입된다. 산의 모양이 마치 병풍처럼 생겼다고 한 데서 병풍산 이름이 유래되었다. 병풍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에 있는 병풍산 바위굴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병풍산 바위굴」은 해남군 삼산면 만안리에 있는 병풍산(屛風山)[313m] 바위굴의 모양이 입을 벌리고 있는 호랑이와 닮아 맞은편에 위치한 옹암마을에 좋지 않은 일이 자꾸 생긴다는 이야기이다. 「병풍산 바위굴」은 2017년 1월 8일 해남군 삼산면 원진리 749-58에...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행하는 공공 및 민간 의료기관의 활동. 해남군의 공공 의료기관 및 민간 의료기관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남군의 의료 자원 중 의료기관은 2018년 현재 69개소이다. 구체적으로 종합병원 2개소, 병원 4개소, 의원 36개소, 한의원 10개소, 치과의원 17개소이다. 또...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예정리에 있는 농원. 비옥한 토양과 온화한 기후로 매실 생산의 최적지이기에 보해매실농원이 조성되었다. 1979년 보해양조는 해남군 산이면 예정리에 보해매실농원을 조성하였다. 구역 면적은 약 46만 2809㎡[14만 평] 규모이며, 1만 4000여 그루의 매실수가 심어져 있다. 보해매실농원은 매년 3월에서 4월까지 매실꽃이 만개할 무렵에만...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일대에서 정월 열나흗날 밤에 부잣집 마당의 흙을 몰래 훔치는 풍속. 해남군 삼산면 일대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가난한 집 사람들이 부짓집에 몰래 들어가서 그 집 흙을 훔쳐 오는 풍습이 있다. 이를 ‘복토훔치기’라고 하는데, 복토훔치기는 부짓집 흙을 파서 옮김으로써 부잣집의 운수를 가져온다고 믿는 것이기에 부짓집에서는 운수를 뺏기지 않...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복평마을은 해남천의 하류에 위치하여 일찍이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이에 여러 곳에 보(洑)를 설치하여 ‘봇들’이라 불렸다. 후에 이를 한자화하면서 보평(洑枰)이라 하였으며,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후에 보평이 복평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본래 해남군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길호리를 병합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봉학리(鳳壑里)는 마을 뒷산이 매가 나는 지형이라 하여 ‘비매’, ‘비산’이라 부르다가 일제강점기에 ‘봉학(鳳壑)’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봉학리는 본래 진도군 삼촌면에 속하였다가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수복리, 옹암리, 송정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부곡(富谷)이란 명칭은 마을의 형국과 관련이 있다. 간척공사 전, 마을 앞까지 바닷물이 드는 형세를 동남쪽 언덕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연꽃처럼 보인다는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이었다고 한다. 여기에서 부수(浮水), 부실, 부옥촌, 부뜰이라 불렀는데, 후에 부곡이라 개칭되었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부자...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부곡과 갑길의 이름을 따서 부길리(富吉里)라 하였다. 해남군 화일면 지역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부곡리, 칠암리, 갑길리, 봉황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부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부길마을, 갑길마을, 은산마을, 경도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부동리(富洞里)는 부자가 될 마을이라고 하여 ‘부동(富洞)’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이면의 부동리, 상동리, 흑두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산이면 부동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부동마을, 흑두마을, 신흥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부동마을은 1726년경 금녕김씨 김대중(金大重)이 최초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부호마을은 물 위에 뜬 연꽃이 소생한다 하여 연화부수(蓮花浮水), 곧 ‘부수도’라 불렸고, 부수도가 변형되어 부호도가 되었다. 1949년 해남군 해남면 내사리에서 부호도가 분리되면서 해남군 해남면 부호리로 개설되었다. 1955년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하여 해남군 해남읍 부호리로 개편되었다. 현재 부호마을 1개의 자연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미륵암과 관련해 전해 오는 이야기. 「북암과 남암」은 천상에서 죄를 지은 남매가 지상으로 쫓겨나 북미륵암과 남미륵암을 지었다는 이야기이다. 「북암과 남암」은 2016년 8월 3일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341-3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고영현[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편찬한 『설화로 꽃피는 땅끝해남』상권에 수록되어...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본래 영암군 북평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에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강진군 백도면의 일부 지역과 북평종면과 합하여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으로 편입되었으며, 1983년 북평면에서 분면되어 해남군 북일면이 개설되었다. 북쪽으로 두륜산, 서쪽으로 쇠노재가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평야 지대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바른 품성을 갖추어 실천하는 어린이[문화인], 새로운 생각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어린이[창의인], 소질을 살려 큰 꿈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자주인],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실천하는 어린이[세계인]이다. 1922년 11월 11일 북평보통사립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50년 6월 1일 북평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북평시면(北平始面)·북평종면(北平終面)을 합하여 북평면(北平面)이라 명명하였다. 『호구총수(戶口總數)』에 따르면 영암군의 월경지인 북평시면·북평종면·강진군 백도면(白道面)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는데, 1906년(광무 10) 영암군과 강진군에서 떨어져 나와 해남군에 편제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풍어와 풍년을 기원하는 용줄다리기 전통을 재현하는 축제. 해남군 북평면 남창마을 일원에서는 정월대보름 무렵에 풍년·풍어를 기원하고 대형 용줄을 이용해 줄다리기를 하는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남해안에 가까운 북평면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과거 왜구의 침입이 잦았기에 용줄다리기를 통해 주민들의 단합을 도모할 필요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북평중학교의 교육목표는 바른 인성과 풍부한 감성을 지닌 창의 인재 육성에 있다. 첫째는 즐겁게 배우고 생각하는 사람[창의인], 둘째는 스스로 삶을 가꾸며 남을 존중하는 사람[자율인], 셋째는 풍부한 감수성으로 공감하고 함께하는 사람[감성인], 넷째는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꿈이 아름다운 사람[건강인]을 육성하는...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바른 인성과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착한 어린이[인성 역량], 남다른 생각으로 탐구하는 창의로운 어린이[지적 역량], 튼튼한 몸과 건전한 마음으로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한 어린이[사회적 역량],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 가꾸는 멋진 어린이[재능 역량] 등이다. 1947년 11월 10일 북평중앙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석가모니를 교조로 하는 종교. 해남의 불교문화는 그 지리학적 특성상 창건 설화에 해로가 많이 등장한다. 또한 해남의 각 사찰은 바다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거의 모든 사찰이 서남해안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해남의 불교는 현재 전해지는 불교문화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는데 해남의 불교문화는 조선시대에 그 자취가 뚜렷해진다. 임진왜란...
-
전라남도 해남군의 대흥사, 미황사, 미륵사 등에 봉안된 부처·보살·성현들의 그림.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불화는 대흥사에 53점, 미황사에 6점, 도장사에 2점, 미륵사 1점 등 총 62점의 불화가 전한다. 이를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여래도는 14점이고, 보살도는 11점, 신중 관련 불화는 21점, 나한·조사 계열은 16점이 남아 있다. 괘불은 미황사와 대흥...
-
전라남도 해남군의 해남윤씨 어초은 종가에 전해 내려오는 비자 열매를 이용한 대표적인 접빈 음식. 해남윤씨 어초은(漁樵隱) 종가는 고산 윤선도(尹善道)[1587~1671]와 공재 윤두서(尹斗緖)[1668~1715] 등을 배출한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종가이다.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어초은 종가의 종택은 녹우당(綠雨堂)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녹우당 뒤편의 비자...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수성리에 있는 비자나무 보호수. 비자나무는 한반도 남부와 제주도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일본에도 분포하고 있다. 상록 침엽 교목이고, 수형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높이 25m, 흉고 직경 지름 2m까지 자란다. 비자나무는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줄기가 사방으로 퍼지고, 늙은 나무의 껍질은 얕게 갈라져 떨어진다. 잎은 길이 25㎜, 폭 3㎜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사구마을에 있는 어촌체험마을. 사구어촌체험마을(沙口漁村體驗마을)은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사구마을에 있다. 사구마을은 사구미마을이라고도 한다. 모래가 많고 모래언덕이 길게 펼쳐져 있어 모래미마을이라 하였는데, 모래미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사구미가 되었다는 설과 모래 속에 규석이 섞여 있어 사금(砂金)이라 하다가 사구미가 되었다는 설,...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사랑을 소재로 전해 오는 유희요. 「사랑타령」은 사랑하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노래이다. 해남군에서 전해 오는 「사랑타령」은 4음보 율격으로 되어 있고, 유희요로 널리 불리고 있다. 「사랑타령」은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7~528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 제보자 등에 관한 내용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서 땅끝마을 사자포구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사자포구」는 해남군 송지면 땅끝마을의 사자포구(獅子浦口)에 부처가 타고 온 돌배가 3일 동안 머물렀다는 이야기이다. 「사자포구」는 2016년 5월 12일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땅끝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김유복[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펴낸 『설화로 꽃피는 땅...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임진왜란 때는 보성, 곡성, 장성을 방어하기 위해 식량을 관리하던 곳이라 하여 사창(社倉)이라 불렀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선비들이 쉬어가는 곳이라 하여 사정(士亭)이라 하였다가, 그 후 선비는 마음이 바르고 올바른 자세로 하나같이 나라의 기둥이 되자는 의미로 사정(士丁)으로 불렀다고 한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지역 주민의 공공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단체. 사회단체는 시민사회단체, 비영리단체, 자원봉사 단체 등으로 이해되지만, 광의적 의미에서는 지역사회 주민의 공공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단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해남군의 사회단체는 의식 개혁 및 군민 운동·사회봉사·환경운동·여성·청소년 관련 단체와 NGO 및 군민...
-
전라남도 해남군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보장 정책과 복지사업. 사회 구성원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조직적인 사회복지 활동은 민간과 공공영역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민간 영역에서의 사회복지 활동이 정부의 재정 지원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남의 사회복지는 정부의 사회보장 개념을 통해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우리나라의 「사회보장...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분포하는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해남군의 산들은 지리산 노고단에서 출발하여 서남부의 해남반도로 뻗어있는 소백산맥의 서부 지역에 속하며, 영암의 월출산을 돌아 해남반도에 이어져 북쪽의 여러 산들이 만들어져 한반도 남단 땅끝에 이른다. 해남 지역의 산지는 전체적으로 1,000m 이하 낮은 지형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고서저형의...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산막리(山幕里)는 조선 단종 때 강원도 원주의 이영화(李英華)[1430~1517]가 세조를 피하여 산막을 짓고 은거한 것에서 유래한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막리와 유목리, 그리고 지동리 일부를 합쳐서 해남군 마산면 산막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산막마을 하나의 자연마을로...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서식하는 텃새이자 해남군의 군조. 비둘기과의 새로, 머리와 목과 몸의 아랫면은 회갈색이다. 진한 회색을 띠는 날개깃 가장자리는 적갈색이며, 날개를 접으면 얼룩무늬로 보인다. 첫째 날개깃과 꼬리는 검은색이며, 꼬리 끝에는 흰 띠가 있다. 목 옆에는 회색과 검은색 줄무늬로 된 반점이 있다. 부리는 어두운 잿빛이며, 눈과 다리는 붉은색이다. 몸길이는...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한자리 산소마을에 있는 어촌체험마을. 산소(山所)마을을 중심으로 어촌체험마을이 운영되고 있어 마을 이름을 따 산소어촌체험마을이라 불렀다. 산소마을은 갯가에 있는 마을이라 갯몰이라 불렸으며, 저산, 어덕멀이라고도 불렸다. 1789년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내산소리(乃山所里)로 기록되어 있으나, 지금은 내(乃) 자가 빠지고 산소리...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놀이를 할 때 주로 부르던 유희요. 「산아지타령」은 해남군에서 사람들이 모여서 놀 때 주로 부르던 유희요이다. “산아지로구나”라는 가사가 있기 때문에 「산아지타령」이라 이름이 부른 것으로 보인다. 「산아지타령」은 남도민속학회 하계 현지 조사 중 1996년 7월 17일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있는 박공심의 가게에서 조사자 김인숙,...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농·어촌 지역 주민 소득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산업단지. 산업단지란 산업시설과 이와 관련된 교육·연구·업무·지원·정보처리·유통 시설 및 이들 시설의 기능 향상을 위하여 주거·문화·환경·공원녹지·의료·관광·체육·복지 시설 등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포괄적 계획에 따라 지정·개발되는 일단(一團)의 토지를 말한다[「산업입지 및 개...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송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땅끝노회 소속 교회.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인 산이면에 복음 전파와 복지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산이동부교회(山二東部敎會)는 1961년 11월 28일 산이동초등학교 교장 사택에서 임원호 전도사의 집례로 첫 예배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1987년 11월 3일 초대 장로로 강춘석, 이임동 2인을 임직하...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산이면은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65]를 비롯한 여러 지리지와 『광여도』[19세기 전반], 『해동지도』[1750]를 비롯한 옛 지도에 ‘산이(山二)’라고 수록된 지역으로,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지명이 바뀌지 않고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일한 해남의 면이다. 고지도에서 산이면 지역의 산은 전혀 찾아볼 수 없고, 예부터...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상공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기초 체력 단련으로 튼튼한 몸을 가꾸는 어린이, 기초·기본 학력을 갖추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특기·소질 계발을 통하여 개성을 키우는 어린이, 기기·정보 활용 능력을 익혀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어린이, 기본 생활 규범을 실천하며 함께 살아가는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다. 1944년 4월 15일 산이서공립학교로...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초송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목포제일노회 소속 교회. 신앙과 신학을 달리하던 몇몇 성도들이 초송교회에서 분립하여 산이제일교회(山二第一敎會)를 설립하였다. 산이제일교회는 1970년 5월 24일 신자의 집에서부터 예배를 하기 시작하였다. 초창기 대부분 같은 마을에 있는 초송교회에서 함께 신앙생활을 하였던 사람들과 청년들이 중심이 되...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초송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산이중학교의 교육목표는 행복을 꿈꾸고 역량을 키우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있다. 구체적인 교육목표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는 친구를 배려하고 이웃에 봉사하는 성실한 사람[자주인]이다. 둘째는 자아의 실현을 위해 심신을 연마하는 건강한 사람[건강인]이다. 셋째는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기초·기본 학력을 갖춘 사람...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초송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남과 나를 존중하고 진심으로 행동하는 어린이[바른이], 앎과 배움을 즐기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어린이[알참이], 자기만의 특기를 가꾸고 온 마음으로 참여하는 어린이[큰꿈이]이다. 1927년 8월 21일 산이보통소학교 설립인가를 받았고, 1927년 10월 5일 산이보통소학교로 개교하였다. 1945년 9월 20일...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에 있는 전통시장. 산정5일시장은 2일과 7일에 정기적으로 열리며, 지역민들의 소소한 상품을 취급하는 공설시장이다. 중앙시장이나 산정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산정5일시장은 1967년도에 형성되었다. 당시 송지면의 사람들이 현산면으로 편입된 월송5일시장으로 장을 보러 다녔는데 송지와 월송 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자연발생적으...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1789년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도 산정(山亭)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름의 변화가 없이 전하여 왔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암군 송지종면에 속하여 있던 산정리와 은소면의 상석리, 석수리, 미학리와 미야리의 각 일부을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산정1리마을, 산정2리마을, 엄남마을, 미학...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에서 음력 정월 14일에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 산정1리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14일에 승려를 제관으로 초청하여 당산에서 산정리 산정1리 도제를 지낸다. 도제는 마을신으로 배큰애기[배씨 할머니], 천추만, 고대일을 모시는데, 이 중에서 배큰애기는 수령 500년 정도의 은행나무인 사...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산호리(山湖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산수리(山水里)의 첫 자와 석호리(石湖里)의 가운데 글자를 취하여 지었다. 산수(山水)마을은 마을 가운데로 냇물이 흐르고, 마을 주위를 산이 감싸고 있는 형국으로 예로부터 산과 물이 좋아 ‘산수(山水)’라고 불렀다. 석호(石湖)마을은 마을 주변에 돌이 많아 ‘돌곶지...
-
전라남도 해남군이 인구절벽에 따른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과 계획. 해남은 인구절벽과 지방 소멸이라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출산과 보육, 청소년, 일자리, 농어업 경쟁력 강화, 노인, 의료복지, 귀농 귀촌 지원, 평생교육 등 주민의 삶 전반에 걸쳐 다양한 정책을 집행하고 있거나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과 계획의 검토를 통해서 살기 좋은...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숫자가 새겨진 엽전으로 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살랭이놀이는 상평통보(常平通寶) 같은 옛날 동전 뒤에 새겨진 숫자로 서로 잡고 잡히는 민속놀이이다. 살랭이놀이는 음영식(吟詠式)의 「살랭이노래」를 통해 놀이가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1부터 10까지 동전의 숫자가 암시하는 노래를 부르면서 놀이를 진행하는데, 노랫말에 한자어가 많이 들어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송곳니가 더 발달했다. 턱 근육이 발달하여 먹이나 물건을 물어 뜯는 힘이 강하다. 몸 길이는 45~55㎝ 정도로 고양이와 비슷한 크기이며, 꼬리는 둥글고 길이는 몸길이의 약 1/2 또는 그보다 짧다. 귓바퀴는 둥글고 뒷부분 상단에 흰 반점이 있다. 털 색깔은 황토색이 섞인 황색부터 탁한 황...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삼마리(三馬里)는 상마도, 중마도, 하마도의 3마도의 뜻을 따서 삼마리라 하였다. 상마도(上馬島)는 말 형국인 상마도·중마도·하마도 세 섬 중 가장 위쪽에 있어 웃마도리, 상마리도, 상마리 등으로 불리었다. 제주도에서 말을 싣고 오다가 풍랑이 심하면 상마도에서 머물렀다 하여 마유도(馬留島)로도 불렸다. 하마도는 삼마도 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여름 중 가장 더운 초복, 중복, 말복에 행하는 풍속.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있는 절기로, 흔히 ‘복날’이라고 부른다. 하지가 지난 뒤 세 번째 경일(庚日)을 초복, 네 번째 경일을 중복이라 부른다. 말복은 입추(立秋)가 지난 뒤 첫 번째 경일이다.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들기 때문에 초복에서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린다. 이처...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진도군 삼촌면(三寸面) 앞 글자와 해남군 녹산면(祿山面) 가운데 글자를 따서 삼산면(三山面)이라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해남]과 『청구도』「해남현」고지도에 따르면, 본래 삼산면은 해남군 녹산면과 진도군 삼촌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즉 조선시대에 삼촌면 지역은 1437~190...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용동리에 위치한 첨봉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가는 하천. 삼산천(三山川)은 해남군 옥천면 용동리에 있는 첨봉[354m]에서 발원하여 구림천과 화내천, 대흥사천과 각각 합류하여 고천암호에 유입한 후 서해로 흘러가는 지방하천이다. 동경 126° 36′ 6″~126°41′ 19″, 북위 34° 27′ 10″~34° 32′ 46″사이에 위치하고...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충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다양한 경험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인성 역량], 자기 학습력을 갖추어 슬기롭게 탐구하는 어린이[지적 역량], 좋은 습관을 갖춘 몸과 마음이 아름다운 어린이[재능 역량], 더불어 살아가는 의식으로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신체적 역량]이다. 1946년 10월 14일 삼산국민학교가 개교하였다. 1948년 8...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 삼성마을에 솔개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삼성마을 솔개바위」는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의 자연마을인 삼성마을 산 중턱에 있는 솔개바위를 없애야 한다는 승려의 말대로 바위를 받치고 있는 두 돌을 냇가로 굴려 버린 후 마을이 망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삼성마을 솔개바위」는 2016년 7월 3일 해남군 북일면 흥촌...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땅끝노회 소속 교회. 1950년 장성교회로 개설되었으며, 1969년 이웃한 상등교회, 복평교회와 함께 세 교회가 하나되어 삼일교회(三一敎會)로 이름을 바꾸었다. 삼일교회는 예배, 교육, 선교, 봉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0년 3월 해남군 마산면 장성리에서 마을 이름을 빌어 장성교회로 창립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삼재의 액운을 막아 내고자 행하는 주술적 행위. 삼재는 사람마다 9년 주기로 맞게 되는 액운으로, 태어난 해에 따라 드는 해가 다르다. 삼재는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등을 비롯한 병난(兵難), 역질(疫疾), 기근(饑饉) 등 인간에게 닥치는 각종 재난을 일컫는다. 3년에 걸쳐 액운을 맞기 때문에 이를 막고자 불공을 올리고 부적을 붙...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뒷산 지형이 소 멍에 모양이라 하여 가치(駕峙)라고 부르다가 마을이 가재 위쪽에 있다 하여 웃가재, 한자로는 상가(上駕)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해남군 녹산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사점리, 계동리, 신촌리, 중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삼산면 상가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상가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공리(相公里)는 입향조인 동복오씨가 고향을 기억하고자 양지(良池)라 부르다가 상공산 밑에 있어서 상공(相公)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이면의 당후리(堂後里), 상공리(相公里), 양지리(良池里), 그리고 원항리(元項里) 일부를 합쳐서 해남군 산이면 상공리로 개설되었다. 상공리는 당후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화원면, 황산면 앞바다에 서식하는 우리나라 토종 돌고래로 고래과에 속하는 포유류. 몸 색깔은 주로 회백색이며, 죽은 사체는 흑색으로 변한다. 대부분 해상에서는 회백색으로 보인다. 몸길이는 1.5~1.9m이며, 최대 2m 정도이다. 상괭이는 겉모습에서 주둥이가 앞으로 튀어나오지 않아 돌고래와 다르다. 등지느러미가 없고, 높이 1㎝가량의 용골과 같은...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상등리(上燈里)는 처음에 통세골로 부르다가 대나무와 매화가 많은 곳이라 하여 대매[竹梅]로 개칭되었으나, 이후 민씨들이 마을 위쪽 상봉 등성이에 터를 잡고 거주하면서 상등으로 불렀다. 본래 해남군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에 따라 신촌리, 상등리, 호교리, 용전리 일부와 마포면 신흥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낼 때 수반되는 의례. 상례는 사람이 죽음에 이르는 순간부터 시신을 처리하여 매장해 묘지를 조성하는 일에 따르는 의례를 비롯하여 가족들과 지인들이 고인의 죽음을 슬퍼하고 애도하여 일정 기간 행하는 의례이다. 관례, 혼례 등과 마찬가지로 상례도 간소화되고 서구식으로 변화된 부분이 많지만 비교적 전통적인 민속을 따르고 있...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에 속하는 섬. 삼마리(三馬里)의 삼마도 중에서 가장 위쪽에 있어서 상마도(上馬島)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삼마도는 섬들의 모양이 말의 형태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872년 지방지도』「해남」도엽에 상마로도(上馬路島), 중마로도(中馬路島), 하마로도(下馬路島)의 섬 세 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옛 이름은 마루섬,...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상엿소리」는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노래이다. 상여는 망자(亡者)를 묘지까지 운구하기 위한 도구이다. 보통은 10여 명 내외의 청장년 남자들이 상여를 메고 장지(葬地)까지 가는데, 여러 사람이 발걸음을 맞추어야 운반이 용이하다. 「상엿소리」는 여러 명의 상여꾼들이...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자연마을 중심으로 조직된 소규모 신용협동기구. 5·16군사정변 후에 정부의 주도로 시작된 재건국민운동은 1964년에 조직이 민간기구로 전환되면서 향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새마을금고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다가 1971년부터 새마을운동이 전개되었고 이에 따라 새마을금고는 새마을운동의 금융 기구 노릇을 담당하게 되었다. 1972년 법인 설립에...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생활 환경 개선과 소득 증대를 위해 1970년대부터 전개된 지역 사회 개발 운동.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운동이다. 근면·자조·협동의 기본 정신과 실천을 범국민적·범국가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가 발전을 촉진시키려는 목적으로 진행된 운동이다. 농촌개발을 사업 목표로 하고 출발한 새마을운동은 기본사업목표가 농촌지역에서 어느 정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마을의 큰일을 앞두고 여성을 마주치지 않으려고 행하는 주술적 습속. 해남 지역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단체로 참여하는 공연이나 대회를 앞두고 여성들이 마을을 돌아다니며 일하지 못하도록 마을 우물에 돌을 엎어 놓았다. 이 돌을 샘독이라고 하며 이 풍습을 샘독엎기라 한다. 샘독엎기는 큰일을 앞두고 부정을 방지하고자 행하던 습속으로, 여성의 주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우물물이 마를 때 행하는 주술적 풍속. 샘물대기는 풍속의 연원을 알 수는 없으나 전국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진 풍속의 하나다. 과거에는 마을에 공동 우물이 있었고, 개인 가정집에도 우물이 있는 경우가 있었다. 우물마다 수량(水量)이 달라, 수량이 적은 우물은 정월대보름 무렵에 수량이 풍부한 우물에서 물을 길어와 부으며 수원(水源)이 이어지기...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도구. 생활 도구는 사람들이 생활하는 데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을 말한다. 생활 도구에는 옷을 짓고 수선하는 데에 쓰이는 침선구 등의 의류 도구와 음식을 해 먹는 데에 사용되는 식기류, 집을 보수하거나 짓는 데에 사용되는 건축 도구 등 의식주와 관련된 도구들이 있다. 농사일을 할 때 사용했던 다양한 농기구, 사냥과 고기잡이에...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공통된 특징을 보이는 생활 문화가 지리적으로 분포하는 범위. 해남군은 한반도의 서남단에 위치한다. 해남군의 면적은 서울특별시 면적의 1.8배에 달하는 크기이다. 해남군은 해남반도, 화원반도, 산이반도로 해남 지역 구성이 3분된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다양한 생활권이 형성되었다. 해남군은 한반도의 최남단 서남...
-
전라남도 해남군의 생활체육 동호인 및 전국의 생활체육 동호인들이 참여하는 대회. 해남군에서 자체적으로 개최하는 땅끝 생활체육대회만도 2019년 현재 17개가 있다. 2018년 처음 개최한 제1회 땅끝공룡기어울림장애인생활체육을 비롯하여 제24회 땅끝배태권도품새·겨루기 대회, 제23회 땅끝배게이트볼대회, 제22회 땅끝배전남·광주생활체육테니스대회 등은 20년 이상...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황죽리와 강진군 강진읍 서산리에 걸쳐 있는 산. 『해남군지』[1925]에 “군의 동쪽 30리[약 11.78㎞]에 있다. 강진 경계에 웅거하는데 사찰 유적이 많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남의 가장 동쪽에서 해가 뜨는 곳으로 인식되어 서기산(瑞氣山)이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서기산[515.3m]에는 땅끝기맥이...
-
임진왜란 당시 의승대장으로 활약하였던 서산대사의 호국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에서 행해지는 향례(享禮). 서산대제는 임진왜란 당시 의승대장으로 활약하였던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구국 정신을 선양하고 호국 정신을 기리기 위해 조선시대부터 대흥사와 보현사에서 치러 온 국가 제향이다. 서산대사가 평안북도 영변군에 있는 묘향산...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서상리(西上里)는 우수영 동헌 서쪽 위에 있는 마을이라 서상(西上)이라 불렀으며, 세편, 서북리라 부르기도 하였다. 본래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상리, 서하리와 남상리·서외리·동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서상마을, 서하마을, 서외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 서상마을에서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 서상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에 망해산(望海山) 중앙에 임시 제단을 설치하고 서상리 서상 산신제를 지낸다.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산신제를 지내는 제단 옆에 신사당(神士堂)을 두며 참배를 강요했지만 마을 주민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수령 약 300~400년의 서어나무 2그루. 서어나무는 일본, 중국, 우리나라 강원도와 황해도 이남의 표고 100~1,000m 지대에 자생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산지에서 자라며, 내한성이 강하고, 햇빛이 잘 드는 장소의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에 자생한다. 내음성이 강하여 산중턱 이하의 소나무와 낙엽할엽수림 아래 이차림으로서 온대림 지역에 잘...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 해남군 은소면 원서정마을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산리, 장춘리, 운곡리와 패소리, 등리, 우분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서정마을, 치소마을, 장춘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서정마을에는 1600년경 해남윤씨와 이씨, 박...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치소마을에서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서정리 치소 당제는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치소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당제와 짐대제[솟대제]를 일컫는 말이다. 정월 초이튿날이 되면 오후 다섯 시 무렵 먼저 마을 뒷산에 있는 산신당에서 마을의...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존중과 협력으로 함께 성장하는 학생[공동체인, 의사소통 역량, 인성·사회적 역량],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지는 학생[자주인, 창의인, 자기관리 역량, 지적 역량], 자연과 함께 건강한 몸과 마음을 기르는 학생[교양인, 심미적 역량, 재능·인성적 역량]이다. 1965년 1월 5일 군곡초등학교 서정분교장 설립인가를...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법정리.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쥐 모양을 하고 있다 하여 서포(鼠浦)라고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서쪽에 넓은 들이 있다 하여 서홍(西洪)으로 개칭하였다. 영암군 북평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06년(광무 10)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평등리, 신홍리...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석교리(石橋里)는 마을 앞에 돌다리가 있어 ‘독다리’, ‘독나루’, ‘석교’라 불렀다. 본래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덕리, 일정리, 신창리, 석교리와 사교리·충평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석교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석교마을, 심동마을, 신창마을, 일정마을, 목삼마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신부의 이불을 지고 간 짐꾼이 신랑에게 받는 돈. 해남 지역의 전통 혼례에 따르면 신붓집에서 첫날밤을 보내고 이튿날이 되면 신랑과 신부는 신랑집으로 신행을 떠난다. 신붓집에서는 미리 마련해 둔 혼수품을 가마에 싣고 이바지 음식과 폐백 음식을 동구리[나무 줄기나 가지를 촘촘히 엮어서 아래위 두 짝으로 만든 상자]에 싼다. 이때 이불짐을 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석호리(石湖里)라 붙여졌다. 본래 해남군 화일면 지역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흑석리, 장명리, 대인리, 대지리, 주천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석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흑석(黑石), 좌일(佐日), 대지(大只)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흑석마을은 약 1400년...
-
전라남도 해남군 군민이 공직에 임할 사람을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가 국민의 직접선거 방식으로 치러진 것은 제2대 대통령 선거부터 제7대 대통령 선거까지, 그리고 1987년 6·10민주항쟁 이후에 처음 진행된 제13대 대통령 선거부터 가장 최근의 제19대 대통령 선거까지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나타난 군민의 투표참여와 후보 지지는 다음과 같다....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선두리(先頭里)는 본래 이곳에 배를 대는 머리였다고 하여 배머리, 뱃머리라 부르다가 선두라 칭하였다. 본래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하리, 선두리, 남상리, 남외리, 학동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선두리로 개설되었다.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에 황일면에...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선진은 선산리라 하였고, 배와 연관되어 있어서 배미라고도 하였으며, 한편 국도 제13호선 건너편 마을은 선박 출입 시에 배가 정박하던 곳이라 하여 원진리(院津里)라 하였다. 여기서 선산과 원진을 합하여 선진(船津)이라 하였다고 한다. 한편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과거 마을까지 배가 닿았다 하여 선진(船津)이라 불렀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매년 음력 1월 1일에 행하는 풍속. 전라남도 해남에서 설날은 음력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정월 초하루’ 또는 ‘설’ 등으로 부른다. 설날은 한 해의 출발일이기 때문에, 목욕재계를 하고 집 안 청소를 하는 등 정결하게 보내려고 노력한다. 설날에는 조상에게 차례상을 차리고, 마을 어른들에게 세배를 다니며, 조상의 묘를 참배한다. 이는...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구비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 설화(說話)는 신화(神話), 전설(傳說), 민담(民譚)으로 나눌 수 있다. 진실성보다 신성성이 강조되는 ‘신화’는 국가, 마을, 가문과 관련 있는 사회 신화와 무속, 불교 등과 관련 있는 종교 신화로 구분된다. 구체적 증거물을 바탕으로 전승되는 ‘전설’은 바위, 바다, 굴, 고개, 강산 등에 대한 자연 전설과 마을, 무덤...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성내리(城內里)는 조선시대에 관아가 있었던 곳으로 성문 안의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성내리의 자연마을인 성내마을은 해남읍성(海南邑城)의 성 안쪽에 형성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성내리의 자연마을인 서성마을은 읍성의 서문과 옹성이 위치했던 곳으로, 성(城)의 서쪽 혹은 성내리의 서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서성이라 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부곡리에 있는 광산. 성산광산(聲山鑛山)은 알루미늄의 원료가 되는 명반석, 다이아스포르, 납석 등이 매장되어 있는 광산이다. 성산광산은 내화용 고령토와 명반석을 캐기 위해 설립하였다. 일제강점기인 1926년 일본인이 내화용 고령토와 명반석[알루미늄 원료]을 캐기 위해 세운 광산이다. 1957년 조선내화 회장 이훈동이 성산광산을...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성산리(星山里)는 성산(城山) 아래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해남윤씨의 꿈에 산 위에 별이 떨어져서 성산(星山)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또 옥천면 내 ‘산’ 자를 가진 여덟 개 마을 중에서 으뜸이라 하여 성산(星山)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본래 영암군 옥천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성산리(星山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을 앞에 있는 일성산(日星山)에서 두 글자를 취하여 성산(星山)이라 지었다. 본래 해남군 장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서면의 척북리(尺北里)와 가납리(加納里), 그리고 문내면의 고대리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해남군 화원면 성산리로 개설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성진리(星津里)는 고려 때 해남 삼역(三驛) 중 하나인 별진역(別津驛)이 있었던 곳이다. 성진(星津)은 뱃나루가 별나루로 변하여 한자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별이 성(星)으로 바뀌었다고 전한다. 혹은 성진교 위쪽에 별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 이름을 따서 성진리로 개칭했다는 설도 전한다. 본래 해남군 비곡면에 속하였는데, 19...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성진리 성진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성진리 성진 당제는 해남군 계곡면 성진리 성진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당제이다. 마을의 당(堂)은 상당(上堂)과 하당(下堂)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당에서 모시는 제는 산제(山祭), 하당에서 모시는...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와 서산대사. 해남 대흥사는 두륜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가련봉과 두륜봉을 상봉으로 하는 조계봉, 도솔봉, 혈망봉, 향로봉 등의 두륜산 경치는 장관을 이룬다. 해남 대흥사는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8호로 지정되었으며, 두륜산 대흥사 일원은 2009...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으로 행하는 생활 풍속. 세시 풍속은 음력으로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해서 전하여 오는 주기 전승 의례(週期傳承儀禮)로 대체로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세시 풍속의 기준이 되는 역법(曆法)은 음력이지만, 양력도 포함되어 있다. 태양력인 24절기는 자연의 변화에 농사일을 맞추는 데에 이용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소를 팔러 갈 때 부정을 막고자 하는 미신적 관습 행위.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소를 팔러 갈 때 신발을 새끼줄로 묶어 대문에 걸어 둔다. 이러한 행위는 혹시 모를 부정을 막기 위한 것으로, 금줄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대개 비일상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성(聖)과 속(俗)을 구분하기 위해 왼쪽으로 꼰 왼새끼로 금줄을 치는데,...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와 송지면 통호리에 있는 수령 약 120~300년의 소나무 2그루. 한반도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 주로 해발 1300m 이하에서 자란다. 솔나무·적송·육송이라고도 한다. 해송, 곰솔과 매우 유사한 수형을 가지고 있다. 사철 푸르름을 잃지 않고 ,수형이 아름다워 조경수 등으로 인기가 많은 나무이다. 높이 35m, 지름 1.8m까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소죽리(小竹里) 서쪽 바다에 섬 두 개가 나란히 있는데,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작다. 섬에는 대나무가 서식하고 있어 큰대섬, 작은대섬으로 부른다. 소죽마을은 작은대섬에서 이름을 따와 소죽(小竹)이라 하였다. 소죽마을은 통일신라 말에서 조선 초까지 존재하였던 지방의 특수행정조직인 향·소·부곡 가운데 영암군에 있던 심정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소죽리 소죽마을에서 음력 9월 9일에 마을의 안녕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중구절 또는 중양절은 음력 구월 초아흐렛날로, 이 무렵에 햇곡식이 나기 때문에 과거에는 명절로 인식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추수한 벼로 떡과 메를 지어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 해남군 송지면 소죽리 소죽마을은 송지면에서 유일하게 중구제를 지내고 있는...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송산(松山)은 ‘솔뫼’의 한역으로, 마을이 소나무가 많은 산 아래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영암군 옥천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고리, 남촌리, 화촌리의 각 일부와 학하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로 개설되었다. 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소나무가 많은 산이 있다 하여 송산리(松山里)[화산면]라고 하였다. 본래 해남군 화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치리, 과목리와 봉황리, 주천리, 갑길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송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송산마을, 탄동마을, 시목마을, 주천마을 등의 자연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송석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목포제일노회 소속 교회. 양성운 신자가 마을에 신자들이 생기자 하나님의 사람을 곧고 바르게 세우자는 목적으로 교회를 설립하였다. 1951년 양성운 마산동초등학교 교장이 마산면 원덕리 마을 주민 3명과 함께 마을회관에서 첫 예배를 드린 것이 송석교회(宋石敎會)의 시작이 되었다. 1956년 설립자 양성운...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송석리(宋石里)는 송석정(松石亭)이라는 정자에서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월곡리, 원덕리, 오산리, 송석·평촌 일부와 산일면 신덕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송석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송석마을, 원덕마을, 월곡마을, 월산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송석마...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송정리(松汀里)는 귤정(橘亭) 윤구(尹衢)의 동생 윤홍이 지은 송정이라는 정각에서 송정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고도 하며, 소나무 정자와 맑은 못이 있어서 송정(松汀)이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또한 소나무가 많고 물이 좋아서 송호(松湖)라고도 불렀다. 송정리는 진도군 삼촌면의 치소가 있었던 곳이다. 1914년...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미야리에 있는 공립고등학교. 송지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미래를 일구는 창의·인성형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는 애국인, 실력인, 창조인, 재능인, 건강인의 다섯 가지이다. 교훈은 “성실”이다. 1970년 4월 6일 송지종합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99년 8월 31일 학칙을 보통과 1학급, 정보처리과 1학급, 경영정보과 1학급으로 변경하...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송지면(松旨面)은 통일신라 때 신라 지방제의 특수 행정구역인 향(鄕)·부곡(部曲)으로 있었다. 고려시대 초에는 송양현이라는 이름으로 있다가 다시 특수 행정조직인 소(所)와 부곡으로 영암군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고적(古赤)을 보면, 송지부곡(松旨部曲)이 등장하는데...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미야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교육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참되고 유능한 인간 육성이다. 송지중학교가 지향하는 교육의 기본 방향은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합리적인 사고로 부단히 탐구하는 창의적인 사람[창의인]이다. 둘째는 공동체 속에서 참여하고 소통하는 사람[문화인]이다. 셋째는 친구를 배려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자주인]이다. 넷째는...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서로 돕는 착한 어린이, 배움이 즐거운 똑똑한 어린이, 마음과 몸이 건전하고 튼튼한 어린이, 꿈을 키우는 멋있는 어린이다. 1923년 11월 1일 송지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1일 송지산정심상소학교로 개칭하였고, 1941년 4월 1일 송지산정공립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1970년 8월 5일 송...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송천리(松川里)는 작은 하천이 있었기 때문에 ‘작은내’라고 불렀으며, 작은내가 전화하여 솔내 또는 소래가 되었다. 송천은 ‘솔내’의 한자식 지명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이면의 해당리·송천리·부흥리의 각 일부 지역을 합하여 해남군 산이면 송천리로 개설되었다. 이 중 해당리(海堂里)와 송천리는 1789년에 편...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서 군고굿과 관련해 전해 오는 이야기. 「송호리 군고굿」은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전해 오는 군고굿에 얽힌 이야기이다. 미황사(美黃寺)에서 머슴살이를 하던 박성원이 송호리로 이주하여 살면서 미황사 군고굿을 전하였다는 내용이다. 「송호리 군고굿」은 2016년 6월 6일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960-1에서 채록하였으며, 구...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송호마을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송호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 새벽 인시(寅時)[오전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가 되면 마을 당나무인 소나무 앞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마을 제사로 송호리 송호 도제를 지낸다. 송호리...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송호리 송호마을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안과 재액 방지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송호리 송호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 “짐대 모신다.”라고 하여 짐대[솟대]와 벅수[장승]가 서 있는 짐대거리에서 마을 제사인 송호리 송호 짐대·장승제를 지낸다. 짐대거리에는 오리를 물고 있는 짐대 한 기와 천하대장군·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송호마을은 바닷가에 연해 있는데, 마을 주변에 소나무가 울창하고, 마을 앞 바다는 호수처럼 잔잔하다 하여 송호(松湖)라 하였다. 본래 영암군 송지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리, 신풍리, 송종리, 내동리, 갈두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우수영으로 통하는 첫 관문이 있어 들문이라 부르다가, 소나무와 물이 많아 송호(松湖)라 부르게 되었다. 『여지도서』[1757]에 봉문리(峯門里)라는 지명이 보이는데, 이것을 송호리로 보기도 한다. 또한 과거 문헌에는 산일면 거문리(擧門里)라는 기록이 보이는데, 거문은 들문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 본래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촌계. 송호어촌계는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의 계통 조직으로서, 해남군 송지면에 있다. 송호어촌계는 마을 어장을 생활 근거지로 삼아 마을 공동 어장의 이용과 개발을 통하여 개별 어가와 어촌 마을 주민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하고자 하며 수산업협동조합의 일부 기능을 수행하고...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바른 인성으로 예절 바르게 행동하는 학생, 기초·기본 학력을 다져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갖춘 학생, 꾸준한 소질 계발로 자기 꿈을 가꾸어 가는 학생, 독서·토론으로 창의력을 키워 가는 학생이다. 1954년 4월 9일 송지국민학교 송호분교장으로 개교하였다. 1963년 4월 6일 송호국민학교로 승격하였고, 198...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에서 북평면 동해리로 넘어 가는 고개. 쇠노재(金弩재)는 옛날 숲이 깊고 길이 좁아 도적과 호랑이가 많았다고 한다. 호랑이를 잡기 위하여 쇠로 만든 덫을 놓았다 하여 쇠 금(金) 자와 덫 노(弩) 자를 써서 쇠노재 명칭이 유래되었다. 원래 쇠노재[197m]는 두륜산 봉우리 중 하나인 투구봉 아래를 지나 북일면 삼성마을로 연결되는 곳...
-
전라남도 해남군에 서식하는 족제비과의 포유류. 몸은 수중 생활에 알맞게 발달되어 있다. 몸통은 가늘고 길며, 꼬리는 몸통 길이의 2/3 정도이다. 다리는 짧고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으며, 헤엄치기에 편리하게 발달되어 있다. 짧은 털이 몸 전체에 빽빽하게 나며, 겨울털은 몸 윗면은 암갈색, 몸 아랫면은 흐린 회백색을 띤다. 여름털은 몸 윗면이 적갈색, 몸 아랫면은 흰색...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수산물의 채취와 포획 및 양식으로 생활에 유용하도록 이용하고 개발하는 산업. 해남군은 3면이 바다이며, 해안선이 317.53㎞에 달하고, 71개[무인도 62개]의 도서로 이루어져 있어 일찍이 어업이 발달하였다. 최근에는 김과 전복의 생산량 증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김이 미국, 중국, 동남아로 수출이 크게 늘면서 물김 값이 상승하고, 생...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향교 중심의 마을로서 마을의 이름 또한 향교몰, 신교리로 불렸으나 이후 1914년 수정이라고 하였는데, 해방 이후에 일본식 이름 개칭에 따라 수성이라고 칭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교리와 동외리 일부를 합하여 해남군 해남면 수정(壽町)으로 개설되었다. 1949년 일본식 동명 개칭에 따라 수정에서 수성리로 개칭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일원 전라우수영의 여덟 군데 아름다운 경치. 수영 팔경(水營八景)은 조선시대 전라우수영 지역의 아름다운 팔경을 뜻한다. 해남 우수영에 거주하는 향토 사학자 정춘원(鄭春元)[1949~]이 우수영에 구전되어 내려오는 팔경을 발굴하였다. 전라우수영이 있던 해남 화원반도의 남쪽 해안 지역 주위에는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지로 유명한 명...
-
전라남도 해남군 울돌목과 임하도 연근해에서 어획되는 숭어과의 바닷물고기. 몸은 길며 앞은 원통형이고, 뒷부분은 옆으로 납작하다. 몸 길이는 보통 50~70㎝이며, 최대 120㎝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회청색이며, 등쪽은 암청색, 배쪽은 은백색을 띤다. 머리는 작고 이마는 편평하다. 눈은 크고 기름눈꺼풀이 있다. 가슴지느러미 앞부분에는 눈 크기만 한 푸른색 반점이 있어 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 열나흗날 밤에 시루에 켜 둔 불로 그해의 운수를 점치는 풍속. 해남 지역에서는 정월 열나흗날에 시루불점을 행한다. 시루불점은 신수점의 하나이다. 신수점이란, 그해 자신의 신상에 일어나는 길흉을 점쳐서 흉한 것은 피하고 길한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보통은 정월에 보는데, 특히 정월대보름 무렵에 시루불점을 비롯한 여러 점치기 풍...
-
해남이 낳은 혁명 시인 김남주와 여성주의 시의 선구자 고정희의 문학세계. 광활한 들판, 그 들판에서 생산된 풍족한 쌀은 해남을 살찌웠다. 수려한 풍광은 많은 시인들로 하여금 해남을 노래하고 시대를 노래하게 하였다. 해남이 배출한 시인은 그 수를 다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이다. 멀리 조선시대로 거슬러 가면 최부를 시작으로 윤구, 임억령, 윤복, 유희춘, 백광훈, 윤선도, 윤...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시장. 해남군 내에 현재 존재하는 시장은 9개이다. 해남 유일의 상설시장인 해남매일시장과 각 읍면에 위치한 5일시장이 있다. 5일시장은 해남읍의 해남읍5일시장, 현산면의 월송5일시장, 송지면의 산정5일시장, 북평면의 남창5일시장, 북일면의 좌일5일시장, 황산면의 남리5일시장, 문내면의 우수영5일시장, 화원면의 화원5일시장이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주광리에 속한 섬. 시하도(時下島)에 사는 사람들이 밤이면 섬에 불을 밝혔는데, 시하도 주변을 지나던 사람들이 그 불빛으로 시하도 주변 조수간만의 차이를 보고 시각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하여 배를 섬에 정박하였다가 다시 출발하여 화원반도와 가까운 육지쪽 마을을 주광리(周光里)로 부르고 섬 전체를 시하도(時下島)로...
-
전라남도 해남군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 식물상은 생산자로서 생물 생태계를 구성하는 먹이 연쇄 구조에서 기반을 담당하고 있다. 해남군은 한반도의 땅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륜산 지역과 달마산 지역으로 나눠지는 식물상을 보이고 있다. 두 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을 기술하여 해남군 일원의 대략적 식물 분포상을 파악할 수 있다. 한반도의 식물상은 식물 지리적 구계(植物地理...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먹는 일이나 먹는 음식을 둘러싼 생활과 풍속. 식생활은 지리적·기후적 조건과 같은 생태 환경과 밀접한 관련성을 띠며, 역사를 비롯한 사회 문화적 환경과도 상관성이 있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식생활은 한국인의 일반적인 식생활과 흐름을 같이하면서도, 다른 지역과는 차별화된 해남 지역만의 환경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또한 변화하고 있다.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신계리(新溪里)는 본래 새로운 포구라 하여 신포(新浦), 신개라 불렀는데, 일제강점기에 바다가 간척되면서 신계(新溪)라 하였다. 본래 영암군 옥천시군 지역이었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동리, 용계리, 죽리, 영해리, 신동, 거오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옥천...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신평리의 ‘신(新)’ 자를 취하여 신덕리(新德里)로 이름을 지은 것으로 보인다. 신평마을은 마을이 어려운 시기를 몇 차례 무사히 넘겨왔기에 평탄한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신평(新坪)이라 불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관저면의 신평리(新坪里), 하리(下里) 일부와 장서면의 사동리(巳洞里)를...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남촌마을에서 신선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신선바위와 형제바위」는 남촌마을에 살던 형제가 나무를 하러 산에 갔는데, 신선들이 바둑을 두는 것을 구경하다 집에 돌아와 보니 자식들이 형제의 제사를 지내고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신선바위와 형제바위」는 2016년 12월 13일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남촌마을에서 채록...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신화리(新化理)와 안국리(安局里)의 ‘신’ 자와 ‘안’ 자를 따서 신안리(新安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화리와 안국리, 해리, 고도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해남면 신안리로 개설하였다. 1955년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하여 해남군 해남읍 신안리로 개편되었다. 현재 신안...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지역·직업·종교 등 상호 유대를 가진 개인이나 단체 간의 협동 조직을 기반으로 자금의 조성과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한 비영리 금융기관. 신용협동조합은 서민과 중산층, 영세 상공인 등 사회적 약자를 상대로 하여, 지역·직업·종교 등 상호 유대를 가진 개인이나 단체 간의 협동 조직을 기반으로 금융 활동을 하는 비영리 법인이다. 해남군에는...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는 법정리. 본래 큰 길가에 있다 하여 한길머리, 한질머리라 불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마을이 초승달 같이 생겼고, 만월마을 동북쪽에 있다고 하여 신월리(新月里)라 하였다. 본래 영암군 북평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촌리, 만흥리 일부와 강진군 백도면...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어 활동하는 신흥 종교. 전라남도 해남군의 신종교는 원불교, 천도교, 증산도, 여호와의 증인, 통일교 등이 있다. 해남 원불교는 1975년부터 포교를 시작하여 1977년 5월 12일 해남읍 성동리 600 노대원 집을 일부 개조하여 법당을 마련하고 해남교당 첫 법회를 열었다. 해남 천도교는 1912년 처음 포교하여 해남읍...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영암군 옥천시면의 한 지역으로 연안정이라 하였는데, 팔산리의 죽촌(竹村) 어귀에 새로 들어선 마을이라서 신죽(新竹)이라 부르게 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영암군 옥천시면 지역이었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가곡리, 한천리, 신흥리, 거오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큰 들가에 새로 만들어진 마을이라 하여 새들이라 하였고, 이를 한자로 바꿔 신평리(新坪里)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해남군 비곡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월리, 해정리, 소은리, 황죽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계곡면 신평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신평마을 1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신평마을은 1600...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정신요양시설. 신혜힐링타운은 독립적인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를 보호하고 돌보는 생활시설이다. 신혜힐링타운은 가족의 보호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나 만성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 복귀를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1986년 8월 1일 사회복지법인 해남희망원의 산하 시설로, 정원 430명의 신혜정신요양원으...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는 당현(堂峴), 땅고개라고 불렸다가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신흥(新興)이라 하였다. 신흥리는 본래 진도군 삼촌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에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감당리와 상금리, 향리와 녹산면의 해남리와 성산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삼산면 신흥...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대보름에 실에 불을 붙여 신수점을 보는 풍속. 일반적으로 신수점(身數占)은 자신의 신상에 일어나는 길흉을 예견하여 흉한 것은 피하고 길한 것을 받아들이는 행위를 말한다. 해남 지역에서는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 저녁에 실[絲]에 불을 붙여 잘 타는지를 살펴서 신수점을 보는 풍속이 있다. 이를 ‘실점’이라 한다. 해남 지역에서 정월 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쑥의 연한 싹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탕과 경단. 쑥은 예로부터 약재로 쓰였고 친숙한 먹거리이기도 하였다. 쑥을 이용한 음식으로 쑥버무리, 쑥국, 쑥인절미, 쑥송편, 쑥절편, 쑥전, 쑥탕, 쑥단자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쑥탕과 쑥단자는 만드는 방법이 다소 복잡하고 다양한 재료가 들어가 격이 높은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쑥탕은 조선시대 조리서 『규곤...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아들을 달래거나 함께 놀아 줄 때 부르던 노래. 「아들 어르는 노래」는 해남군에서 칭얼대거나 보채는 아이를 어르거나 놀이를 행할 때 불러 주던 노래이다. “둥둥둥 내 아들아”를 반복함으로써 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래임을 표현하고 있다. 「아들 어르는 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6쪽에 수록되어...
-
1993년 7월 26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마산리 운거산에 추락한 사건 1993년 7월 26일, 오후 2시 20분 탑승객 110명, 승무원 6명을 태운 아시아나항공 소속 보잉 737기가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목포공항에 도착 예정이었다. 여객기는 오후 3시 24분 첫 번째 착륙 시도 실패에 이어 세 번째 착륙 시도를 하였지만 해남군 화원면 마산리 운거산(雲...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아이의 생일 때 병과 액이 없기를 기원하며 행하는 주술적 행위. 해남 지역에서는 어린 아이의 생일에 백살경(百殺經)을 외우면 잔병치레를 막을 수 있고 백 가지 액신(厄神)의 침범 또한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할아버지나 아버지가 아이의 백일이나 돌 등의 생일 때 백살경을 외어 병과 액이 범접하지 못하도록 기원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학동마을에서 마산면 장촌리로 넘어가는 고개. 조선시대 마산면 장촌리에는 해남을 좌지우지하는 토호세력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해남에 부임해온 현감들은 토호세력의 눈 밖에 나지 않기 위하여 매일 아침 아침재를 넘어 문안인사를 다녔다고 한다. 현감들이 아침마다 문안 인사를 가기 위하여 넘어 다녔다고 하는 데서 아침재 이름이 유래되었다. 조치(朝峙...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지명총람』에 의하면 수렁이 많으므로 수실, 또는 화곡이라 하며, 또는 안동부사 윤복이 살았으므로 안동태 또는 안동이라고 하였는데, 이 중 『지명총람』에서 말하는 안동부사는 해남윤씨 윤효정의 넷째 아들 행당 윤복을 말한다. 본래 해남군 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남군 해남면 안동리로 개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안호리(安湖里)라 하였다. 안호리에는 안정(安丁), 중정(中丁), 송계(松界) 마을이 있는데, 안정마을은 마을 형태가 정(丁) 자 모양이라 하여 안정(安丁)이라 하였다. 중정마을은 사구미, 또는 색금이라 불렸는데, 사구미나 색금은 삭금부사터가 있어 생긴 지명이다. 지금의 안호리 548번지가 색금현원이 살...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서 일성산의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애기바위와 엄마바위」는 가난한 엄마가 아이를 데리고 친정에 가다가 일성산(日城山)[335m] 비탈길에 잠시 섰는데, 너무 배가 고파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돌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애기바위와 엄마바위」는 2016년 12월 11일 해남군 화원면 장춘리 이목마을에서 채록하였으...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선두리, 서상리, 동외리 일대의 호국혼이 담긴 우수영마을 이야기. 우수영의 지명은 조선시대에 설치된 수군진 ‘전라우수영’에서 유래하고, 문내면(門內面)의 지명은 전라우수영의 외성(外城)으로 원문(轅門)의 안쪽에 위치한 데서 유래한다. 우수영은 한반도의 서남단 모서리, 즉 남해와 서해가 만나는 지점, 화원반도의 중앙에 있다. 화원반도의 남...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어란리(於蘭里)는 지형이 바다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것이 마치 난(蘭)처럼 생겼다 하여 어란(於蘭)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수군만호진(水軍萬戶鎭)이 있어 어란진이라고도 부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외장리, 동현리, 내장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로 개설되었다. 1921년 완도군 군외면의 어불도를...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 어란마을에서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풍어와 평안, 질병 방지 등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 어란마을은 매년 정월 초하룻날 밤에 마을의 풍어와 평안, 질병 방지, 가축의 무병 등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로 어란리 어란 도제를 지낸다. 마을 회의를 통해 선출된 제주(祭主) 두 명이 초하룻날 아침에 미리 당집에 올라...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에 있는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촌계. 어란어촌계는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의 계통 조직으로,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에 있다. 어란어촌계는 마을 어장을 생활 근거지로 삼아 마을 공동 어장의 이용과 개발을 통하여 개별 어가와 어촌 마을 주민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하고 하며 수산업협동조합의 일부 기능을 수행...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고운 인성으로 타인을 배려하는 어린이, 남과 어울려 함께 살아가는 어린이, 기초·기본학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어린이, 특기·적성을 찾아 진로를 개척하는 어린이이다. 1932년 10월 2일 어란진심상소학교 인가를 받았다. 1945년 9월 30일 어란진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1963년 9월 20일 어...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에 속하는 섬. 어불도(於佛島)는 섬의 모양이 부처와 비슷하다고 해서 ‘어불도(於佛島)’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18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영남호남연해형편도(嶺南湖南沿海形便圖)』에는 ‘어불도(棜佛島)’로 표기되어 있다. 다른 기록을 보면 『1872년 지방지도』 「영암」에는 물고기 어(魚)를 사용하여 ‘어불도(魚佛島)’로 표기되어...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에 있었던 다리. 어성교 지명은 대둔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어성천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어성교는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해남읍에서 화산면과 현산면을 왕래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해동지도(海東地圖)』 등을 보면 어성교가 그려져 있다. 당시의 어성교는 어성천의 하류에 석교로 건설되었으며, 현재 삼산면 원진리와 옹암마을 사...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의 계통 조직으로 설립된 어업인 조직. 어촌계는 1962년 「수산업협동조합법」이 제정되어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어업조합이 수산업협동조합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자연마을별로 구성되었다. 수산업협동조합은 흔히 줄여서 수협으로 불리며, 지구별·업종별 수협과 수산물 가공 수협으로 구분된다. 전체 92개 수협 가운데 70개가 지구별 수협이고...
-
전라남도 해남군의 출판 및 언론 매체를 총칭. 해남군에는 2019년 현재 유가지 세 개와 한 개의 인터넷 신문이 있고 해남군청에서 발행하는 홍보지가 있다. 방송은 해남방송이 있다. 해남군은 다른 군에 비해 일찍부터 지역 신문이 발행되었다. 1990년에 군민의 동참으로 『해남신문』이 주간지로 창간되었다. 『해남신문』은 편집권 독립뿐만 아니라 수입원인...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칭하는 말.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쓰는 언어는 서남 방언 중에서 전라남도 방언에 속한다. 전라남도 방언은 크게 동부 방언권과 서부 방언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서부와 동부 지역은 다시 남북으로 하위 구획된다. 이러한 하위 구획을 기준으로 본다면 해남 지역에서 쓰이는 언어는 무안, 신안, 진도, 완도, 영암,...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행하여지는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에너지 기술 산업. 해남군은 에너지 절약 운동과 더불어 소외계층을 위해 에너지 바우처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확대에도 적극적인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해남군의 2016년 현재 에너지 소비량은 8만 9306㎘로, 휘발유 1만 4630㎘, 등유 1만 5714㎘, 경유 5만 8962㎘이...
-
1963년 1월 18일 전라남도 목포 허사도 앞바다에서 해남-목포 간 여객선이 침몰한 사건. 도로교통 시설이 충분하지 않던 1960년대에는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전라남도 목포시를 오가는 사람은 주로 정기 여객선을 이용하였다. 해남군 황산면 연호리와 목포 간 항로를 오가는 여객선 연호(燕號)는 해남 지역의 황산면·산이면·해남읍 지역 주민들이 겪는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운항되고 있...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주로 여름철에 밀가루 반죽을 썰어 육수에 끓여 먹은 음식. 여름 밀가루죽은 해남 지역에서 밀가루를 이용해 만들어 주로 여름철에 별미로 먹던 음식이다. 보통 밀가루 칼국수라고 부르는 음식을 해남 지역에서는 밀가루죽이라고 불러 왔다. 밀가루 반죽을 채 썰어 끓는 육수에 넣고 각종 야채를 넣어 맛을 낸 뒤 먹는 것으로 국수와는 차이가 있다. 과거에는 쌀...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여수리(麗水里)는 본래 마을 형태가 새가 남향으로 앉은 모양이라 하여 새냄(鳥南) 또는 조남이라 불렸다. 방춘저수지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물이 아름답다 하여 빛날 려(麗)를 써서 여수리(麗水里)로 불리다가 일제강점기 때 여수리(呂水里)로 바뀌어 불렸다. 2007년 군청에 마을 이름 개명을 요구하여 다시 여수리(麗水里)가 되...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앞산 형태가 연꽃이 물에 떠 있는 것 같다 하여 연골이라 부르다가 한자 연곡(蓮谷)으로 바뀐 데서 연곡리(蓮谷里)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화이면 지역에 속하였다가,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정리, 용덕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연곡리로 개설되었다. 연곡마을과 봉저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연구리(燕邱里)는 마을 뒷산 형국이 제비가 집을 짓고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어서 ‘연구(燕邱)’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연구리, 당두리, 덕인리, 추당리, 지동리의 각 일부 지역을 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연구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연구마을, 지동마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배우가 무대에서 연기를 보이는 종합예술.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연극은 1952년 미암극단이 창단되면서 본격화되었고 1991년 한국연극협회 해남지부가 결성되어 안정된 여건 속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해남 연극의 역사는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해남 출신인 이기홍, 손귀만 등이 연극계에서 활동한 것으로 전해진...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에 연못이 있어 연못골이라 불렀고, 임진왜란 이후부터 마을 앞 저수지에 연꽃이 자생하여 연꽃 연(蓮)과 연못 당(塘)을 합해 연당(蓮塘)이라 불렀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황원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연당리, 덕암리, 백동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황산면 연당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연당마을과 덕암마을 등의...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연당리 연당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평안과 액운을 방지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연당리 연당마을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날 ‘도지 잡순다.’라고 하여 마을 내에 건립된 도제각에서 총각귀신을 모시고 연당리 연당 도제를 지낸다. 마을 사람들을 해치고 마을에 화를 끼치던 총각귀신을 달래려고 제사를 모시게 된 것으로 전한고, 제사...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지명총람(地名總覽)』에 의하면 연못이 있어 연못골 또는 연동이라고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송리와 연동의 이름을 따서 남연리라 하였다가, 1949년에 연동리로 고쳤다. 한편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지금의 연동리 지역에 현일면의 조막동·백련동·죽음리가 있고 1896년(고종 33) 『해남읍지』에는 조...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대흥사의 주관으로 석가탄생일을 축하하고 불교문화를 선양하기 위하여 매년 5월 열리는 축제. 해남군에서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의 주관으로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광명의 정신과 불교문화를 선양하기 위해 매년 5월 연등문화축제가 열리고 있다. 연등문화축제에 쓰인 연등은 세상의 어두운 부분이 부처의 지혜처럼 밝아지고 따뜻한 마음이 불빛...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연화(蓮花)와 석정(石井)의 이름을 따서 연정리(蓮井里)라고 하였다. 연정마을은 모래가 많고 내[川]가 흐른다 하여 마새내, 사천리라 부르다가 마을 앞에 연못이 있다 하여 연화동(蓮花洞)이라고 불렀다. 이후 행정구역 개편 때 연정이라 개칭하였다. 석정마을은 마을에 지석묘와 정자나무가 많아 석정(石丁)이라 하다가 행정구역 개편 때 석...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연호(燕湖)의 연원으로 여흥민씨 민이달이 마을에 입향한 후에 연기(燕妓)라는 기생과, 남경사신으로 간 선비의 이야기를 듣고, 그 이름에서 연(燕)을, 마을이 바다에 가깝다고 하여 호(湖)를 따와 연호라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하는데, 연호 지명은 1789년의 『호구총수(戶口總數)』 이전부터 있었다. 또 고문헌 여러 곳에 연호호수, 연기...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에 있는 식품제조 영농조합법인. 다양한 해남의 친환경 농특산물 등으로 천연재료들을 활용하여 김치류와 음료, 쌀 등 건강식품을 제조·생산하고 있는 영농조합법인이다. 생태계를 보존하는 친환경적 생산으로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에 공헌하며, 농촌지역의 생산과 소득을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제품의 생산으로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제공...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영암군 옥천시면의 지역으로 영신원(永信院)이라 부르다가, 영신으로 바뀌었다. 마을 이름에 원(院) 자가 붙은 것은 많은 사람들이 묵고 갔기 때문이다. 여기서 영신리(永信里)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영암군 옥천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안리를...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도에서 영암군 삼호읍까지를 잇는 방조제. 영암방조제는 영산강 유역 농업 종합 개발 제3단계 공사의 일환으로, 대규모 농경지와 수자원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1996년 11월 7일에 건립되었다. 영산강유역 농업종합개발은 1978년 박정희 대통령이 구상한 ‘서남해안 간척 농지 개발 사업안’에 뿌리를 두고 있다. 영산강 1단계 사업은 영산강...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영전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해남성당 소속의 공소. 이장용은 대구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고, 고향 마을에 돌아와 동네 주민들에게 자신이 지닌 천주교의 진리와 종교적 활동을 목적으로 1966년 5월 영전공소를 설립하였다. 이장용이 대구에서 세례를 받고 1961년 귀향하면서 천주교 포교 활동을 하였다. 1966년 5월 영전공소가...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법정리, 오래전 마을에 살았던 덕망가가 외롭고 괴로운 일을 당한 사람들을 도와주어서 마을 사람들이 그 덕망을 사모하여 마을 이름을 전옹(田翁)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러다가 1913년 영숙이라는 사람이 자기 호의 영(永) 자와 밭이 많다고 하여 전(田) 자를 더하여 영전(永田)이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 영암군 북평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예전에는 만석동이라 불렀으나, 솔매등 또는 영춘(永春)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영암군 옥천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호산리, 송운리, 만석리, 학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옥천면 영춘리로 개설하였다. 현재 영춘1구마을, 영춘2구마을, 송운...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영호리로 법정명이 지어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동면의 장재리, 저상리, 고하리, 별암리와 관저면의 구지리·상리 일부를 통합하여 해남군 화원면 영호리로 개설되었다. 이 중 저상리는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 나오는 장목면의 저동(苧洞)과 같다. 현재 구지마을, 장재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우수영성당 소속의 공소. 농어촌 마을에 천주교 복음을 전파하고자 1904년 예락공소(曳洛公所)가 설립되었다. 예락마을에 거주하는 김명범[베드로], 김보현[요셉], 박내국[요한] 세 사람이 목포 산정동에 있는 본당 성당에 다니면서 세례를 받은 뒤 1904년 예락공소를 열었다. 처음에는 목포 경동성당 관할로...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예락리(曳洛里)는 마을의 형국이 그물질하는 모습이라 하여 예락(曳洛)이라 하였다. 본래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예송리, 서외리, 동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예락마을, 동리마을, 양정마을, 임하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예동(禮洞)마을의 옛 이름인 예정에서 명칭을 취하였다. 예동마을은 깊이 들어간 갯가로 지푼개, 유효, 유정, 예정이라 부르다가, 예동으로 바꾸었다. 본래 산이면 지역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남군 산이면 예정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예동마을, 동월(東月)마을, 중촌(中村)마을 등의...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예정리 예동마을에서 매년 음력 1월 1일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산이면 예정리 예동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 밤이 되면 마을 뒷산인 옥수봉에 올라 마을의 안녕과 제액초복(除厄招福)[액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함]을 기원하며 예정리 예동 당제를 지낸다. 먼저 하당(下堂)인 옥령당의 당할머니에게 마을의...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오기택의 가요 정신을 살리기 위해 매년 10월 해남예술제 기념행사의 하나로 열리는 전국 가요제. 오기택전국가요제는 해남군 북일면 출신 가수 오기택의 가요 정신을 살리기 위해 2007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다. 해마다 수준 높은 참가자들이 경연을 펼치는 오기택전국가요제는 전국에서 몰려온 가수 지망생과 군민, 관광객들이 참석하는 가운데 성황리에...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은 시체 형상이고 앞동산은 까마귀 모습이어서, 까마귀가 시체를 내려다보고 있다는 가막리(加幕里)가 나중에 오산(烏山)으로 개칭되었다고 전한다. 『호구총서(戶口總數)』에 가막리(加幕里)라는 지명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영암군 북평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오산리에 있는 어촌체험마을. 오산어촌체험마을은 해남군 북평면 오산리에 위치한다. 오산리(烏山里)는 까마귀가 사는 산이라 가막산, 또는 까마귀 형국을 한 외딴 산이 있다고 하여 오산이라 하였다. 오산리는 2006년 어촌체험마을로 지정되었다. 2008년 3월 18일 갯벌체험관이 개소하였다. 갯벌체험관은 2개의 단체 숙박실과 체험준...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평활리와 옥천면 용동리에서 북일면 흥촌리로 넘어 가는 재 오소재(烏巢峙)[170m]는 오시미재, 오소재(烏所峙)라고도 한다. 오소재는 넓게 보아 두륜산과 주작산의 경계를 이루며, 오소재 정상은 두륜산과 주작산을 오르는 산행 들머리다. 오소재에서 두륜산도립공원 자락에 있는 북미륵암으로 넘어가는 재를 오심재(悟心峙)[쇄기재]라 한다....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오소재 약수터 남근석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오소재 약수터에 남근석을 세우게 된 유래」는 마을에 음기가 강하고 양기가 부족하다는 도사의 말을 듣고 오소재에 남근석을 세웠다는 이야기이다. 「오소재 약수터에 남근석을 세우게 된 유래」는 2016년 7월 3일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 1277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이창민...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주광리에 있는 관광단지. 해남군 화원반도를 서남해 거점 관광단지로 조성하여 개발하기 위하여 1992년 오시아노관광단지를 지정하였다. 1992년 10월 관광단지로 지정되었고, 1994년 6월 조성 계획 승인 및 사업 시행 허가를 받았다. 사업 시행자는 한국관광공사이다. 2002년 12월부터 기반 조성 공사를 진행하다가 2006년 4월 조성...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어린이들이 땅에 오징어 모양의 선을 그어 놓고 겨루는 놀이. 오징어통일놀이는 넓고 평평한 땅에 오징어 모양의 선을 그어 놓고 공격과 방어를 하는 놀이이다. 어린이들의 놀이이며 남녀 구분 없이 즐기는 놀이이다. 땅에 오징어를 그려 놓고 편을 나누어 겨루는 놀이는 전국 각지에서 행해지는 놀이이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오징어통일놀이를 언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옥으로 장식품과 생활용품을 만드는 공예. 동양 문화권을 대표하는 보석으로 손꼽히는 옥(玉)은 아름다운 색채에 재질도 단단하여 예로부터 장신구·장식품 등의 귀중품이나 생활용품으로 가공되어 왔다. 그 색깔은 흰색, 노란색, 검은색, 녹색, 파란색, 적갈색 등으로 다양한데, 우리 민족이 특히 좋아하는 비취는 녹색의 투명한 옥을 말한다. 옥은 삼국시대부터...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옥동리(玉洞里)는 옥연이라고도 불렀는데, 마을이 옥매산 아래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옥연마을은 옥동마을과 한 마을이었기 때문에 옥동리의 옥과, 마을 중앙이 제비집을 닮았다 하여 제비 연(燕)을 붙여 옥연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황원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호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옥연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옥연마을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주민들의 무고, 풍년을 기원하며 옥동리 옥연 지신제를 지낸다. 정월대보름 오전에 마을회관 앞에서 간단히 제를 올리고 나서, 제관과 풍물패가 마을 주산[마을 동쪽 산]을 찾아가 불을 피우며...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와 문내면 용암리 경계에 있는 산. 옥매산은 지질학적으로 진도의 해양판과 화원반도의 등줄맥이 갈라지는 분기점에 해당한다고 한다. 옥매산은 조선시대에 옥(玉)을 생산하고, 전라우수영의 관아나 군함를 만드는 데 필요한 목재를 공급하는 국가 봉산(封山)이었다. 또 명량대첩의 승전지로 잘 알려진 울돌목의 입구에 있어 왜적의 동태를 감시하고...
-
일제강점기 해남 옥매산의 광산노동자들이 1945년 8월 21일 제주에서 귀환하던 중 바다에 빠져 사망한 사건.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와 문내면 용암리 사이에 있는 옥매산(玉埋山)은 조선시대부터 옥으로 이름난 산이었다. 1910년 니시자키 쓰루타로[西崎鶴太郞]를 시작으로 일본인들이 옥매산 광산을 본격 경영하기 시작했으며, 1937년 7월부터는 아사다화학공업주식회사[淺田化學工...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초가을 무렵 옥수수 알갱이가 여문 정도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을 예측하는 풍습. 농경민족이었던 우리 민족은 항시 생활의 안정과 풍요를 하늘에 빌었다. 그러면서 농사 풍흉의 결과를 미리 알고자 주로 정월에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쳐 보곤 했는데, 이러한 풍습을 농점(農占), 농사점이라 한다. 해남 지역에서 행한 ‘옥수수알보기’도 이러한 농점의 일종...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영신리에 있는 산업단지. 농공단지(農工團地)는 ‘농어촌지역공업개발촉진지구’의 약칭으로 지역 소득을 높이기 위해 일정 규모의 공업 지역을 조성하고 입주 업체에 대해 금융, 세제, 기술 지원을 하여 주겠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개발에 관한 법률 및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농공단지로 지정한다. 농...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옥천시면(玉泉始面), 옥천종면(玉泉終面)을 합하여 옥천면(玉泉面)이라 하였다. 옥천면 지역은 통일신라 때 냉천부곡(冷泉部曲)이 설치되었던 곳인데, 냉(冷)은 고대의 수(首)이고, 천(泉)은 몰[村]에 차용된 것이다. 곧 ‘우두머리가 있는 촌’이라는 의미이다. 고려 때는 옥산(玉山)으로 바뀌는데 옥은 거사(渠師...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영춘리에 있는 전통막걸리를 제조하는 주조장.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의 농특산물을 활용하여 전통 방식의 전통 민속주인 막걸리와 발효 식품을 연구 개발 제조하는 주조장이다.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하여 우리 전통 식품을 개발하여 지역 농업과 상생 발전하고 주민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옥천주조장은 1995년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영춘리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전남노회 소속 교회. 마을 주민들에게 기독교 복음을 전하여 생명을 얻게 하려는 목적으로 교회를 설립하였다. 백호교회를 다니던 이정신 집사 외 8인이 모여 이정신 집사가 운영하던 방앗간에서 1950년 4월 첫 예배를 드렸다.1950년 4월 해남군 옥천면 영춘리 527-3에서 옥천중앙교회가 시작되었다. 1995...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백호리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 옥천천은 해남군 옥천면 백호리에서 발원하여 대산천과 월평천 등과 합류한 후 서해로 유입하는 지방하천이다. 옥천면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옥천천 유역은 해남군 옥천면, 계곡면 성진리 등 성진리 일부, 마산면 맹진리, 송석리 등 마산면 일부와 강진군 도암면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영춘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을 지닌 착한 어린이,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지닌 슬기로운 어린이, 특기와 재능을 가꾸는 자랑스런 어린이,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튼튼한 어린이이다. 학교가 추구하는 기르고 싶은 어린이상은 ‘21세기를 주도할 도덕적·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1922년 4월 20일 옥천사립학술강습소가 설립되었고,...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와룡(臥龍)이라 하였는데 마을의 형상이 용이 누워 있는 모습이라고 한 데서 나온 지명이다. 본래 영암군 북평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북평시면의 대청리 일부와, 강진군 백도면의 항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북평면 와룡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와룡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완도해양경찰서 산하 파출소. 해양경찰의 주요 임무는 해양주권 수호, 해양 재난 안전관리, 해양 교통질서 확립, 해양 범죄 수사, 해양오염 예방·방제에 있다. 완도해양경찰서의 지휘 아래 해남 관할 지역을 중심으로 해양경찰의 주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3년 12월 해양경찰대가 창설되고 해양경찰대장 소속하에...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뒷산에 갓을 씌운 모양의 바위가 있어 갓바우라 하였는데, 마을이 바위의 바깥에 해당한다고 하여 바깥갓바우 또는 외립(外笠)이라 불리게 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내립암(內笠巖)에 해당되는 마을은 부곡마을과 춘정마을이다. 본래 해남군 황원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초월리, 연당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외호리(外湖里)는 산막리 바깥 쪽에 있기에 ‘밖산막’, ‘밖몰’, 또는 앞에 개가 있기에 ‘밖개’라고 하였는데, 이를 의미대로 한자화하여 외호(外湖)가 되었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포면의 당거리, 외호리, 북창·봉서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외호리로 개설되...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운전리에 있는 용굴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용굴과 용둠벙」은 용굴에서 용이 나와 승천하려는 모습을 본 장수가 용에게 화살을 쏘아 승천하지 못하고 용둠벙으로 들어가 버렸다는 이야기이다. 「용굴과 용둠벙」은 2016년 7월 17일 북일면 운전리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김운태[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펴낸 『설화...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용동(龍洞)마을은 용이 승천하는 형국으로 생겼는데, 용둠벙에서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 하여 비룡골, 비룡동, 비렁골로 부르다가 용동이라 하였다. 본래 영암군 옥천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림리, 이목리, 자경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옥천면 용동리로...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용태산 아래에 있어서 용산(龍山)이라 불렀다고 한다. 구전에 의하면, 마을 형국이 용의 분비물 같아 땅이 비옥하고, 가뭄도 타지 않아 해마다 풍년을 누렸다고 한다. 영암군 옥천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구암리, 문촌리, 용정리, 야곡리...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뒤 대덕산에 용바위가 있어 ‘용바우’라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한자화하여 용암(龍岩)이라 하였다. 본래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원문리, 원동리, 용암리와 석교리, 사교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문내면에 편입되었다. 현재 용암마을, 원동마을, 신흥마을, 사교마을, 원문...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용암리 용암마을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문내면 용암리 용암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하루가 되면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며 용암리 용암 산제를 모신다. 제사는 마을 뒤편에 있는 대덕산(大德山) 제각에서 대덕산 신령에게 지낸다. 용암리 용암 산제는 언제부터 시...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는 법정리 예전에는 ‘해가 돋는 땅’이라 하여 좌일리(佐日里)로 불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운’과 ‘좌일’에서 한 글자씩 따서 용일리(龍日里)라 부르게 되었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따르면 영암군 북평시면과 강진군 백도면 상좌일리, 하좌일리 지역이었으나,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용전리(龍田里)는 지형이 용처럼 생기고, 마을에 밭이 많아 ‘용전’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일면의 고암리, 용반리, 신기리, 용소리, ·용전리, 마포면의 신흥리 각 일부를 합쳐서 해남군 마산면 용전리로 개설되었다. 용전마을, 신기마을, 용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금새미[龍井]가 있으므로 금새미 또는 용정, 정머리라고 하였다. 본래 해남군 군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용리를 병합하여 용정리라 하여 해남군 해남면 용정리로 개설되었다. 1955년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하여 해남군 해남읍 용정리로 개편되었다. 현재 용정마을, 송정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사정리 용지마을에 있는 1948년 건립된 동복오씨 사우. 용지사(龍池祠)는 해남군 계곡면 사정리 용지마을에 있다. 1948년 건립하여 참의 단재(丹齋) 오극신(吳克信)[1554~1597], 아들인 장령 오계적, 조카인 용호 오홍적, 그리고 해금(海錦) 오달운(吳達運)[1700~1748] 등 4위를 배향하고 있다. 단재 오극신은 임진왜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우근리는 일제강점기에 간척 공사를 담당하였던 일본인의 성(姓)이 ‘우근’인 데서 비롯되었다. 마을 주민과 인근 사람들은 새 제방을 막아 마을이 생겼다는 뜻에서 새언머리 혹은 새언동으로 불렀다. 본래 해남군 은소면에 속하여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가리와 미야리, 미학리의 각 일부와 송지종면의 내장리 일...
-
전라남도 해남에서 시어머니에게서 비법을 전수받아 한식 된장의 명인이 된 한안자의 동국장 이야기. 우리나라 장(醬)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지』의 「위지동이전」에 고구려 사람들이 발효식품을 잘 만든다는 뜻으로 선장양(善醬釀)이라고 하였고, 고구려 안악3호분 고분벽화 등에는 장을 보관한 듯한 옹기독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데에서 유래가 상당히 오래되었음을 짐작할 수...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밭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던 노동요. 「우수영 들소리」는 밭에서 김을 맬 때 여성들이 부르던 농업 노동요이다. 노래를 부르면 속도가 일정해지고 손놀림을 맞출 수 있어 일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주로 여성들의 고된 생활과 삶의 희로애락에 관한 내용으로 사설이 구성되어 있다. 「우수영 들소리」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전승되어 놀이판 등에서 부르던 유희요. 「우수영 아리랑타령」은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부녀자들이 놀이판 등에서 흥을 돋우기 위해 즐겨 부르던 노래이다. 흔히 「진도아리랑」이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라는 후렴구가 붙는다. 「우수영 아리랑타령」은 2013년 문내면지...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 있는 전통시장. 우수영5일시장은 4일과 9일에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으며, 인근 해역에서 잡은 신선한 해산물과 황토에서 자란 양파, 고구마 등 지역 특산 농수산물과 지역 주민들의 생필품까지 판매하는 장옥형 공설시장이다. 1995년 편찬된 『해남군사』에 따르면 해남 우수영5일시장의 형성 시기는 1945년 광복 직후이다. 우수영5일시...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에 있는 전문 예술단체. 우수영강강술래·부녀농요진흥보존회는 중요무형문화재 제8호 강강술래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 우수영부녀농요를 보존하고자 2003년에 우수영강강술래진흥보존회로 설립된 예술단체이다. 전라남도 해남군과 진도군을 중심으로 서남해안에서 성행하던 강강술래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민속놀이로, 집단적인 군무와...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 일원인 서상리, 동외리, 선두리에 조성된 문화마을. 우수영마을은 조선시대 전라우도 수순의 본영으로 서해와 남해 바다를 지켜온 성지였다. 또 1597년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13척의 전선으로 133척의 일본군을 대파한 명량대첩의 현장이기도 하다. 우수영마을은 조선시대 구국의 성지로서 자부심이 대단하였고, 마을은 활기가 넘쳤다...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소속의 성당. 1955년 공소 모임을 시작하여, 1999년 해남성당에서 분리하여 형성된 해남 우수영 지역의 성당이다.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은 조선시대부터 수군 기지가 있어 마을이 큰 지역이었다. 기독교, 개신교에서도 일찍부터 선교사가 들어와 복음이 빨리 전하여졌다. 지역의 규모와 특성상 우수영 지역에도 천...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우수영중학교의 교육목표는 더불어 배우며 미래를 일구는 인간 육성에 있다. 교육목표는 첫째는 남을 배려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도덕인], 둘째는 소질을 계발하고 미래를 열어 가는 실력 있는 사람[실력인], 셋째는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창의적 능력을 신장하는 사람[창의인], 넷째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외국어...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난대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밝은 심성을 가진 어린이, 미래의 핵심 역량을 갖춘 어린이이다. 밝은 심성[明]을 기르고 미래의 핵심 역량[量]을 키우는 우수영 명량(明量) 교육을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1918년 7월 1일 명량의숙으로 개설되었다. 1919년 12월 12일 우수영사립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았고, 1920년 8월 29일 우수...
-
전라남도 해남읍 해리와 옥천면 영춘리 경계에 있는 고개. 우슬재는 해남읍 해리와 옥천면 영춘리 경계에 있는 고개이다. 우슬재[牛膝峙]에 대한 기록은 1925년 편찬 『해남군지』에 “군의 동쪽 10리[약 3.93㎞]에 있다. 즉 금강의 중맥으로 금강 즉 군의 진산인 미암의 상맥이다. 옛날의 관로는 군의 경계인 가치현(加峙峴)[지금의 삼산면 상가리 구렁목재]이 길...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비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우슬재 비바위전설」은 해남군 해남읍 해리의 비바위에서 만난 여인과 부부의 연을 맺은 소금 장수가 금기를 어겨 부인과 아이를 잃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우슬재 비바위전설」은 2016년 12월 1일 해남군 해남읍 해남종합사회복지관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황연명[남]이다. 2017년 해...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복합 공공 체육시설. 우슬체육공원은 지역사회 화합 및 지역민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선용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차별화된 스포츠마케팅으로 사계절 전지훈련팀 유치 및 각종 체육대회 유치를 이끌어 내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는 종합 체육공원이다. 우슬체육공원은 체육시설 확충...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우항이라는 명칭은 나오지 않는다. 다만 마을의 형세가 소가 누워 휴식을 취하는 와우형(臥牛形)이라 하고, ‘소의 목’ 부위에 해당되는 위치에 이재량이 집터를 잡은 까닭에 ‘소목’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로 보아 이재량의 선대에서 땅의 형국에 따라 ‘우항’이라는 이름을 붙였을 것이라 한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금평리·영호리·후산리에 경계에 있는 산. 운거산(雲居山)은 항상 산이 구름 속에 잠겨 있다 하여 붙여졌다. 땅끝에서 뻗어 내린 화원지맥에 속한다. 청룡천과 후산천의 발원지이다. 산자락에 수백 년 묵은 울창한 비자나무 숲이 장관을 이룬다. 2011년 8월 26일 해남 서동사 동백나무·비자나무 숲(海南瑞洞寺冬柏나무·榧子나무숲)은 천연기념물...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는 법정리. 운전마을은 1850년 쯤에 평산신씨가 이주하여 정착하면서 신기(新基)라 하였다가, 마을 산세와 지형이 구름처럼 넓다 하여 운곡리(雲谷里)라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운곡리와 장전리에서 한 글자씩 따서 운전리(雲田里)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영암군 북평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울돌목 처녀골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울돌목 처녀골 이야기」는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화원반도 앞에 있는 해협인 울돌목의 처녀골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이다. 울돌목에 빠져 죽은 처녀가 귀신이 되어 동생들도 물속으로 데려가려고 할 때 동생들이 귀신에게 끌려가지 않으려고 쑥대를 잡아 겨우 살아났다는 내용이다. 「울돌...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원불교 교당. 원불교는 1916년 4월 소태산 박중빈(朴重彬)[1891~1943] 대종사가 창시한 종교이다. 원불교는 연원을 불법에 두고 있으나 신앙 대상의 상징이 다르며, 불교와의 역사적 교섭 관계가 전혀 없다. 교단의 운영 방식과 제도면에서도 종래의 사찰 제도와는 다르게 운영된다. 즉 근본적 진리는 서로 상통하나 교단은...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원진리(院津里)는 원(院)[고려시대·조선 시대에 출장한 관원들을 위해 각 요로와 인가가 드문 곳에 둔 국영 숙식시설]이 있는 나루였다고 하여 원나루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진도군 삼촌면의 지역으로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목신리, 옹암리 일부와 녹산면의...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원님이나 사또들이 유숙하였던 곳으로 원터라 불리어 원호(院湖)라는 명칭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본래 산일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원호리, 학동리, 교동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로 개설하였다. 현재 원호마을, 교동마을, 학동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원호마을은 약 400년 전에 해...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 원호마을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마을의 안녕과 액운 방지를 목적으로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 원호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 짐대[솟대] 앞에서 제사를 지낸다. 짐대는 장승이나 입석처럼 마을을 수호하고 액운을 방지하는 신앙물로, 긴 장대 위에 오리 모양의 나무를 깎아 올려놓은 것이다. 원호마을은 풍수지리상...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신계리에 월곡마을 우대미샘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월곡리 우대미샘과 구렁이」는 해남군 옥천면 신계리의 자연마을인 월곡리에 있는 오래된 샘에 구렁이가 들어간 후부터 물이 적게 나온다는 이야기이다. 「월곡리 우대미샘과 구렁이」는 2016년 12월 16일 해남군 마산면 화내리 263-2 마산면사무소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월송리에 있는 전통시장. 4일과 9일에 해남 현산면 월송리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작은 규모의 시장이며, 장옥형 공설시장이다. 월송5일시장은 송지면 월송리에서 1964년에 처음 개설되었다. 1964년 개설 당시는 송지면 월송리에 있어 송지장으로 불렸다. 1973년에 월송리가 현산면에 편입되면서 현재는 월송장 또는 송지장으로 혼칭되고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월송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주변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던 신도들이 자기가 거주하는 동네에 예배당의 필요성을 느껴서 시작되었다. 월송교회(月松敎會)[현산면(縣山面)]는 1949년 11월 28일 주변 교회에서 신앙 생활을 하던 신자들이 김광석 자택에 모여 예배를 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교인이 증가하면서 개인 집에서 예배...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조선 명종 때 마을이 소나무 숲으로 우거져 있고, 소나무 위로 달이 뜨면 노송 아래 모여 마을 일을 의논하였다 하여 월송(月松)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또는 마을 모양이 앞산에서 보면 반달처럼 생겼다 하여 월송이라 한다는 설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영암군 송지시면에 속한 지역이었다가,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누리, 누리동이라 불렸다가, 마을 형태가 달처럼 생겨서 월평(月坪)으로 바뀌었다. 영암군 옥천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다산리, 해석리, 기평리, 덕산리, 팔산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옥천면 월평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월평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월호마을은 ‘노하’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는데, 『호구총수(戶口總數)』에 노하(路下)라는 이름이 나타나고, 월호(月湖)라는 지명도 나온다. 마을 입향조가 월채산에 떠오르는 달이 연못에 비추는 것을 보고 시를 짓다 마을 이름을 ‘월호(月湖)’라 지었다고 전해진다. 본래 해남군 화이면 지역이었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월호리(月湖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월하리(月下里)의 첫 글자와 당호리(唐湖里)의 가운데 글자를 취하여 지은 이름이다. 본래 해남군 장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동면의 월하리, 화동리, 당호리, 그리고 억수리 일부를 합하여 해남군 화원면 월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당포마을, 월하...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음력 유월 보름에 행하는 풍속. 유두(流頭)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라는 의미이다. 해남 지역에서는 이날 하루를 쉬면서, 주로 제를 모시기도 하고 시절 음식을 장만해 먹는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를 보면 “이달 15일을 우리나라 풍속에서는 유둣날이라고 한다...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식용유 제조 판매 중소기업. 주식회사 유맥은 옥수수유, 대두유, 올리브유, 카놀라유, 포도씨유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식물성 유지 제조 전문기업이다.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최고 품질의 식용유를 제조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2년 해남제유공업사를 설립함으로써 출발하였다. 1984년 해남유지공업사로 상호를 변경...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전문 증권사의 해남 지점. 유안타증권은 대만 유안타금융그룹 계열사인 증권회사로 한국 현지법인이다. 유안타증권 해남지점은 1995년 개점하여 현재까지 증권업의 영업을 영위하고 있다. 유안타증권 해남지점은 1995년 1월 개점하였다. 해남 지역의 유일한 전문 증권사로서 지역경제에 이바지하기 위해 개점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군 일원에 있는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과 고고 자료. 해남군 일원에 있는 유형유산 가운데 국가 지정 문화재는 국보 2점, 보물 19점이 있다. 전라남도 지정문화재는 유형문화재 13점, 문화재자료는 7점이 있다. 향토문화유산은 12점이 있다. 비지정 문화재는 해남윤씨 녹우당 고문서와 고문헌, 사찰문화재 등 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가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육아에 관련된 말. 해남 지역에서 사용한 육아 관련 어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육아 관련 어휘] 1. 갓난아이와 어린아이 ‘갓난아이’는 해남에서 ‘깟나이’, ‘깟난애기’라고 한다. ‘갓난아이’에서 조금 더 크면 ‘갓난-’이 생략되고 ‘애기’가 된다. 그래서 ‘어린아이’를 해남 지역어에서는 ‘애기’라고...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6박 진양조장단에 맞추어 부르던 향토민요. 「육자백이」는 서도소리 「수심가」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 민요이다. 「육자백이」라는 명칭은 6박 진양조장단에 맞기 때문에 지어진 듯하다. 진양조는 박자가 매우 느려 한스럽고 서정적인 가락을 지니나, 억양이 강하고 구성지다. 임정순이 부른 「육자백이」는 1997년 남도민속학회에서 발간한 『...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1년 열두 달 외에 더 있는 달에 행해지는 풍속. 지구가 태양을 한 번 공전하는 데에 365일 5시간 48분 46초가량 걸린다. 365일을 1년으로 삼는 태양력에서는 나머지 시간을 모아 4년마다 한 번 2월을 하루 늘리며 이 하루 늘어난 해를 윤년이라 한다. 태음력에서는 1년이 354일이므로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과의 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19...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율동마을은 밤나무가 많아 밤나무골, 밤골이라고 불리다가 한자로 율동(栗洞)으로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덕리(龍德里)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화산면 율동리가 개설되었다. 율동리에는 율동마을과 용덕마을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율동마을은 1540년 무렵 송산리 시목마을에서 해남윤씨 윤후강(尹厚綱)이...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수령 약 150~500년의 은행나무 9그루. 은행나무는 낙엽침엽수로 높이 60m, 지름 4m까지 자란다. 성장 속도가 빠르며, 나무껍질은 회백색, 아래로 깊이 갈라지고 가지가 잘 발달한다. 우리나라 전국에 식재되어 자라고 있으며, 중국에도 서식하고 있다. 은행나무는 햇볕을 좋아하는 양수이며 뿌리가 깊게 들어가 습기 있는 땅을 좋아하나 건조에 대한...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전해지는 여성의 음부를 표현한 노래. 「음부타령」은 해남군에 전해 내려오는 민요인데, 여성의 음부(陰部)를 표현한 노래이다. 「음부타령」은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31쪽에 「음경타령」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변강쇠가」에는 변강쇠가 옹...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가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음식에 관련한 어휘. 음식 어휘는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음식과 관련한 어휘인데, 주식과 부식, 반찬과 별식, 부엌과 그릇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 ]’ 안의 표기는 표준어, ‘[ ]’ 왼쪽에는 해남 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는다. 1. 주식 관련 어휘 너른 평야가 있는 해남 지역에서는 가을걷이가 끝...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사람들에게 음식을 판매하거나 제공하는 서비스 및 시설. 해남의 땅끝마을에서는 계절별로 다양한 수산물을 즐길 수 있는데, 청정해역에서 건져 올린 신선한 생선의 회 정식과 디톡스 음식은 단연 전국 으뜸으로 알려져 있다. 땅끝마을에는 해남군에서 지정한 14개의 활어회촌과 5개의 디톡스 바다요리 판매업소가 운영되고 있는데, 각종 활어는...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소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시간예술. 전라남도 해남군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강강술래를 비롯하여 우수영부녀농요, 육자배기 등 유서 깊은 음악 전통을 간직한 고장이다. 특히 현대에 와서는 국악 분야에서 뛰어난 판소리 고수(鼓手)와 명창을 많이 배출하였다. 해남은 기후가 온후하고 토질이 비옥하여 예로부터 전형적인 농업 고을이었...
-
전라남도 해남군의 13개 읍면에서 읍·면민의 화합과 결속을 위해 개최되는 행사. 해남군의 13개 읍면에서 읍·면민들의 화합과 우의를 다지기 위해 각 읍면별로 특정한 날을 정하여 ‘읍민의 날’과 ‘면민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1982년 12월 30일 제정된 「해남군민의 날에 관한 조례」 이후 군민의 날 행사가 매년 5월 1일에 이루어졌다. 「해남군민의 날...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일제강점기에 본정(本町)이라 불렸으나, 1949년 일본식 이름을 정비하면서 해남골의 골안이라고 하여 읍내리(邑內里)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해남군 군일면에 속한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천변리·남문리의 각 일부를 합하여 본정(本町)이라 하여 해남군 해남면 본정으로 개설되었다. 해방 이후 1949년 일본식 이름을...
-
전라남도 해남군에 속한 각 읍면의 행정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해남군은 14개 읍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읍면사무소는 해남군의 일선 행정기관으로서 대민 행정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해남읍사무소에는 총무팀, 주민복지팀, 희망돌봄팀, 재무팀, 산업팀, 개발환경팀, 민원봉사팀 등 6개 팀을 두고 있고, 각 면사무소에는 총무팀, 희망돌봄팀, 산업팀, 민원복지팀 등 4개...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소금을 저장하는 염창(鹽倉)이 있었으므로 염창이라 불리었으나, 조선 고종 대에 이재양이 정착하여 읍호정(挹湖亭)이라는 정자를 지어 마을 이름을 읍호정, 읍호(挹湖)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고계리, 백포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읍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읍호마을, 고담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각종 의례 때에 특별히 갖추어 입는 옷. 해남 지역에서는 관혼상제 시에 예를 갖추고자 할 때 의례복을 입는다. 전통적인 의례복은 한복을 위주로 하면서 관복과 도복을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대에는 점차 의례복도 서양복의 영향을 받거나 전통 복식과 서양 복식이 뒤섞여 있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상례 때 망자가 입는 수의, 혼례의...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가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의복과 관련된 말.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의복 어휘를 복식과 장식, 천의 종류와 세탁, 바느질과 관련된 어휘로 나누어 기술한다. ‘[ ]’ 안의 표기는 표준어이고, ‘[ ]’ 왼쪽에는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는다. 1. 여자 옷과 장식 해남 지역에서 전통적...
-
전라남도 해남 지역 주민들이 입어 왔던 의복과 이와 관련한 생활 문화. 의생활은 지역의 자연적 환경이나 생업 환경, 문화적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해남 지역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나일론이 나오고 화학섬유가 개발되기 전인 1960년대까지는 명주, 모시, 삼베, 무명을 직접 짜서 가정에서 손수 옷을 만들어 입었다. 여러 직물 중에서도 해남 지역에서는...
-
이순신과 항일운동의 역사가 담긴 해남군의 전통 마을인 이진마을 이야기. 이진마을은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속하는 해안가 포구 마을이다. 바닷길의 중요한 요충지에 해당하는 곳으로 고대부터 해상교류의 거점으로 활발하게 이용되었고, 포구가 있는 해안가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마을이 형성되었다. 해남(海南)이라는 지역명과 가장 잘 어울리는 대표적인 포구 마을로서, 조선...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제주의 돌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이진과 제주돌」은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남아 있는 현무암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해남군 북평면의 이진포구(梨津浦口)는 제주도와 육지를 이어 주는 포구이다. 제주도에서 배에 말을 실을 때 균형을 맞추기 위해 돌을 싣고 왔다가 돌아갈 때 이진포구에 돌을 내리고 대신 곡식을...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의 생김새가 배 같이 생긴 나루라 하여 배진 또는 이진(梨津)이라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영암군 북평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진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이진마을, 산마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수령 약 180~300년의 이팝나무 3그루. 이팝나무는 제주도, 전라남도, 전라북도를 비롯하여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서 서식하고 있다.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 25m, 흉고 직경 50㎝까지 자란다. 이팝나무의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어린 줄기 황갈색으로 벗겨진다. 잎은 대생(對生)[식물의 줄기에 잎이 붙는 형식의 하나. 잎이 마디마다 두 개씩...
-
전라남도 해남군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 또는 구성 집단의 계수. 인구는 특정 지역의 자연적·사회적·경제적 여러 조건을 반영하며, 지역 사회 파악을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된다. 특히 인구는 정적인 것이 아닌 동적인 것으로 인구수나 구조, 분포 등이 계속 변화한다. 1995년부터 2016년까지 과거 20년 동안의 인구 추이를 보면 해남군 행정구역 전체 인구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
-
전라남도 해남군의 위치와 면적, 인구 변화, 경제, 사회, 교통 문화 등 인문 지리적 요소. 해남군은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 중 전라남도 최대의 군역을 자랑한다. 한반도의 서남단에 있어 기후가 온화하여 온대성 작물이 재배되고 있다. 군 단위 지자체 중 전국 최대 면적의 농토와 리아스식 해안을 보유하고 있어 1차 산업이 발달하였다. 쌀, 겨울배추, 고구마, 물김...
-
1945년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결성된 사회주의 계열의 주민자치단체. 1945년 9월 6일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전국인민대표자회의를 열고 국내외 좌우익 정치세력을 망라한 조선인민공화국의 설립을 선포하였다. 인민공화국 선포 이후 각 지방에서 지방인민위원회 조직이 진행되었으며, 이 흐름 속에서 인민위원회 해남지부도 결성되었다. 1945년 10월 중순 인민위원회 해남지부가 결성된 것으로...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인지마을은 본래 장수마을과 한 마을이었다가 분리되었다. 정직하고 지혜롭게 살라는 의미에서 인지(仁智)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 장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서면의 인지리, 장수리, 예의리를 합하여 해남군 화원면 인지리로 개설되었다. 예전에 인지리와 장수리는 ‘공수개’라 부르는 한 마을이었다고...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가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인체와 관련된 말.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사용한 인체 어휘를 얼굴과 머리, 상체, 하체, 질병과 생리로 나누어 기술하기로 한다. ‘[ ]’ 안의 표기는 표준어이고, ‘[ ]’ 왼쪽에는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는다. 1. ‘눈’ 관련 어휘 해남 지역에서 ‘검은자위’는...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의 대흥사 천불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일본 갔다 온 천불」은 해남 대흥사 천불전(海南大興寺千佛殿)[보물 제1807호]의 천불(千佛) 중 일부가 경상도에서 뱃길을 따라 해남으로 오던 중 풍랑을 만나 일본으로 가게 되었는데, 꿈을 꾼 일본인이 대흥사에 돌려주었다는 이야기이다. 「일본 갔다 온 천불」은 2017년 1...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고당리와 화원면 장춘리, 청룡리, 성산리에 걸쳐 있는 산. 일성산(日星山)[335m]은 호남정맥(湖南正脈)에서 분기한 땅끝기맥[土末岐脈]에서 뻗어내린 화원지맥(花源枝脈)에 속하며, 문내면 고당리와 화원면 장춘리, 성산리의 진산이다. 일성산이 높아서 해가 뜰 때 산 뒤에서 솟아오르는 것 같고, 별이 뜨면 별이 산 봉우리에 걸려...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일성산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일성산 애기 업은 바위」는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일성산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이다. 아이를 못 낳던 여인이 일성산(日城山)[335m] 산신령에게 치성을 드린 후 아이를 얻었는데, 산신령에게 감사드리기 위해 아기를 업고 일성산에 올랐다가 바위가 되었다는 내용이다. 「일성산 애기...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일신리(日新里)라 칭하였다. 본래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산리, 금곡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황산면 일신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일신마을, 이목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일신마을의 입향조는 1987년의 『마을유래지』에는 김동현이라 하였으나, 단종애사 때...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평화로운 마을이라는 뜻의 일평(日坪)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일평마을은 본래 당구[혹은 당뫼]라 불렸다. 당구는 해남의 옛 이름으로 고려시대 해남현의 치소가 있었던 곳임을 반영하는 지명이다. 당구는 치소가 옥산현으로 옮겨갈 때 같이 옮겨져 해남의 옛 이름을 대변하게 되었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임신부나 그 가족이 가리는 음식이나 행위. 사회가 유지되려면 사회 구성원의 재생산이 기본적으로 계속 이루어져야 하기에 임신과 출산은 사회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중대한 일이었다. 임신 중 금기는 임신을 하고 출산에 이르는 동안에 지키고 조심해야 할 사항들이 금기의 형태로 관습화되어 온 것이다. 임신부는 임신 사실을 안 순간부터, 옷이나 음식을 일상적인...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의 산업 분야 중 산림을 유지하고 조성하여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산업. 2017년 해남군 임업 현황은 4만 4797㏊, 국유림 4,110㏊, 도유림 1,394㏊, 군유림 2,132㏊, 사유림 3만 7161㏊이다. 임산물 생산량은 수실 15만 2882㎏, 버섯 9만 5682㎏, 산나물 10만 3930㎏ 등이다. 임상별 산림 면적을 살펴보면, 2017년 현...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에 속하는 섬. 임하도(林下島)는 1930년대부터 섬에 삼림이 울창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는 섬의 형태가 말과 닮았다 고해서 이마도(二馬島)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임하도는 1800년경 하동정씨와 김해김씨가 배를 타고 가던 중 풍랑을 만나서 임하도에 들어와 살게 되면서 마을이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봄이 왔음을 알리는 첫 번째 절기. 입춘은 농사의 기준이 되는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이다.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으며, 보통 양력으로 2월 4일에 든다. 이날부터 봄이라고 여기기 때문에 좋은 글귀를 적은 입춘첩(立春帖)을 붙이는 풍습이 행해진다. 입춘첩은 춘축(春祝), 혹은 입춘축(立春祝)이라고 하는데, 각 가정의 대문...
-
전라남도 해남군이 시민의 문화 교류나 친선 등을 목적으로 협정을 맺은 행정기관 또는 행정 지역. 해남군은 지방자치단체로서 국내외 다른 행정 지역과 자매결연을 통해 인적 또는 문화적으로 교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의 외교와 달리 도시나 지역의 교류는 주로 한 도시[지역]가 교류의 자발적인 주체가 되어 해당 도시와 시민의 이익을 위하여 인적, 물적, 문...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가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자연과 관련된 말.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자연 어휘를 산과 들, 강과 바다, 시후(時候), 날씨 등 네 가지로 나누어 기술하기로 한다. ‘[ ]’ 안의 표기는 표준어이고, ‘[ ]’ 왼쪽에는 해남 지역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는다. 1. 산과 들 해남 지역은 높은 산...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구시리에 있는 환경 보호 단체. 자연사랑메아리는 2002년 12월 26일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고자 창립된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환경단체로, 국제적 철새 도래지인 마산면 당두리 지역 간척지의 개발이 친환경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창립되었다. 자연사랑메아리는 “자연과 사람이 아름답게...
-
전라남도 해남군의 지형, 지질 및 기후 등의 자연 환경. 해남군은 한반도의 서남단에 위치하여 기후가 온화하고 구릉지와 완사면이 발달하여 고구마와 호박, 겨울채소 등의 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 공룡화석지와 풍혈, 달마산, 두륜산 등 생태적 가치가 높은 자연자원이 풍부하여 관광지로도 각광 받고 있다. 해남군은 한반도의 서남쪽 최남단에 위치한 전라...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사람이 이유 없이 아플 때 낫기를 기원하는 치병 의례. 해남 지역에서는 사람이 갑자기 이유를 알 수 없이 아프면 잡귀가 통증을 유발한다고 생각하여, 쌀그릇이나 쌀자루로 통증이 있는 부위를 두드리며 치유되기를 기원하였다. 이러한 행위를 ‘잔밥주기’ 또는 ‘잔밥먹이기’라고 한다. 잔밥먹이기는 보통 당골을 초청하여 감로탱, 수륙재, 삼설양굿 등에...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지형이 누에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누에머리’를 뜻하는 잠두리(蠶頭里)로 불렸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청계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만년리, 월하리 일부가 병합되어 해남군 계곡면 잠두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잠두마을, 만년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잠두마을의 입향조는 1770년경 전...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의 동쪽에 장군봉, 남쪽에 옥녀봉, 동남쪽에 등잔봉이 있다. 그런데 장군봉 밑으로 사람의 손바닥 모양의 산줄기가 오지형(五枝形)으로 뻗어 있어 손바닥 장(掌)과 소(所)를 써서 장소(掌所)라 하였다. 후에, 동쪽 장군봉의 형상이 마치 장군이 투구를 벗어 놓은 채 동남쪽 등잔봉에 불을 켜고는 남쪽의 옥녀봉을 바라보고 있는 듯하다...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장소리 장소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행운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소리 장소 당산제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마을의 행운과 주민의 안녕, 농사 풍년을 기원하며 장소리 장소마을의 당산나무 앞에서 지내던 당제이다. 장소리 장소 당산제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 공동체 신앙...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백중날 무렵에 일꾼들이 농사장원을 뽑아 그 집으로 가서 주인이 내는 술과 음식을 먹고 노는 풍습.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음력으로 7월 15일, 곧 백중 무렵에 한 해 농사를 가장 잘 지은 이를 농사장원(農事壯元)으로 뽑는다. 그러고 나서 마을 사람들이 농사장원으로 뽑힌 집 일꾼에게 치장을 시키고 그 주인집으로 가서 주인이 내는 술과...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장촌리는 장자(長者), 즉 부자가 살았다고 하여 장자(長者), 장재(長材), 장촌(長村)으로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장촌(長村)으로 부르게 되었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계리와 장재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로 개설되었다. 이 중 남계리는 1789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장춘리(長春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장평리(長坪里)의 장(長) 자를 취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장평마을은 간척한 농토가 길어서 장평(長坪)이라 불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서면의 장평리, 초호리, 이목리, 그리고 방하리와 문내면의 고당리, 신평리, 무고리의 일부를 통합하여 해남군 화원면 장춘...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연호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재건] 서부노회 소속 교회.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재건교회는 해방 이후 나타난 교단이다.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반대를 하던 사람들이 출옥을 하여 신앙 재건을 외치던 신앙관을 따라 신도들이 모이고 교회를 형성한 것이 재건파 교단이다. 1950년대 장현경[여 전도인] 출옥 신자의 전도를 받아 해남읍 온인리에서 신...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대보름 무렵에 마당에 모닥불을 피워 놓고 그 위를 뛰어 넘는 풍속. 해남 지역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저녁이나 대보름 아침에 마당에 모닥불을 피워 놓고 아이들이 그 위를 뛰어넘게 하는 재수뜀을 하였다. 재수뜀은 ‘잰부닥넘기’라고도 하는데, 잰부닥은 모닥불의 전라도 사투리이다. 재수뜀은 열두 번을 뛰어 1년 열두 달의 신수를 따진다....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에서 전하는 정월대보름 민속놀이. 해남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전라우수영 용잽이놀이는 용놀이, 고싸움, 줄싸움, 줄소리와 풍물놀이 및 용줄태우기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복합적인 놀이 형식을 띠고 있다. 진도의 소리 문화와 전라우수영의 수군 설치 등을 계기로 독특하게 형성·발전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라우수영 지역의 강강술래가 추석...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현대적인 대형유통 상점으로부터 소상인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과 다양한 정책. 해남군에서는 유통산업 환경 변화와 전통시장의 시설 노후화, 상인의 경영마인드 부족 등으로 지역 경제의 기반인 전통시장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지역 특성에 맞는 환경 개선으로 쾌...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 열나흗날 밤에 아이들 정수리에 참기름을 발라 주는 풍속. 정월대보름은 그해에 처음으로 보름달이 드는 날로, 개인의 건강이나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는 개인적인 의례들이 행해지는 명절이다. 해남 지역에서 행하였던 ‘정수리에 참기름 바르기’ 풍속은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건강을 기원하고자 행한 개인 의례의 일종이다. 정수리에 참기름...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공적 권력의 획득, 유지, 행사와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제반 활동. 광복과 더불어 건국 동맹을 모체로 한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으며, 치안의 확보, 건국 사업을 위한 민족 역량의 일원화, 교통·통신·금융·식량 등의 대책 등에 당면 목표를 두고 각 지방의 지부 조직이 만들어졌다. 1945년 9월 6일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전국인민대표자회를 열고 국내외...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조상에게 제사를 지낼 때 지키는 예절. 우리 민족은 조상을 섬기는 방법의 하나로 제사를 매우 중요시하여 왔다. 예로부터 부모를 섬기는 데는 세 가지 방법이 있으니, 살아 계신 동안에는 봉양하는 일이고 돌아가신 뒤에는 상을 치르는 일이며, 상을 마친 후에는 제사를 모시는 일이라 할 정도였다. 이렇듯 제사를 중요시하다 보니 제례, 즉 제사를 지내는 의...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소금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산업. 소금은 생산 공정에 따라 분류하면 천일염, 정제 소금, 재제조 소금, 화학 부산물 소금, 기타 소금[암염, 호수염, 천일식 제조 소금 등], 가공 소금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생산하는 소금으로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이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그해 재수가 좋지 않는 사람이 정월 열나흗날 밤에 행하는 액막이 풍속. 민속에서 사람의 나이에 따라 그 운명을 맡고 있는 아홉 개의 별을 ‘구직성(九直星)’이라 하는데, 그중에서 나후직성(羅侯直星)은 아홉 해에 한 번씩 돌아오는 흉한 직성으로, 남자는 열 살에, 여자는 열한 살에 처음으로 들며 제웅직성이라고도 한다. 나후직성이 든 사람은 정월 열나...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물품을 대량으로 만드는 산업. 해남군은 3개의 산업단지에 2017년 현재 813명의 종업원이 종사하고 있으며, 생산액은 4,926억 원이다. 제조업의 기반인 화원지방산업단지는 조선 산업, 옥천농공단지는 군내 생산 농수산 가공 및 군내 소비 농수산 소비재 제조공장, 땅끝해남식품특화단지는 해남군 농수산 식품 관련 제품을 생...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인공으로 쌓아서 만든 작은 산이 있다고 하여 조산(造山)이라 하였다. 본래 해남군 은소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풍리, 수점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조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조산마을, 신풍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조산마을은 조산, 수점(水店)의 2개 작은 마을이 1914년 합해져...
-
1945년 8월 17일경 전라남도 해남에서 조직된 정치 단체의 지부.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해방 직후 일본으로부터 행정권을 인수받고 국내 질서를 자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1945년 8월 15일 여운형, 안재홍 등에 의해 결성되었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도 같은 취지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해남지부가 결성되었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 해남지부가 정확히 언제 결성되었는지는...
-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체육인. 조오련(趙五連)[1952~2009]은 1952년 10월 5일 해남군 해남읍 학동리에서 태어났다. 제6회, 제7회 아시안게임 수영 남자 자유형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국위를 선양하였고, 대한해협을 헤엄쳐 건너 ‘아시아의 물개’로 불렸다. 조오련은 1968년 10월 10일 해남고등학교를 자퇴하였다. 1968년 11월 3일 상...
-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종가에서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음식. 종가 음식은 조상의 제사를 받들고 손님을 대접한다는 뜻의 봉제사접빈객(奉祭祀接賓客)으로 대표되는 종가 문화의 요체라고 할 수 있다. 종가는 유교문화가 토착화된 조선 중기 이후 조상의 제사를 수행하고 사회적 지위를 상속하며 친족집단을 통합하는 중심으로 부각되었다. 종가의 음식 문화는 상류층의 문화이면서 지역적 특...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신을 믿고 따르는 모든 신앙 행위. 전라남도 해남군의 종교는 고대 시대에 중국과 인도에서 전래해 온 유교와 불교, 조선 말기 무렵 전래된 천주교와 개신교, 그리고 근현대에 출현한 신종교 등이 있다. 예수그리스도의 삶과 교훈이 후세에 편집되어 『성서』로 정경화(正經化)되었고, 기독교인들은 이것을 하나님의 인류 원에 대한 유일한 진리로 받든다....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에 있는 전통시장. 3일과 8일에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으로, 2013년 12월 시장을 개보수하여 새롭게 개장한 전통시장이다. 좌일5일시장은 1964년 개설된 시장으로, 시장을 찾는 사람들은 좌일시라고 부르고 있다. 좌일5일시장이 있는 지역은 해가 해변으로 돋우는 땅이라 하여 좌일(佐日)이라 하였는데, 장이 들어서면서 좌일시(佐日市...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본래 주광(周光)이라 불리며 장서면 지역에 속해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산리, 외주광리, 내주광리를 병합하여 주광리라 하고 화원면에 편입되었다. 주광리(周光里)는 화원반도 서쪽 해안에 위치하면서 서쪽과 북쪽으로 바다와 접하고 있다. 동쪽으로 인지리, 남쪽으로 화봉리와 접하고 있다. 오시아노...
-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주택과 주거지에서 영위하는 삶의 특징. 조선시대 살림집은 거주자의 신분과 경제력에 의해 그 규모와 형식이 거의 결정되었다. 즉 주로 농업에 종사했던 일반 백성의 집과 주로 높은 관직에 있으면서 부를 누린 상류층 집으로 크게 양분되어 나타난다. 두 유형은 대체로 볏짚과 기와라는 지붕 재료가 우선 눈에 띄기 때문에 일반인도 쉽게 구별할 수 있고 건물 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옥천면, 북일면과 강진군 신전면, 도암면에 경계에 있는 산. 주작산(朱雀山)[429.5m]은 긴 바위능선이 많고 정상에서 다도해가 한눈에 보이는 산이다.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 오소재에서부터 시작한다. 능선을 따라 용굴바위, 강진 신전면 주작산 정상, 기름바위, 주작산자연휴양림, 덕룡산까지 이어진다. 능선의 길이는 약 12㎞이며 기암괴석...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음력 9월 9일에 행하는 풍속. 중구(重九)는 세시 명절의 하나로, 음력 9월 9일을 일컫는다. 민속에서 중구는 양수인 홀수 9가 겹치는 날이어서 길한 날로 여겨 왔다. ‘중양절’ 또는 ‘중광’이라고도 한다. 특히 해남 지역에서 중구는 삼짇날 찾아왔던 제비가 다시 강남으로 돌아가는 날이라고 한다. 중구 또는 중양절은 중국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에 속하는 섬. 삼마군도(三馬群島) 중에서 상마도와 하마도의 중간에 있어 중마도(中馬島)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1872년 지방지도』「해남」도엽에 상마로도(上馬路島), 중마로도(中馬路島), 하마로도(下馬路島)의 섬 세 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마루섬으로 불리기도 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마뢰도(磨賴島)로 표...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에 있는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에 속한 어촌계. 중마어촌계는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의 계통 조직으로서,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에 있다. 중마어촌계는 마을 어장을 생활 근거지로 삼아 마을 공동 어장의 이용과 개발을 통하여 개별 어가와 어촌 마을 주민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하고 하며 수산업협동조합의 일부 기능을...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중등 보통 교육 기관. 우리나라 중학교는 초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진학하게 되는 전기 중등교육기관이다.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사람이 다닌 중등교육기관은 고등보통학교였는데, 대부분 해방 이후 6년제 중학교로 바뀌었다가 3년제 중학교와 3년제 고등학교로 나뉘어졌다. 해남 지역에서는 1920년에 처음으로 해남중학교[당시 이름은 해남공립농업실수학교]가 설립되...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멥쌀, 막걸리 등으로 만들어 먹은 전통 발효 떡. 증병은 증편, 기정떡이라고도 불린다. 여름철에 상하지 않도록 막걸리를 넣어 발효시켜 만든다. 증병은 식감이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어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음식이다. 증병은 가장 오래된 조리서인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에 제조법이 나오고, 『주방문(酒方文)』, 『군학회등(群學會騰)』, 『...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교차로에서 해남군 산이면·마산면·해남읍·삼산면·현산면·송지면을 잇는 지방도.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삼호리 용당교차로부터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를 잇는 전라남도 지방도이다. 영암군에서 해남군으로 이어지는데, 해남군은 산이면·마산면·해남읍·삼산면·현산면·송지면을 경유한다. 송지면 금강리~송호리까지 구간은 개통되지 않았다. 영암군 구간은...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옥천면·마산면을 경유하여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과 영암군 금정면을 연결하는 지방도.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수문리 용곡교차로로부터 영암군 금정면 용흥리 용흥삼거리를 잇는 전라남도 지방도이다. 해남군은 계곡면과 옥천면, 마산면을 경유한다. 2006년 12월 건설교통부에서 지방도 노선번호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약 20㎞ 미만인 노선에 대해서...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와 삼산면 평활리를 연결하는 지방도. 해남군 북일면에서 삼산면,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에서 장흥군 관산읍, 강진군 군동면에서 영암군 영암읍을 각각 잇는 전라남도 지방도이다. 강진군 칠량면 영동리 칠량면소재지교차로~장흥군 관산읍 죽교리 죽교교차로, 강진군 군동면 호계리 군동면호계리교차로~영암군 영암읍 학송리가 각각 기점과 종점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주민이 스스로의 의사와 책임 아래 선임한 자치기관을 통하여 지역의 정치와 행정사무를 처리하는 활동 과정. 지방자치는 단체자치와 주민자치가 결합된 것으로서, 자신이 속한 지역의 일을 주민 자신이 처리한다는 민주정치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에 기초를 두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는 일정한 지역의 주민들이 중앙정부로부터 상대적인 자율성을 가지고 법률에 따라 일정...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아이의 점지를 기원하며 행하는 의례.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아이를 낳지 못하거나 부정이 끼어 아이에게 탈이 났을 때 지앙맞이를 한다. 지앙은 아이를 점지해 주는 신으로, 삼신이라고도 한다. 주로 결혼한 부인이 임신을 하지 못하면 당골을 초청하여 아이의 점지를 기원하는 지앙맞이를 하는데, 집으로 초대된 당골은 부엌에서 징을 치면서 지앙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출산과 육아를 관장하는 신인 ‘지앙’을 모시고자 차리는 상. 해남 지역에서는 출산과 육아를 관장하는 신을 ‘지앙’ 또는 ‘제왕’이라 부르며 보통 ‘지앙할미’ 또는 ‘제왕할미’라 한다. 지앙은 집 안의 안방 윗목에 좌정한다고 여기며, 태아와 임산부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출산할 수 있도록 보살펴 준다고 여긴다. 지앙을 모시려고 차리는 상을 지...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을 구성하는 지형과 지질. 해남군 지역은 강진군 도암면에서 땅끝까지 북동에서 남서 방향의 해남반도를 중심으로 북서측에 산이반도와 화원반도가 각각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연결된 우리나라 최남단의 반도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안은 입출입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남군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변...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와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사이의 명량해협에 놓인 다리. 진도대교는 명량해협[울돌목]에 건설되었다. 제1진도대교는 1980년 12월에 착공하여 1984년 10월에 준공되었으며, 제2진도대교는 2001년 12월에 착공하여 2005년 12월에 준공되었다. 진도대교는 해남군과 섬인 진도군을 연결하므로 진도대교라 칭하게 되었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전승되는 풍물 연희.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풍물을 군고라고 부른다. 임진왜란 당시 서산대사가 풍물을 진법으로 활용하면서 비롯된 것이라는 설이 전하고, 해남 지역의 주민들도 풍물이 군고라 불리는 이유를 임진왜란이나 서산대사와 관련지어 설명한다. 군고는 기능 면에서 일반적인 풍물과 다르지 않다. 마을마다 당굿과 마당밟이, 판굿 등을 행하...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진산리(珍山里)는 진산현·진산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진산현의 성터 밑에 있어서 ‘진산(珍山)’이라 불렀다. 진산포는 고려시대에 청자를 실어 나르던 포구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진산리, 내송리·대진리의 각 일부 지역을 합쳐서 해남군 산이면 진산리로 개설되었다. 진산리는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나무 막대기인 ‘짱매’로 나무 공인 ‘짱공’을 쳐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짝차기는 해남 지역에서는 주로 마을 젊은 남성들에게 가장 사랑받던 전통적인 놀이로, 짱치기 또는 장치기로 불리기도 한다. 두 패로 나뉘어 사람들이 각각 단단한 나무로 만든 ‘짱매’를 가지고 나무를 공처럼 깎은 ‘짱공’을 쳐서 상대방의 ‘짱문’에 넣어 승부를 다투는...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창리(昌里)는 고려시대 창(倉)이 있었던 곳으로 국세를 받아 보관하였다가 흉년에 백성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해서 창물, 창리(倉里)라 불렀다. 해방 후에 한자가 창리(昌里)로 바뀌었다. 창리는 본래 진도군 삼촌면 지역으로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금리, 방축리...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 대흥사 만일암 터에 있는 수령 약 11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전국의 마을 동구 밖, 산기슭, 골짜기에 자라는 낙엽활엽수로 정원수나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느티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수형이 아름답다. 느티나무는 높이가 25m까지 자라며, 둘레는 3m정도이다. 나무껍질은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한그루에 달...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최제우를 교조로 하여 활동하고 있는 종교. 천도교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자 제1대 교주인 수운 최제우(崔濟愚)[1824~1864]가 1860년에 세운 민족 종교인 동학(東學)을 1905년 제3대 교주인 손병희(孫秉熙)[1861~1922]가 개칭한 종교이다. 동학은 서학(西學)인 천주교와 상대되는 의미이며, ‘인내천(人乃天)...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있는 해남 대흥사 천불전의 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해남 대흥사는 배가 물에 떠 있는 형국이라 우물을 따로 파지 않았다. 또한 불의 기운이 강한 곳이기 때문에 ‘가허루’의 문지방을 소 멍에 형태로 만들었다. 「천불전 가허루 다리」는 해남 대흥사(大興寺) 천불전(千佛殿)과 가허루(駕虛樓)에 얽힌 이야기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 분포하는 국가 지정 문화재 천연기념물. 전라남도 해남군에 분포하는 천연기념물로는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 제173호],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 제241호],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천연기념물 제394호], 해남 성내리 수성송[천연기념물 제430호] 4개가 있다.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활동하는 로마가톨릭교회. 천주교는 로마교황을 대표자로 하는 종교로, 가톨릭교회 또는 로마가톨릭교회라고 한다. 교구라는 조직을 두고 있으며, 교구에는 교구장과 주교를 중심으로 보좌 주교, 총대리, 사무처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교구 산하에는 본당[성당]이 있으며, 본당에는 주교를 대리한 주임 신부를 중심으로 사목회장, 사목협의회 등의 평신도 조직이...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청룡리(靑龍里)는 운거산[일명 청룡산]의 왼쪽[좌청룡]에 위치하기 때문에 ‘청룡’이라 불렀다고 한다. 본래 해남군 관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관저면에 있던 중리를 중심으로 상리·하리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해남군 화원면 청룡리로 개설되었다. 청룡리는 조선시대 황원곶 목장을 관장하던 감목관이...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고래시암이 있어 고려샘, 고려정이라 불렀다가, 이후 구시반, 청신정으로 불리었고, 청신(淸新)이라 칭하게 되었다. 영암군 옥천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탑동리, 동리, 흑천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옥천면 청신리로 개설되었다....
-
해남군에서 지역민의 건강·여가 활동 및 지역사회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일련의 조직적 및 비조직적인 신체 활동. 체육은 건강 및 체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교육적 목적으로 실시되는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신체 활동으로 실시 목적에 따라 학교체육, 생활체육, 전문체육으로 구분된다. 학교체육은 신체 활동의 교육적 목적을 위하여, 생활체육은 건강 및 건전한 여가 생활의...
-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농어촌 활성화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에서 지정한 정보화 마을·어촌 체험 마을. 정보화 마을이란 농촌, 어촌 그리고 산촌과 같이 정보화에 소외된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전자상거래와 정보 콘텐츠를 구축하여 지역 주민의 정보 생활화를 유도하고 실질적인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한 발전을 이룩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설립되어 있는 초등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 초등학교는 모든 아동들에게 3R's[Reading, wRiting and aRithmetic, 읽기, 쓰기, 셈하기]를 비롯한 기초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학교이다. 현대 국가에서는 교육을 국가의 기본 책무로 인식하기 때문에 초등교육은 무상 의무교육으로 실시되고 있다. 1948년 「헌법」 제16조 “모든 국...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초두(草頭)의 첫 번째 글자와 외송(外松)의 두 번째 글자를 따서 초송리(草松里)라 지었다. 외송(外松)마을은 초송리에서 으뜸[설, 솔]인 소리마을의 바깥쪽에 있다고 하여 ‘밖소리’라 불렀다. 이를 밖에 해당하는 외(外) 자와 설 혹은 솔에 해당하는 송(松) 자를 써서 ‘외송(外松)’이라 하였...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우리나라 차 문화의 중흥조이며 시, 서, 화의 달인이었던 초의선사의 다도 정신을 기리는 문화제. 초의문화제는 초의선사의 다도 정신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문화제이다. 초의선사는 한국의 다도를 거론할 때 가장 많이 꼽히는 인물로 1828년 지리산 화개동 칠불암에 머물면서 다서(茶書)인 『다신전(茶神傳)』을 저술하였다. 『다신전』은 찻잎...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고려시대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하여 ‘고려실’이라 부르다가, 조선시대에 초지가 좋아 초평으로 바뀌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넓은 들이 호수와 같다 하여 초호(草湖)로 바뀌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초평리, 신방리, 산기리, 읍호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초호마을, 신방마...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행하는 명절 풍속.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음력 8월 15일을 ‘추석’, ‘한가위’, ‘한가우’, ‘가웃날’ 등으로 부른다. 추석은 설날과 더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2대 명절이다. 추석이 되면 객지에 나간 가족들이 모두 귀향하여 가족, 친지들과 함께 정담을 나누고 추석 차례를 준비한다. 추석 풍속이 언제부터...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가축을 사육하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여 생활에 유용하도록 이용·개발하는 산업. 1960년대에 들어와 급증하는 축산물 수요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산업의 급속한 발전이 요구되는 한편 국민 보건, 인구문제, 식량 도입 등의 문제들과 연관되어 축산업의 중요성이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부각되자 축산 진흥 정책이 채택되었다. 1990년 이후 지속적인 수입 개방 압력...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여성들이 춘향각시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춘향각시노래」는 명절 때 춘향각시놀이를 행하면서 일종의 주문(呪文)처럼 부르는 노래이다. 춘향각시놀이를 할 때는 춘향의 이름과 나이와 생일 등을 물으면서 춘향의 혼이 술래에게 내리기를 기원한다. 춘향각시놀이를 ‘춘향이놀이’라고도 한다. 「춘향각시노래」는 2013년 삼산면지편찬위원회에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주로 명절 때 부녀자들이 즐긴 강신 체험 놀이. 춘향각시놀이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부녀자들이 즐기던 놀이다. 춘향아씨내리기놀이라고도 부르고 충청도, 경상도에서는 꼬댁각시놀이라고도 하며,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춘향각시놀이라 하였다. 춘향각시놀이는 신내림을 받는 강신(降神) 체험과 유사한 경지에 이른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놀이와는 구별된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고기잡이를 갈 때 대문 밖에 대나무를 걸쳐 놓아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막는 행위. 전라남도 해남 지역 주민들은 출어(出漁)할 때, 즉 고기잡이를 위해 어장(漁場)에 나갈 때에는 사립문 밖에 대나무를 비스듬히 걸쳐 놓는데, 이는 집주인이 고기잡이 나갔음을 알리는 표시이자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하는 장치이다. 출어시 대나무 걸쳐...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충리(忠里)는 마을에 충신 이유길(李有吉)이 살았다고 하여 충신터라 부르다가 충리가 되었다. 본래 해남군 녹산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리와 대흥리의 각 일부, 삼촌면의 화내리, 용두리, 도토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삼산면 충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충리마을, 신리마을, 대흥마을, 화내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 있는 1964년 건립된 충무공 이순신 장군 사우. 충무사(忠武祠)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영정을 모신 영당이다. 1964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에 건립되었다가 동외리로 이전하였다. 충무사는 문내면 동외리 마을 안쪽 우수영안길 경사지에 있다. 충무사는 1964년 해남 명량대첩비가 있던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에...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외입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목포노회 소속 교회. 농어촌 마을에 교회를 세워 지역 주민들의 삶에 소망을 심어 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충신교회는 1949년 4월 15일에 시작되었고, 처음 이름은 외입리장로교회였다가 지명에 따라 충신교회가 되었다. 교회 주변의 7개 부락의 전도를 위하여 설립되었다[외입마을, 송청마을, 부곡...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본래 산수가 좋고 버드나무 숲을 이루고 있어서 유평(柳平), 버릿돌, 벗들이라 부르다가 해방 이후 국가에 충성을 해야 된다는 의미로 충평(忠坪)이라 바꾸었다. 본래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갈우리와 무고리, 신평리, 충평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충평리로 개설되었다. 178...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화장실에 좌정해 있다고 믿는 신에 대한 의례. 측간[화장실]에 좌정한 신을 측신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측신은 여신(女神)인 경우가 흔하다. 해남 지역에서는 측신으로 ‘작은각시’라고 하는 여신과 ‘측간장군’이라고 하는 남신이 확인된다. 해남 지역에서는 측간에서 넘어지면 잘 낫지 않는다고 하여 무당을 불러 측간장군굿을 하며, 외부에서 집 안으로 아...
-
전라남도 해남군에 사는 토박이가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친족과 관련된 말.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사용한 친족 어휘를 화자(話者)가 부계(父系) 남자일 때, 화자가 부계 여자일 때, 화자가 시집온 여자일 때와 같이 나누어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해남 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실제 발음을 나타낸 것이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음력 7월 7일에 행하는 풍속. 칠석은 양수인 홀수 7이 겹치는 날이어서 길일로 여긴다. 전설에 따르면 헤어져 있던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일 년에 한 번 오작교(烏鵲橋)에서 만난다고 여기는 날이기도 하다. 해남 지역에서는 칠석을 맞아 관련된 풍속들이 전하고 있다. 칠석 때가 되면 직녀성과 견우성을 천정(天頂) 부근에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산의 고갯길을 넘을 때 침을 뱉어 액막이를 하는 장소. 해남군 일대에는 고갯길 정상이나 마을 입구에 돌이나 솔가지를 모아 놓은 큰 무더기가 있어 그곳을 지날 때면 침을 뱉음으로써 두려움을 떨쳐내고 잡귀를 쫓아내었는데, 이 장소가 침당 또는 춤당이다. 사투리로 입 속의 침을 춤이라고 하는데, ‘침[춤]을 뱉는 당’이라는 뜻에서 침당이라 하...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음력 8월 14일 밤에 부스럼 예방을 위해 아이들이 밭고랑을 기는 풍습. 해남 지역에서는 음력 8월 14일 저녁에 어른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콩밭에 가서 아이들로 하여금 밭고랑을 기어 다니게 하였다. 이날 아이들은 밭에 나가 발가벗고 자기 나이 수만큼 밭고랑을 기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부스럼을 예방할 수 있다고 믿었다. 콩밭고랑기기 풍습은...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가을에 깍지가 달린 콩대를 쪄서 먹었던 음식.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농가에서는 오곡이 여물기 전에 풋것을 쪄서 먹었다. 주로 벼, 수수, 콩 등의 곡물로, 콩깍지가 달린 콩대를 콩짚이라고 부른다 .오래전부터 콩대를 쪄서 깍지를 깐 다음 잘 익은 콩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거의 사라졌다. 해남 지역에서 언제부터 콩짚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부길리 갑길마을에서 마을의 풍수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해남군 화산면 부길리의 자연마을인 갑길마을은 풍수지리적으로 매우 좋은 자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큰 인물 기다리는 갑길리」는 풍수가 좋은 갑길리에 아직까지 인재가 나오지 않아 큰 인물이 태어나길 기다리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큰 인물 기다리는 갑길리」는 2017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죽도에 서식하는 희귀종의 해조류. 큰비단사돈풀은 해조류로 홍조류에 속한다. 엽체는 자색 혹은 진한 홍색을 띄며, 높이 7~10㎝로 직립한다. 보통 단독으로 나며, 무한생장지와 유한생장지를 방사상으로 낸다. 원주형의 무한생장지는 전체가 피복되어 있으며, 다른 해조류 혹은 암반에 가근성 원반 흡반체로 부착한다. 생장은 정단 분열 세포의 횡분열로 이루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가축이 출산에 어려움을 겪거나 출산 후에 새끼를 해할 때 부정을 해소하고자 행하는 주술적 습속. 해남 지역에서는 가축이 출산할 때 진통이 오래 지속되어 난산의 조짐이 보이거나, 출산 후에 새끼를 물어 죽이는 행위를 하면 집안 식구들이 중 누군가에게 부정이 낀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부정한 사람을 파악한 후 사립문 밖에 세워 놓고 쳉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갓난아기의 탯줄과 태반을 처리하는 풍습. 탯줄은 뱃속 아기와 어머니의 연결 고리이다. 탯줄을 통해 영양이 공급되기도 하고 정서적 교감도 이루어진다. 해남 지역에서는 탯줄에 아기의 생명력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 탯줄과 태반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히 다루었다. 태를 소중히 다루는 민속의 연원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신라 김유신의 태실이 남아 있고...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했을 때 액막이를 위해 허수아비를 만들어 놀리고 불태우는 의례. 일반적으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할 경우 풍물패가 액막이를 하고 축원을 하는데, 해남 지역에서는 허새비[허수아비]를 만들어서 놀리다가 태우는 것으로 액막이를 하였다. 이를 터울리기라고 한다. 민간에서 정월에 허수아비를 만들어 액막이를 하는 사례는 일반적이다. 집안...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만드는 특색 있는 술. 어느 나라나 지역에는 특유의 토속주가 있게 마련이고 우리나라에도 안동소주, 진도홍주, 함양국화주, 영광강하주 등이 토속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우리나라 토속주는 밀주로 취급되어 일반 가정에서 제조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1962년 양곡관리법에 의해 제재가 더 심해져 제조 기술 전승에 많은 어려움을 겪...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의 지표를 구성하는 암석이 풍화 작용을 받아 부스러지고 분해되어 생긴 무기물과 동식물의 유기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물질. 토양은 암석의 풍화 작용과 토양 생성 작용을 받아 이루어진 풍화 산물로 토양 모재인 암석 풍화 산물에서 나온 모래, 시트, 점토 등의 광물과 이들 광물 입자를 사이를 물과 공기와 다양한 미생물들이 구성하고 있다. 즉, 토양은 암석의...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통호마을은 앞쪽만 제외하고는 산이 마을을 깊이 안고 있어, 마치 속을 파놓은 나무 속에 마을이 있는 것과 같다 하여 통(桶)에 바다의 포(浦)를 붙여 통포 또는 통개라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는 통포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일제강점기에 통호로 바뀌었다. 본래 영암군 송지종면 지역이었...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통호마을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통호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 밤에 마을 당숲에 있는 당집에서 당할머니에게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 정월 초하루가 되면 오후에 군고패[풍물패]가 미리 당집에 가서 군고를 치며 당할머니에게 당일 밤에 제사를 지내...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통호마을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한 자치조직. 대동계는 마을의 이익을 공동으로 추구하기 위해 조직된 기능집단의 하나이다. 계원의 상호부조와 공동이익을 위해 규약을 만들어 운영하였다. 통호리 통호마을 대동계는 1895년 조직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도 마을 총회의 성격을 띤 채 지속되고 있다. 통호마을에서는 1895년 마을 주민...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는 특색있고 유명한 산물. 해남군은 산과 바다, 너른들이 펼쳐진 한반도의 땅끝마을로 완만한 구릉지대와 온난한 해양성 기후의 특성에 따라 농산물, 임산물, 해산물, 축산물 등 다양한 농수산물이 생산되고 있다. 백제 때에는 해안가 마을이라는 의미의 새금(塞琴), 침명(浸溟)이라 불렸다. 공재 윤두서(尹斗緖)[1668~1715]가...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주광리에 있는 골프장. 파인비치CC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복합 레저 공간으로 정식 명칭은 파인비치 골프링크스이다. 보성레저개발이 보유한 골프장으로 해남의 리아스식 해안의 굴곡을 그대로 살린 아름다운 코스로 유명하다. 파인비치CC는 1992년 오시아노 관광단지 개발사업에 의해 만들어졌다. 오시아노 관광단지 개발은 1988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고수가 북으로 장단을 쳐 주는 판소리 반주. 판소리 고법(鼓法)은 판소리가 정착한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겨난 것으로 판소리에 맞추어 고수(鼓手)가 북으로 장단을 쳐서 반주하는 것을 말한다. 해남 출신의 추정남(秋正南)[1940~2019]이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9-3호 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추정남(秋正南)[1940~2019...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매년 가을에 열리는 판소리고법발표회. 판소리고법발표회는 문화와 예술의 고장 땅끝 해남에서 판소리고법의 저변 확대와 군민의 예술적 정서 함양에 기여하고자 매년 개최하는 발표회이다. 판소리고법은 판소리 명창[소리꾼]의 소리에 맞춰 고수가 북으로 장단을 쳐서 반주하는 법을 말한다. 판소리계에서는 ‘일고수(一鼓手) 이명창(二名唱)’이라는...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옥천 일대의 마을 가운데 대산-봉산-성산-용산-다산-송산-호산에 이어 여덟 번째로 만들어진 마을이라 하여 팔마, 팔매라고 불린 데서 팔산리(八山里) 명칭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또한 서기산에서 뻗어나온 마을 뒷산이 팔자형(八字形)으로 마을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다고도 한다. 본래 해남현에 딸린 팔마부곡이었으나...
-
신석기시대와 삼국시대 해남 지역에서 발굴·조사된 복합 유적. 패총(貝塚)은 마치 조개가 무덤처럼 쌓였다 해서 조개무덤이라고도 하며, 또는 조개더미라고도 부른다. 패총에서는 조개뿐만 아니라 당시 사람들이 식용으로 이용하였던 동물이나 물고기 뼈 등과 같이 아주 작은 뼈들도 남아 있다. 또 파손된 토기, 석기, 골각기, 토제품 등의 생활 및 생산 도구나 무덤, 주거지, 화덕 시설이 발견...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수령 약 100~400년의 팽나무 106그루. 팽나무는 낙엽활엽수로서 수형이 원형이며, 높이 20m, 지름 1m 이상까지 자란다. 중국, 일본, 한반도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경기도와 강원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 산발적으로 분포하지만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의 표고 50~1,100m 지역에 분포한다. 해남군에 있는 팽나무는 수령이 약 1...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본래 평동마을은 ‘드림밭’, ‘디딤밭’이라 하였고, 일제강점기에는 대정정(大正町)이라 하였으나, 1949년 일본식 동명의 폐기로 평동리(坪洞里)로 칭하게 되었다. 의미는 고도지리의 고들몰의 ‘들몰’을 한역(漢譯)한 것이다. 군일면 고도지리(古道旨里)의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고도지리의 일부와 당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일상생활을 할 때 입는 옷. 해남 지역의 평상복은 우리 나라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1960년대 이후로는 의례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서양복을 착용하고 있어서 지역적 특색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 1960년대 이전에는 목화에서 추출한 무명과 목화솜으로 직접 옷을 만들어 입었다. 명주, 모시, 삼베 등도 옷감으로 쓰였지만 무명의 비중이 월등...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행하는 의례. 평생 의례는 인간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평생을 사는 동안 중요한 단계마다 행하거나 경험하는 여러 가지 의식이다. 모든 사회의 중요하고 보편적인 의식들은 출생·성장·생식·죽음 등의 단계와 결부되는데, 서구에서는 이를 ‘통과의례(通過儀禮)’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관례, 혼례,...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법정리. 평암리(平巖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안평(安平)과 암정(巖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본래 영암군 북평종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금부리, 암정리, 암평리, 묵동리, 전옹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북평면 평암리로 개설되었다. 현...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평암리 금산마을에서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평암리 금산 도제는 해남군 북평면 평암리 금산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안과 주민들의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평암리 금산 도제는 마을이 생기면서 심은 700년 이상 된 귀목나무[느티나무] 앞에서 지내는데, 정월...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평호리(平湖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자연마을들이 통합되어 해남군 화산면 평호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사포(沙浦)마을, 평발(平發)마을, 구성(九星)마을, 송평(松平)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사포마을은 1680년경 밀양박씨들이 진도에서 나와 살기 좋은 터라고 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법정리. 녹산면의 하단 녹산골[큰골] 마을들과 병합하여 활기차게 살아가는 마을이라는 뜻과 평지에 새로 이룩한 마을이라는 뜻에서 평활(平活)이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녹산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활리, 양촌리, 산림리, 신기리, 중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해남군 삼산면 평활리로 개설되었...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수령 약 200~250년의 푸조나무 12그루. 푸조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서 수고 높이 20m, 흉고 직경 2m로, 중국을 비롯하여 전라남도, 경상남도 해안 도서 지역, 남부 지방의 표고 700m 이하와 경기도 및 북부 지방, 제주도, 울릉도에도 분포하고 있다.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병충해도 거의 없다. 비옥하고 깊은 땅에서 잘 자라고 내한성...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행하는 풍속. 해남 지역에서는 음력으로 2월 초하루를 ‘하리아드렛날[하리아드랫날]’, ‘하리디랫날’, ‘하룻날’, ‘하리날’, ‘하루달’ 등으로 부른다. 2월은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날 하루만 쉰다. 이날은 간단한 상을 차리기도 하고, 농사의 풍흉을 미리 점쳐 보기도 한다. 하리아드렛날...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에 속하는 섬. 삼마리(三馬里)의 삼마도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여 하마도(下馬島)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삼마도는 섬들의 모양이 말과 비슷한 형태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하마도는 마루섬, 하마로도(下馬路島), 마뢰도(磨賴島)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872년 지방지도』 「해남」 도엽에 세 섬의 명칭이 상마로도(上馬路...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혼례를 치른 신부가 신행을 갈 때 동행하는 신부측 지인. 첫날밤을 보내고 이튿날 신랑과 신부는 신랑집으로 신행을 떠난다. 신행길에는 신랑과 신부 외에 신붓집 웃손과 하임, 짐꾼이 함께 간다. 신붓집 웃손은 신랑집의 웃손과 마찬가지로 신부의 손윗사람이 대표로 신랑집을 방문하는 것이다. 하임은 평소 신부와 마음이 잘 맞는 사람 중에서 혼인하여 아들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고 지표를 흐르는 물줄기. 해남 지역은 두륜산[700m], 대둔산[670.2m], 달마산[470m], 운거산[300m], 갈두산[160.0m] 등이 연봉을 이루고 있는 북동-남서 방향의 소백산 말단에 위치하고 있다. 구릉지와 간척평야가 분포하고 있는 서남부는 하천 발달이 미약한 편이며, 산지 지역을 이루는 북동부 지역을...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학가(鶴加)는 마을 뒷산이 학 형국이고 실제로 많은 학이 날아와 앉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평리와 도가리, 미야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송지면 학가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학가마을, 신평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학가마을은 영암 땅에 살던 전주최씨 최식(崔...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학가리 학가마을에서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학가리 학가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이튿날 저녁이 되면 마을 제사로 학가리 학가 거래[거리제]를 모신다. 학가마을에는 옛날부터 마을 입구에 할아버지신이 있어서 호랑이나 무서운 짐승, 잡귀가 들어오지 못하게 막았다고 한다. 학가리...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법정리. 학동리(鶴洞里)는 마을 산세가 학처럼 생겼다고 하여 ‘학골’, ‘학동’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본래 해남군 문내면 지역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여 개편에 따라 삼정리, 보동리, 안동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학동마을, 삼정마을, 충무마을, 명량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학동마을에서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온과 풍년 농사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학동리 학동 당제는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학동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온과 농사의 풍요로움을 기원하며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학동리 학동 당제는 그 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마을공동...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학의리(鶴儀里)는 마을 뒷산인 제봉산이 학이 두 다리를 뻗고 날아가는 형국이라 학의(鶴儀)라 하였다. 본래 해남군 산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포면의 학의리, 망미리, 오호리, 금자리, 산일면의 용소리 일부를 병합하여 해남군 마산면 학의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학의(鶴儀)마을, 용소(龍沼)마...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한국국악협회 산하 해남지부. 한국국악협회 해남지부는 1987년 창립되어 해남 지역에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악을 보존·육성하고 발전시키려고 애쓰는 문화예술 단체이다. 사단법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국예총] 해남지회에 소속되어 있다. 한국국악협회 해남지부는 풍물놀이, 판소리, 한국무용 등을 통해 지역민들에게 국...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고도리에 있는 한국국토정보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산하의 지사. 한국국토정보공사는 지적 측량, 공간 정보 사업, 지적 사업 등을 수행하는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전국에 12개의 본부와 186개의 지사를 두고 있다. 한국국토정보공사는 1938년 조선지적협회, 1949년 대한지적협회를 거쳐 1977년 대한지적공사로 명칭을 바꾸었으며, 20...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산하 기관. 한국농어촌공사 해남완도지사는 농어촌 정비 사업과 농업 기반 시설 관리, 그리고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을 실시하는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의 지사이다. 한국농어촌공사 해남완도지사는 환경친화적인 농어촌 정비사업 및 농어업 기반 시설을 종합 관리하여 농어업 생산성 증진 및 농어업인의 소득 향상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학 단체 지부. 한국문인협회는 문학의 향상 발전 및 회원 상호 간의 친목 도모, 작가의 권익 옹호, 외국 문학과의 교류 촉진을 목적으로 1961년에 창립된 문학단체이다. 한국문인협회의 전라남도 해남 지역 지부인 한국문인협회 해남지부는 해남 지역에 대한 긍지를 느끼며 지역문화 창달에 매진해 나간다는 목적으로 희곡 작가 김봉호 등...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한국미술협회 산하 미술 단체. 한국미술협회 해남지부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국 예총] 해남지회 미술 분과 협회이다. 한국미술협회 해남지부는 해남 지역 예술인들의 친목과 권익을 증진하고 민족 미술과 지역 미술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한국미술협회 해남지부는 1988년 10월 김철수,...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문화예술 단체. 한국민예총 해남지부 미술위원회는 2007년 12월 8일에 결성된 대중적인 미술 단체이다. 한국민예총은 1987년 6월항쟁 이후 민족예술을 지향하는 예술인들의 상호 연대 및 공동실천을 목적으로 1988년 12월 23일에 설립된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을 줄여서 부르는 말이다. 한국민예총 해남지부 미술위원회는 지역문화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산하 지부. 한국사진작가협회 해남지부는 2013년 4월 6일에 창립한 전라남도 해남 지역 사진작가들의 조직으로, 2019년 현재 해남군 해남읍 해리 176 백두4차 501호에 있다. 해남사진협회, 해남사협이라고도 하며,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국예총] 해남지회에 소속되어 있다. 한국사진작가협회...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지역 생활 음악인 단체. 한국생활음악협회 해남지부는 2006년 3월에 결성된 기타 동아리인 ‘땅끝울림’을 모체로 하고 있다. 땅끝울림은 해남문화예술회관에서 기타를 가르치던 기타 연주가 김영곤을 중심으로 2006년 3월에 결성된 해남 최초 기타 동아리로, 지역의 젊은 직장인을 주축으로 구성되었으며, 병원과 요양원 등 어디든 찾아가는 공연...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한국연극협회 산하 해남지부. 한국연극협회 해남지부는 1950년대부터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연극 예술을 이끌던 연극인들이 1990년 지역 연극인들의 안정적인 활동을 도모하고자 설립한 문화예술 단체로,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 문화예술회관 1층에 있다. 해남연협, 해남연극협회라고도 칭하며, 사단법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국 예...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산하 해남지부. 한국연예예술인협회 해남지부는 전라남도 해남 지역 연예인들의 친목 도모와 대내외적인 봉사 및 사회 활동, 대중문화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된 문화예술 단체로, 해남연예협회라고도 칭한다. 1985년 사단법인 한국연예예술인협회의 전남서남부 분회로 출발하여 1995년에 해남지부로 정식 인준을 받았다.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한국음악협회 산하 해남지부. 한국음악협회 해남지부는 1980년대부터 자발적으로 활동을 벌여 오던 해남의 음악인들이 모여 결성한 음악 단체로, 1993년에 사단법인 한국음악협회 해남지부로 인준받아 본격적으로 출발하게 되었다. 해남음악협회라고도 칭하며, 사단법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국예총] 해남지회에 소속되어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한국자유총연맹 산하 단체. 한국자유총연맹은 자유 민주주의 수호와 선진 한국 건설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이다. 한국자유총연맹의 주요 과업은 자유민주주의 체제 수호, 자유민주주의 이념 확산, 자유민주주의 역량 강화 활동, 성숙한 자유민주주의 구현이다. 한국자유총연맹 해남지회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옹호 및 항구적 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전기 재해 예방과 전기안전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한국전기안전공사 산하 기관. 한국전기안전공사 전남남부지사는 해남을 비롯한 강진, 장흥, 완도, 진도 등 5개 군의 전기 재난 예방 및 주민 재산보호를 위한 전기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주민생활 밀착형 공기업이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전남남부지사는 전기 재해로부터 국민...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전력공사 해남지사는 「한국전력공사법」에 의해 전원 개발 촉진, 전력 수급 안정화, 국민경제 발전 기여를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전력 본사의 정관에 따라 해남군 지역의 전력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8년 3월 남선전기 강진영업소 해남출장소 발족으로 시작하여, 1973년 한...
-
1986년 한글학회가 간행한 『한국지명총람』 중 해남 지역을 다룬 편. 『한국지명총람』은 한글학회가 1964년부터 조사 정리하여 1966년에 제1권 「서울편」을 시작으로 하여 1986년 제20권 「경기편·하」로 완간한 우리나라의 모든 땅 이름을 수록한 사전이다. 『큰사전』과 함께 한글학회의 2대 편찬사업으로 1964년 간행 작업을 시작하여 22년 만에 완성하였다. 양장...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행하는 풍속. 한식(寒食)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을 말한다. 어느 해나 청명(淸明) 안팎으로 드는데, 양력으로 4월 5일, 6일 무렵에 해당한다. 더운 음식을 피하고 찬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속신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조상에게 제를 올리거나 묘를 손질하는 풍습이 전하여 온다. 이러한 풍습은 전라남도...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한자리(閑子里) 명칭이 유래한 한자마을은 자라 형태의 다섯 개 섬 가운데 가장 큰 자라섬이라 하여 ‘한자라’라 불렸다. 이것을 한자로 바꾸면서 한자라에서 크다는 뜻을 가진 ‘한’을 대(大)가 아니라 음차만 하여 한(閑)으로 쓰고, 여기에 ‘라’가 탈락되어 한자(閑子)가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조선시대 말엽 광동진씨...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한자리 징의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한자리 징의마을은 매년 정월대보름에 거리제[거릿제]와 헌식제를 지낸다. 정월대보름 새벽에는 마을회관 앞에 각 가정에서 준비한 여러 개의 제상을 놓고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거리제를 지내고, 아침이 되면 군고[...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해남 사람을 가리켜 전해 오는 이야기. 「한포와 풋나락」은 물감자, 풋나락, 한포, 몽생이 등은 순한 성품의 해남 사람을 지칭한다는 이야기이다. 「한포와 풋나락」은 2016년 9월 8일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 80-5 해남문화원 문화사랑방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김금수[남]과 김용호[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고랑을 이동식 그물로 막아 물고기를 잡던 어로 방식. 일반적으로 개맥이[개막이]는 해안가에 ‘말장’ 혹은 ‘마장’이라 부르는 나무를 반(半)타원형으로 박고 그 밑바닥에 그물 일부를 묻어 고정해 두었다가 만조 직전에 묻지 않고 남아 있는 그물을 들어 올려 말장에 고정해 물이 다 빠질 무렵 고기를 잡는 방법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
전라남도 해남군 황토밭에서 생산되는 고구마. 해남은 봄철 고구마를 심기 전에 빗질한 듯 잘 갈아 놓은 황토밭이 끝없이 펼쳐져 장관을 이룬다. 땅끝마을 해남은 깨끗한 자연 환경과 풍부한 일조량, 질 좋은 황토 때문에 전국 최대 고구마 주산지로 꼽히고 있다. 해남 고구마는 당도가 높고 저장성도 뛰어나다. 2008년 1월 30일 해남 고구마는 농림축산식품부 지리적...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해남 고구마를 재료로 하고 고구마 모양으로 만든 빵. 전라남도 해남 지역은 국내 고구마 생산량의 12%, 전라남도 고구마 생산량의 51.7%를 차지하는 명실공히 고구마 주요 생산지다. 해남 지역은 고구마 재배에 적합한 토질을 가지고 있고, 겨울에도 온난하여 저장성이 좋아 오래전부터 고구마 재배 최적지로 알려져 왔다. 해남 고구마빵의 모양...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사랑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해남 금강골 사랑바위」는 해남군 해남읍 금강저수지 인근에 위치한 사랑바위의 유래와 영험함에 대한 이야기이다. 「해남 금강골 사랑바위」는 2016년 5월 17일 해남군 해남읍 해리 152-8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박동인[남]이다. 2017년 해남군에서 펴낸 『설화로 꽃피는 땅끝해남...
-
전라남도 해남군 연안에서 생산되는 김. 김은 해남군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다. 김이 생산되는 겨울철에는 물김국이나 초무침이, 여름에는 시원한 김냉국이 식탁에 오른다. 바다의 원초적인 맛, 물김 주산지인 해남의 겨울 바다는 김 양식장이 즐비하게 늘어서 색다른 풍경을 선사한다. 어민들은 새벽에 나서 김을 수확하여 위판을 보고, 오후에 김발을 뒤집거나 어장을 돌보러 바다로...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동해리에 있는 정보화 마을. 김치마을은 행정구역상 해남군 북평면 동해리(東海里)에 있다. 주민들은 마을을 살리기 위해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특산품인 배추를 가지고 김치 관련 체험 산업을 진행하기로 하였고 2007년에 김치마을이라는 이름으로 정보화 마을에 선정되었다. 동해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멀리 바다가 보이고, 마을 방향이...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비자나무 숲. 비자나무는 주로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높이 25m까지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지만 3년 정도 자라면 갈색으로 변한다.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 등 주로 남쪽 지방에 자생하는 상록 교목이다. 넓게는 일본에도 분포하고 있다. 목재는 바둑판, 장기판 등을 만들고, 종자는 기름을 추출하고 잎과 가지 등은 모...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금풍리에 있는 1968년에 건립된 단군영당 유허비. 해남 단군영당 유허비(海南檀君影堂遺墟碑)는 현재의 해남 성내리 단군전으로 단군 영정을 모시기 전에 단군을 모시고 있었던 화산면 금풍리 자리에 세워진 유허비다. 1968년에 건립한 것으로 이성술이 짓고 이문수가 글씨를 썼다. 현재 이청우가 소유하고 관리하고 있다. 해남 단군영당...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에 있는 달마산의 미황사 주변 명승지.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海南達摩山美黃寺一圓)은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달마산에 있는 미황사 주변을 말한다. 미황사는 한반도 육지의 최남단에 있는 사찰이며, 한반도의 끝자락에 있는 땅끝마을 해남을 병풍처럼 둘러싼 달마산 기암괴석 기슭에 있다. 해남읍에서 남쪽으로 약 28㎞ 거리에 있다...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닭 한 마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해 코스로 내는 향토 음식. 해남 닭코스 요리는 시골에서 키운 닭 한 마리를 부위별로 다양하게 조리하여 차례대로 내는 코스 요리이다. 닭 요리는 어느 지역에나 있지만 해남닭코스요리는 코스 요리로 특히 유명하다. 해남 닭코스 요리는 1970년대 닭백숙을 팔던 작은 음식점에서 유래하여 해남을 대표...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있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왕벚나무 자생지. 왕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yedoensis Matsum[Cerasus nudiflora (Koehne) T.Katsuki & Iketani]이다. 왕벚나무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나무로 원산지는 한국이다.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는 1966년 1월 13일 천연기념물 제...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大興寺)는 우리 국토의 최남단에 있는 두륜산(頭輪山)[700m]을 배경으로 자리 잡은 사찰로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의 본사이다. 현재 해남, 목포, 영암, 무안, 신안, 진도, 완도, 강진, 광주 등 9개 시군의 말사를 담당한 서남해 지역의 중심 사찰이다. 두륜산은 예로부터...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윤씨 집안에서 전수되어 상품화된 메주로 만든 생장. 해남 동국장은 윤선도의 후손인 해남윤씨 가문의 며느리 한안자에 의해 상품화된 전통적인 장류이다. 해남 동국장을 개발한 명인 한안자는 2010년 농림수산식품부 지정 대한민국 식품명인 제40호로 지정되었다. 동국장(東國醬)이라는 용어는 1766년 유중림(柳重臨)이 편찬한 『증보산...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행정안전부 지정 정보화 마을. 주변에 소나무가 울창하고, 마을 앞 바다가 호수처럼 잔잔하다 하여 송호(松湖)라 하고, 또한 땅끝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남 땅끝 송호마을이라 하였다. 본래 영암군 송지종면(松旨終面)에 속하였다가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편입되...
-
해남 백포만을 중심으로 활약하였던 고대 해양세력. 백포만은 해남반도의 서해 남부에 위치하며, 화산면의 남서 연안과 현산면의 서안, 그리고 송지면의 북서 연안으로 둘러싸여 있다. 백포만의 이름은 현산면의 백포리라는 마을 이름에서 유래한다. 백포만의 서쪽 건너편에는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큰 섬 진도가 있고, 그 사이에 명량해협이 있다. 백포만은 우리나...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금평리에 있는 동백나무 군락과 비자나무 군락이 혼재되어 있는 숲. 해남군 화원면 금평리 서동사 근방에 있으며, 식물생태학적 가치가 높은 숲이다. 해남 서동사 동백나무·비자나무 숲은 2011년 8월 26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245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동백나무는 약 140여 본이 있으며, 흉고 직경이 40~45㎝ 사이이며 높이는 약...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 해남군청 안에 있는 곰솔. 1555년(명종 10) 일본 왜선 약 60척이 현재의 전라남도 완도군 달도와 해남군의 남창리를 침략하였다. 당시 해남현감인 변협(邊協)[1528~1590]이 왜구를 물리쳤고, 공을 인정 받아 장흥부사로 승진하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해남 동헌에 나무를 심고, 수성송(守城松)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현재 해남...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생산되는 쌀. 해남군은 간척지가 잘 발달하였고, 농지가 정비가 잘 되어 있어 논농사에 유리해 예부터 쌀을 주로 재배해 왔다. 쌀은 해남군의 대표적인 주산물로 농가 경제의 큰 축을 차지하고 있다. 2000년부터 시작된 대규모 간척 공사로 2015년 기준으로 해남군의 논 면적은 21.550㏊, 쌀 생산량은 145,776톤으로 군 단위 지자체 중...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무속 의례. 전라남도 해남군을 비롯한 전라도 지역에서는 죽은 이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례로서 씻김굿이 전승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죽은 이를 천도하는 무속 의례를 오구굿·오귀굿·진오귀굿 등으로 부르는 지역이 많은데, 전라도에서는 죽은 이의 영혼을 씻어 준다는 의미가 강조되어 씻김굿으로 불린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에 있는 공룡, 익룡, 새발자국 화석군과 퇴적층군 산지.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는 많은 공룡 발자국 화석과 익룡 발자국 화석, 새 발자국 화석이 세계에서 한 장소에서 발견되는 하나뿐인 화석지로 국내외 학계에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1998년 10월 17일 천연기념물 제394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월...
-
전라남도 해남 지역 바다에서 생산되는 전복. 해남군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해안선이 길고 갯벌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지역으로 예부터 해조류와 조개류 등이 주로 생산되었다. 해남군은 다시마와 미역 등 전복의 먹이가 되는 해조류를 연중 생산할 수 있어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갖추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해남의 토산품으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옥돌을 쪼아 다듬어 생활 도구나 치렛거리 등으로 맵시 있고 쓸모 있게 만드는 공예. 옥(玉)은 동양 문화권을 대표하는 보석이며, 일찍부터 사회 신분을 나타내는 장신구로도 이용되었다. 해남군은 예로부터 옥매산광산과 성산광산에서 채굴한 옥돌을 가공하여 만드는 옥공예품으로 유명하였다. 특히 옥매산이 있는 황산면 옥동리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옥공...
-
1980년 5월 21일부터 24일까지 전라남도 해남군 일원에서 전개되었던 민주화운동.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김재규에 의해 사망하는 10·26사건이 발생하면서 유신체제가 막을 내렸다.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하나회 세력들은 1979년 12월 12일 군사쿠데타를 일으켜 군을 장악하였고, 이어 1980년 5월 17일에는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10·26사건 발생 때부...
-
1950년 7월 경찰의 예비검속에 해남 지역의 보도연맹원이 학살당한 사건. 국민보도연맹(國民保導聯盟)은 1949년 6월 15일 좌익 전향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단체로 좌익 세력 색출 및 통제와 회유를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1949년 12월 13일 전라남도에서도 국민보도연맹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이후 각 군별 국민보도연맹이 결성되었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이승만 정부...
-
1894년 동학농민운동 당시 농민군이 해남을 비롯한 전라도 각 고을의 관아에 설치하였던 기관. 동학교도가 각 고을의 집강이 되어 지방의 치안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집강소는 고을에 따라서는 수령이 반발하여 집강소의 설치를 거부한 곳도 있었다. 1894년(고종 31) 전주화약(全州和約)을 체결한 후 농민군은 자신의 고을로 돌아가 집강소를 설치하여 폐정개혁을 실시하였다. 해남...
-
전라남도 해남군의 여덟 군데 아름다운 경치. 해남 산하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해남 팔경(海南八景)으로 금강폭포(金剛瀑布)[해남 금강골], 미암청풍(眉岩淸風)[금강산 미암산], 홍교유수(紅橋流水)[해남읍 홍교], 호산명천(葫山名泉)[호산 문필봉], 연봉제월(蓮峰霽月)[덕음산], 두륜귀운(頭輪歸雲)[두륜산], 남포귀범(藍浦歸帆)[어성교], 은사효종(隱寺曉種)[은적사...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밥, 국, 반찬 등의 한국 전통 음식으로 풍성하게 차린 정식. 한정식의 사전적 의미는 식당에서 음식의 종류와 가짓수를 미리 정해 놓은 한국식의 음식 또는 식사를 뜻한다. 3첩 반상부터 12첩까지 신분에 따라 반찬의 가짓수가 정해져 있었던 과거의 반상과는 달리 현대의 한정식은 전통적으로 전하여 내려오는 식단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음식을 낸다는 의미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신안리에 세운 항일운동 추모비. 해남 항일운동 추모비(海南抗日運動追慕碑)는 해남군 해남읍 신안리에 있다.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2013년 7월 9일 해남항일독립운동희생자추모사업회가 건립하였다. 해남항일독립운동희생자추모사업회는 광복 72주년을 앞두고 2013년 해남 항일운동 추모비를 건립하였다. 1930년대...
-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에서 겨울철에 재배되는 배추. 따뜻한 해양성 기후인 해남군은 한겨울에도 배추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재배 환경을 지니고 있다. 해남군은 겨울철에 끝없이 펼쳐진 푸른 배추밭이 장관을 이루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한다. 전국 최대 배추 생산지인 해남군에서 자란 겨울배추는 미네랄이 풍부한 황토에서 해풍을 맞고 자라 맛과 영양이 뛰어나다. 또한 해남겨울배추는...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팔산리에 있는 노숙인 요양 시설. 해남겨자씨공동체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세상에서 소외된 육체적, 정신적으로 불편한 사람들이 주의 사랑과 신앙 안에서 새 삶을 영위하며, 사회 재활을 지향하여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0년 해남읍 용정리에 창고를 임대하여 미신고시설로 사랑의집을 개원하였다. 1993년 현 위치에 부지를...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해남군 관할 치안 행정 기관. 해남경찰서는 해남군 지역을 중심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법과 질서를 수호하는 치안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8년 1월 목포경찰서 해남분주소가 설치되었고, 1909년 1월 해남경찰서로 승격되었다. 1946년 1월 16일 미 군정청이 전라도 경찰청 산하에 해남경찰서를 설치함...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공립고등학교. 해남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따뜻한 인성과 미래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이다. 교육 목표는 네 가지이다. 첫째는 기초·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사고와 창의력을 발휘하는 사람[창의 실력인]이다. 둘째는 나눔과 배려의 인성을 함양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공동체 봉사인]이다. 셋째는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여 미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협업 기관.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고용센터[고용부], 일자리센터[자치단체], 복지지원팀[복지부, 자치단체],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여가부], 자원봉사센터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하여 고용, 복지, 자원봉사 등의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4년 12월 15일 해남고용복지플러스...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공공도서관. 해남공공도서관은 독서 문화를 통하여 지역 주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지식 정보 제공과 다양한 문화 서비스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종합 문화 공간이다. 해방 이후 국공립도서관은 전국적으로 17개에 불과했다. 공공도서관이 확대된 시기는 1970년대이다. 이후 공공도서관이 점점 늘어나 1975년에는...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에 있는 공룡박물관. 해남공룡박물관은 호남에서 최초로 발견된 해남 우항리 공룡과 익룡의 발자국 화석 산지를 간직하고, 자연 문화 유산으로 체험하게 하기 위하여 설립한 박물관이다. 해남 우항리의 공룡화석지를 널리 알리고, 자연사 교육장이자 관광지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한 공룡박물관이다. 2007년 4월 27일 개관하였다. 2...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남외리에 있는 공립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협업과 배려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기술인 육성이다. 교육 목표는 도덕인, 실력인, 기술인, 애향인, 건강인 다섯 가지이다. 교훈은 ‘성실’이다. 1986년 3월 2일 해남고등학교 직업과정반을 설치하였다. 1993년 4월 8일 해남실업고등학교로 개교하였고, 기계과 4학급, 건축 2학...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영신리에 있는 법무부 소속의 교정 기관. 수형자에게 교육, 교화활동 및 직업훈련 등을 실시하여 출소 후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각종 사회복귀 프로그램 정책을 수립하고, 일선 교정 시설에서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과 관리·감독을 하는 곳이다. 광주지방법원 해남지원과 광주지방검찰청 해남지청 관할 피의인·피고인과 전국에서 형이 확...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해남군 교육 업무를 지원하는 교육행정기관. 우리나라 교육행정기관은 중앙정부에 교육부가 있고, 교육부의 지휘를 받는 시도 단위의 도교육청, 도교육청의 지휘를 받는 시군구 단위의 교육지원청이 있다. 교육부는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을 담당하고 있는 반면, 시도교육청은 고등학교를, 교육지원청은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담당하고 있다. 교육지원청의 이...
-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 해남군은 동쪽으로는 강진군, 북쪽으로는 영암군과 접하며, 바다를 사이에 두고 북쪽으로는 목포시, 서쪽으로는 신안군, 남서쪽으로는 진도군, 남동쪽으로는 완도군과 접하고 있다. 해남군의 가장 동쪽은 북일면 내동리[동경 126° 44′ 06″, 북위 84° 27′ 12″]이고, 가장 서쪽은 화원면 주광리[동경 126° 15′ 17″,...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지역 주민의 건강한 가정 생활과 다문화 가족을 지원하는 기관. 가족의 유형별로 이원화 되어 있는 가족 지원 서비스를 가족의 유형에 상관없이 한 곳에서 다양한 가족에 대한 보편적이고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또한 다문화 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가족과 자녀 교육·상담, 통·번역 정보 제공, 역량...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용정리에 있는 농업기술과 정보를 보급하는 해남군 직속 기관. 해남군 농업기술센터는 해남 지역 농촌 주민들을 대상으로 식량작물 기술 보급, 학습 단체 육성 지도, 시설·노지채소, 과수, 화훼, 특용작물 기술 지도, 축산 및 사료작물 기술 지도, 수출 농산물 육성, 농가 경영개선 및 농업 정보화, 농업인 교육훈련 등의 기능을 목적으로 설치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비영리 사회단체. 새마을운동회는 국내 최대 사회단체이며, 새마을운동중앙회는 시군에 산하 단체를 두고 지도자, 부녀회 조직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해남군 새마을회는 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부응하는 새마을운동을 전개하여 근면, 자조, 협동의 새마을정신의 명맥을 잇고 자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4년...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해남군 선거 사무 관리 기관. 해남군의 공정한 선거 관리 및 정당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3년 1월 16일 법률 제1255호로 선거관리위원회법이 제정됨과 더불어 1963년 1월 2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창설되면서 해남군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되었다. 해남군 선거관리위원회 사무실은 해남군청 내에 있다가...
-
전라남도 해남군의 소방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조직. 해남군 의용소방대는 「소방기본법」 제37조[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업무를 보조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또는 특별자치도, 도, 시, 읍, 면에 의용소방대를 두며, 그 지역의 주민 가운데 희망하는 자로, 그 설치·명칭·구역·조직·임명·정원·훈련·검열·복제·복무 및 운영 등에 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대한민국재향군인회의 해남군 지역 지부. 해남군 재향군인회는 병역 의무를 마친 지역 출신 전역 군인들의 상호 친목과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재향군인회법에 의해서 설립된 단체이다. 해남군 재향군인회는 재향군인 상호간 상부상조를 통해 친목을 도모하고, 회원의 권익 향상 및 국가 발전과 지역사회의 공익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수성리에 있는 청소년 상담 복지 센터. 해남군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여성가족부 산하 준정부기관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산하 해남 지역 청소년 상담 복지 센터이다. 「청소년복지 지원법」에 따라 해남 지역의 위기청소년과 부모에게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상담뿐만 아니라 위기청소년 긴급 구조, 자활, 의료지원 서비스...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체육 단체. 1963년 출범한 해남군체육회는 2015년 정부 정책에 따라 해남군생활체육협회와 통합하여 해남군 체육회로 전환되었다. 해남군 체육회는 전문체육 및 생활체육을 지원 육성하고 각종 체육대회를 주관하고 지원하며 지역사회의 화합과 개인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체육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남군에는 해남군 체육회 외에...
-
해남 군민의 행복한 평생학습과 군민의 자아실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해남군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원은 지역 주민의 평생학습을 돕기 위하여 설립된 평생교육기관이다. 1980년대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이 설립되기 시작하였으나 활성화된 것은 1990년대부터이다. 1995년 학교의 평생교육 기능 확대가 포함된 ‘5·31교육개혁’과 1999년 학교의 정규 교...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진법군고놀이를 보존·전수하고자 만든 단체.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풍물을 군고라 한다. 임진왜란 때 서산대사가 승병들이 전투를 하기 전에 진을 짜고 사기를 높이는 데에 풍물놀이를 활용하면서 전승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그래서 과거에는 승병들이 즐기다가 민간에 전파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해남 지역에서는 송지면 산정리 미...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귀농인과 귀촌인을 지원하는 단체. 해남군귀농귀촌희망센터는 전라남도 해남군으로 귀농과 귀촌을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맞춤형 종합 상담, 영농 체험 프로그램, 다양한 귀농인 지원 사업, 귀농 학교 운영 등 귀농과 귀촌에 관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4년 농림축산식품부의 도시민 농촌 유치 공모 사업에...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군립도서관. 해남군립도서관은 지역 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독서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독서를 생활화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해남군립도서관은 교육·문화·정보의 산실로서 해남군의 문화발전 및 지역민의 정서 함양과 평생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93년 공공...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 해남문화예술회관에 있는 군립 합창단. 해남군립합창단은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활동하는 합창단으로, 관내 각종 공연·음악 활동을 지원하며 해남 지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해남군립합창단은 군민의 정서 함양을 위한 각종 공연과 지역의 문화예술 보존·육성을 위해 창단되었다. 1991년에 결성된 ‘해남어머니합창단’을 모태로...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발행하는 주간 지역신문. 2013년 10월 10일 박성기를 대표이사로 해남군민신문이 설립되었고, 2013년 10월 10일 『해남군민신문(海南郡民新聞)』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해남군민신문』은 대형 판형, 주간 12면으로 발행된다. 『해남군민신문』은 해남의 주요 현안과 지역의 소식을 주로 전하는 신문이다. 해남의 각종 통계와 현황을...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매년 5월 1일에 개최되는 기념행사. 해남군은 군민의 뜻을 모아 1973년부터 매년 11월 1일을 해남군민의 날로 정하고, 기념식과 문화행사, 체육행사 등을 개최하였다. 1991년 9월 19일에는 ‘해남군민의상 조례’를 제정하여 매년 해남군민의 날에 시상하였다. 1982년 3월 4일 ‘해남군민의 날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였는데, 군민의 날의...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해남군민의 날에 군민의 이름으로 주는 상. 해남군민의 상은 헌신적인 봉사 정신으로 해남군 발전에 크게 기여한 자, 문화예술의 창달, 군민 화합, 미풍양속 선양 등 군민의 표상이 될 만한 본보기를 보인 개인[외국인 포함] 또는 단체에 수여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해남군민의 상은 1974년에 제정되었으며 그해 첫 수상자를 선정하고, 해남군민의 날 기념식 행...
-
전라남도 해남군 관내 경찰서와 함께 지역민들의 안전과 치안 유지 및 범죄 예방을 위해 설립된 민간 사회단체. 해남군방범연합회는 해남군 경찰서와 협력하여 조직된 민간 사회단체로 범죄 예방에서부터 야간 순찰, 자연 정화 활동, 각종 행사 시 교통 통제는 물론 청소년 선도 등 해남의 치안 및 안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해남군방범연합회는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지역발전과 군민 화합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사회단체. 해남군번영회는 해남군의 번영과 군민 화합,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이웃 사랑을 실천하기 위한 봉사활동을 펼치고자 설립되었다. 해남군번영회는 해남군 사회단체 1호로 1953년 제헌국회 의원인 송봉해가 초대회장에 취임하면서 발족되었다. 2018년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지역 주민의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 및 보건 향상을 위해 운영되는 지역 보건의료기관. 해남군보건소는 지역 주민들에게 한 차원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들의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2년 12월 해남군보건소를 해남읍 성내리에 개소하였다. 1985년 8월 해남읍 해리에 지하 1층, 지상 3...
-
전라남도 해남군의 과거와 현재를 집대성하여 1980년 발행한 향토지. 『해남군사(海南郡史)』[1980]는 해남 지역과과 관련한 각 분야의 내력과 현황, 그리고 미래의 설계를 편찬한 책으로 해남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1980년 7년 동안의 집필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해남군사』[1980]는 해남 지역 전 분야의 역사와 현황 정리를...
-
1980년 『해남군사』를 증보하여 1995년 발행한 향토지. 『해남군사(海南郡史)』[1995]는 1980년 발행된 『해남군사』를 전면 증보하여 간행한 책이다. 『해남군사』[1995]는 1980년에 간행된 『해남군사』를 보완하고, 그동안 진행된 새로운 내용을 기록하려는 목적으로 간행되었다. 『해남군사』[1995]의 발행일은 1995년 10월 1일이고,...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읍내리에 있는 전라남도사회복지협의회 산하 해남군 지역 지회. 해남군사회복지협의회는 사회 취약계층의 복지 증진을 위해 해남군내 복지 기관 16곳이 연합하여 창립한 사회복지 단체이다. 해남군사회복지협의회는 지역 내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고 민관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창립하였다. 2012년 10월 전라남도사회복지협의회에서 해남 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산림조합. 해남군산림조합은 해남군 관내의 산림소유자와 임업인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촉진하고 구성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해남군산림조합은 1949년 중앙산림연합회와 도산림연합 그리고 군산림조합 조직의 사단법인으로 출발하였다. 1962년 해남...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안동리에 있는 수산업에 종사하는 어민과 수산물 제조업자의 협동 조직체.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은 어민, 수산업자, 수산 관련 제조 및 가공업자의 공동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수산 관련 협동조합이다.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은 어민과 수산 제조업자의 협동 조직을 촉진해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과 수산업의 생산력 증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경...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여성 단체로 여성 단체 간의 활동 방향과 내용을 협의하고 연대, 활성화하기 위해 발족된 단체. 여성 단체 간의 협력과 친선을 도모하고, 여성 단체의 발전과 복지 사회를 이룩하는 일에 여성이 적극 참여하도록 권장하는 한편 소외된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는 단체이다. 해남군여성단체협의회는 해남군에서 활동하는...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해남군의 정책 결정 및 행정 사무 심의·의결 기관. 1988년 4월 「지방자치법」의 개정으로 지방자치제가 부활함에 따라, 1991년 3월 26일 지방의회 의원 선거가 전국적으로 실시되었고, 1991년 4월 15일 해남군의회가 개원하였다. 지방의회는 「헌법」 제118조와 「지방자치법」 제30조 및 제31조의 규정에 의하여 주민의 보통·...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고도리에 있는 장애인 종합복지관. 해남군장애인종합복지관은 장애로 인해 소외받지 않고, 지역사회 안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동등하게 보장받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재활 및 복지 서비스를 펼치고 있는 장애인 복지시설이다. 해남군장애인종합복지관은 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종합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여 각 개인의 잠재 역량이 최대한 발현될 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해남군 관할 자치 행정기관. 해남군청은 기초 지방자치단체인 해남군의 행정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해남군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해남군의 행정 및 민원 등 업무를 총괄하고, 주민 복지의 증진과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라도 해남현(海南縣)이 나주부(羅州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노인 복지시설. 해남노인종합복지관은 해남 출신 기업가인 박창길 이사장이 사재를 털어 건립한 해남 유일의 노인 종합 복지시설이다. 노인 및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각종 지원사업을 펼쳐 지역사회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해남노인종합복지관은 소외계층으로 밀려난 지역의 노인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복지 서비...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인성], 심신이 조화로운 학생[감성], 스스로 실력 있는 학생[지성]이다. 1908년 전국에서 사학 설립 운동이 거세게 번지던 물결을 타고 해남 최초 학교인 사립 미산보통학교가 세워졌다. 해남의 토호였던 황산면 우항리 이재량(李載亮) 참판과 해남읍 읍내리 김익준, 해리 만석꾼이었던 민영옥(...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매년 2월 개최되는 전국 마라톤대회. 해남땅끝마라톤대회는 국토 최남단 땅끝 해남에서 개최되어 마라톤 동호인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관심과 호응을 받고 있는 대회이다. 제1회 해남땅끝마라톤대회는 해남군과 해남신문사가 공동주최하고 해남군체육회, 전남육상경기연맹, 해남육상경기연맹이 주관하여 2004년 4월 5일 우슬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2011년과...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읍내리에 있는 상설 시장. 해남군에서 가장 활성화된 시장으로 해남 교통의 중심지에 있는 상가건물형 소형 시장이다. 해남 지역 유일의 상설 시장이다. 해남매일시장은 본래 존재하던 해남 5일장[개시일 1일, 6일]이 해남읍 고도리로 이전한 자리에 1981년 개장된 시장이다. 1981년에 개장하여 2002년부터 2006년까지 해남매...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해남지부에서 발간하는 동인지. 1972년 7월 31일 한국문인협회 해남지부가 인준되고 초대 지부장 김봉호가 취임하였다. 해남 지역에는 이전에 통권 11권까지 발간된 『두륜문학』이 있었지만 계속 발간하기가 어려워 1972년 새로 『한듬문학』을 발간하였다. 이후 2003년에 『해남문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해남문단』의 판형...
-
전라남도 해남군에 기반을 둔 문학 단체인 해남문학회에서 발간하는 동인지. 『해남문학』은 1988년에 창립된 해남문학회에서 매년 발간하고 있는 문학 동인지이다. 1987년 11월 23일부터 문학회 창립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다가 1988년 12월 17일 해남문학회가 창립되었고, 1988년 12월 『해남문학』 창간호를 출간하였다. 초대 회장은 정용채이고 부회장은...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학 단체. 해남문학회는 해남군 출신의 문인 열일곱 명이 해남 지역 문예활동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목적으로 1987년 11월 23일부터 문학회 창립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하여, 1988년 12월 17일에 창립한 문학 단체이다. 초대 회장 정용채가 4대까지 회장을 역임하였고 부회장에는 윤병진, 임문식, 천병국, 정동수가, 사무국장으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복합문화시설. 해남문화예술회관은 복합문화시설로 군민광장과 문화예술회관, 도서관을 포함하는 건물이다. 해남문화예술회관은 교육·문화·정보의 산실로서 해남군의 문화 발전과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및 지역민의 문화적 정서 함양을 위해 건립되었다. 해남문화예술회관의 군민광장 부지는 1993년 공공청사[구 교육청·...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수성리에 있는 지역문화 예술 진흥 기관. 해남문화원은 지역 고유문화의 개발·보급·보존·전승 및 선양, 향토사 조사 연구 및 사료의 수집·보존, 지역문화 행사 개최, 지역문화에 관한 자료의 수집·보존 및 보급, 지역 전통문화의 국내외 교류, 지역문화 창달을 위한 사업을 비롯하여 기타 지역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의 두륜산 도립공원에서 매년 농수산물 수확기에 개최하는 축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대흥사의 두륜산 도립공원에서 매년 농수산물 수확시기 맞춰 개최하는 음식 축제이다. 해남의 대표 농수산물[쌀. 배추, 김, 고구마]을 중심으로 해남의 모든 농·수·축산물을 음식 소재로 응용하여 해남만의 특화 음식을 개발하고 음식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음식관광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개최하였...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2007년에 직접 개설해 운영하여 온 인터넷쇼핑몰. 전라남도 해남군에서는 우수 농수산을 엄선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2007년 7월에 인터넷쇼핑몰을 개설하고, ‘해남의 쌀이 미소를 짓는다.’라는 의미에서 해남미소(海南米笑)라 이름 붙였다. 해남미소는 해남 지역에서 생산되는 우수 농수특산물의 판로를 개척하고 고객 확보를 통해 농어...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지역방송국. 해남방송(海南放送)은 긍정적이고 정직한 언론, 모두가 중심인 따뜻하고 편안한 사회를 지향하고 있으며, 해남군의 생생한 소식 전달에 기여하고자 창간하였다. 창간인은 해남신문사 대표 민인기이다. 해남방송은 IPTV 기반의 인터넷 방송 형태이며,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하나의 소재를 서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질문으로 배워 활용하는 으뜸이, 스스로 행동하고 남을 배려하는 참된이, 자연과 더불어 심신을 가꾸는 건강이, 문화와 예술을 즐기는 멋진이다. 1925년 1월 10일 대정공립소학교(大町公立小學校) 인가를 받았고, 1946년 4월 22일 해남서공립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91년 3월 1일 특수학급[1학급]을 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소속 성당. 1950년 목포에서 천주교 신부가 해남군 해남읍에 찾아와 전교하면서 신자를 얻어 해남공소로 시작하였다. 나중에 신자가 많아지고 규모가 커지자 해남군 해남읍 지역 모임을 활성화하기 위해 1954년 해남군 해남읍 서성리에 있던 예락공소 등을 편입하여 해남성당을 설립하였다. 1950년 1월 목포 산정동 성당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세무 행정기관. 해남세무서는 해남군, 장흥군, 강진군, 완도군, 진도군에 관계된 내국세 부과·감면·징수 등과 같은 세정(稅政)을 담당한다. 해남세무서는 국세청 산하의 광주지방국세청에 소속되어 내국세의 부과·감면 및 징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광주지방세무청장의 사무를 분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해남세무...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소방 행정 기관. 전라남도 해남군 관내의 소방 안전 및 시민의 생명·재산 등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0년 4월 14일 목포소방서 해남119안전센터가 개소되었다. 1996년 12월 30일 해남소방서 설치조례가 개정 공포되고 1997년 1월 28일 해남소방서가 개서되었다. 해남소방서 관할구역은 해남군, 강진군, 완도군...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해송림. 해송림(海松林)은 바다에서 부는 강한 바람과 염분에 강하여 주로 해안가 방풍림의 역할을 하는 곰솔[해송]이 숲을 이루고 있는 것을 말한다. 해송은 나무의 색이 일반 소나무에 비교하여 어둡고 검은색에 가깝다고 해서 흑송(黑松)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곰솔의 학명은 Pinus thunbergii Parl.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발행하는 주간 지역신문. 『해남신문(海南新聞)』은 정론·직필을 실천하는 신문, 지역문화와 지역개발에 앞장서는 신문, 지방자치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신문을 지향하고 있다. 독자와 군민이 주인인 신문을 만들기 위하여 군민들의 참여로 창간되었다. 창간인은 김창섭과 김봉호이며 2019년 7월 현재 대표는 민인기이다. 『해남신문』은 매주 금...
-
1977년 남성 듀엣 가수 ‘하사와 병장’이 해남을 소재로 하여 발표한 노래. ‘하사와 병장’은 이경우, 이동근 두 명으로 이루어진 남성 듀엣이다. 두 사람은 군대 시절 음악적 교류를 나누었으며, 제대 후 듀엣을 결성하였다. 1975년경 ‘더벅머리’라는 이름으로 듀엣을 결성하여 대구에서 활동하였으며, 음악성을 평가받아 지구레코드에서 음반을 발표하였다. 그룹 이름을 ‘하사와 병장’으...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지역의 특색에 맞는 다채로운 다양한 예술 경연이 이루어지는 축제. 해남예술제는 해남 지역 6개 예술단체 주관으로 1986년부터 개최해온 지역 예술 행사로 예술 실기인들의 발표 마당을 통하여 문화예술의 저변확대를 꾀하고, 또한 학생들의 실기 대회를 병행하여 개최함으로써 꿈나무 육성에도 목적을 두고 있는 축제이다. 해남예술제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발행되는 주간 지역신문. 『해남우리신문』은 ‘따뜻한 해남, 공동체가 살아 있는 해남’을 모토로 2010년 10월 1일 창간되었다. 『해남우리신문』은 대형판형 12면이며, 매주 한 번 발행된다. 『해남우리신문』은 해남 지역의 다양한 소식을 전하는 신문이다. 1면에서는 해남의 주요 현안을 다룬다. 2면 정치, 3면과 12면...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영신리에 있는 종합병원. 해남우리종합병원은 21세기 서남해안권 의료문화를 이끌어 갈 환자 중심의 선진 병원이란 비전 아래 최선의 진료와 쾌적한 의료 환경으로 지역 의료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해남우리종합병원은 2007년 5월에 해남군 옥천면 영신리에서 해남우리병원으로 개원하였다. 개원 당시 91실 542개 병상에...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선두리에 있는 해운 여객 수송을 위한 시설. 해남군 문내면 선두리에서 우수영과 제주도 및 추자도를 배편으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해남군에서는 2013년에 우수영항의 여객선 접안시설과 여객선 터미널 등을 준공하였다. 우수영 명칭은 1479년(성종 10)부터 여수에 좌수영이 개설되면서 생기게 되었다. 우수영...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는 청소년 수련 시설. 해남우수영유스호스텔은 2008년 8월 1일에 「청소년 활동 진흥법」 제11조와 제 16조, 시행령 제5조와 제7조에 따라 해남군이 해남군 문내면에 설립하고, 사단법인 월드유스비전이 위탁 운영하고 있다. 해남우수영유스호스텔은 청소년의 심신 단련과 공동체 의식 함양, 인간과 자연 사랑을 통한 가치관의 확립, 건전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우편·체신·금융 업무 담당 기관. 해남우체국은 해남 지역의 우편·체신·금융 관련 사업이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06년 12월 1일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해남우체물취급소로 개소되었다. 이후 1909년 해남우편전신취급소, 1910년 해남우체국, 1924년 해남우편소, 1941년 해남우편국, 1947년 8월 8...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사립유치원. 원불교 정신으로 유아교육을 통해 참되고 큰 인물을 기르기 위한 목적으로 1987년 개원하였다. 1987년 3월 30일 해남원광유치원·유아원 인가를 받아 개원하였다. 원광 특별 교육활동으로는 인성교육[마음공부, 마음 일기, 칭찬 릴레이], 기초 체력 기르기[바깥놀이, 줄넘기], 생태교육[산책, 텃밭 가꾸기], 전...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도립공원 안에 위치한 청소년수련시설. 해남유스호스텔은 청소년과 지역 주민의 환경 보전 의식 고취를 위한 다양한 실천 활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또한 청소년을 위한 환경 교육과 체험 학습을 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청소년수련시설이다. 청소년기본법 제18조의 규정에 따라 전라남도 해남군이 건립하였다. 사단법인 자연사랑메아리가 위탁 받아 운영...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수성리에 있는 사립유치원.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유아교육을 통해 하나님과 사람을 사랑하는 착한 어린이를 기르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6년 4월 10일 개원하였으며, 1962년 6월 27일 해남유치원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13년 11월 1일에 설립·경영자 변경 인가[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유지재단]를 받았다. 2017년 2월 24일 제72회...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읍. 고려시대 침명현이 해남현(海南縣)으로 개칭되어 처음으로 ‘해남’이라는 지명이 등장하였다. 조선 초 직촌화 과정에서 황원군(黃原郡)·죽산현(竹山縣)과 통합되면서 현재의 해남이 시작되었다. 1409년(태종 9) 해남현이 진도군과 합하여 해진군(海珍郡)이 되고, 1437년(세종 19) 해진군에서 해남과 진도가 분리되면서 해남현이 되었다. 현재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고도리에 있는 전통시장. 해남읍5일시장은 1일과 6일에 정기적으로 열리는 해남의 대표적 5일시장이며 공설시장이다. 1964년에 개장하여 처음에는 현재의 해남매일시장 위치에 자리 잡고 있었으나, 1981년 현재 위치인 해남읍 고도리의 장소로 옮겼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해남읍5일시장 장옥 3동을 신축하였다. 2002년부터 2004...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조성된 방조제와 간척지, 인공 호수에 도래한 철새들의 풍경. 해남 지역에 농경지 확보와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해 조성된 방조제는 영암방조제, 금호방조제, 고천암[해남]방조제로, 크게 3개 방조제가 있다. 방조제 건설과 간척으로 만들어진 넓은 농경지와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호수는 영암호, 금호호, 고천암호의 3개 호수가 형성되어 있다. 해남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해남제일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존중과 참여로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무지개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는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꿈을 가꾸는 사람[자율인]이다. 둘째는 소통하고 배려하며 다름을 존중하는 사람[민주인]이다. 셋째는 학력 증진에 진력하여 자기 전문성을 높이는 사람[전문인]이다. 넷째는 공동...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종합 버스터미널. 해남군은 전라남도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군이며, 대중교통 수단 중심은 해남종합버스터미널에서 운행하는 버스이다. 해남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와 직행버스[시외버스]를 탈 수 있다. 시외버스 운영 업체는 해남교통이 유일하다. 해남교통은 해남군의 농어촌버스를 운영하는 회사이다. 해남교통 본사는 해남군 해남읍 고...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종합 병원. 해남종합병원은 최신 의료 기술 도입과 지역민을 위한 문화 및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노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 전문 시설을 건립하는 등 서남부 거점병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해남종합병원은 군민들의 건강을 지키고 지역 내 의료의 질을 높여 나간다는 목표 아래 열악한 농어촌 지역의 의료복지 서비스 증진을...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사회복지 기관. 해남군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다양한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삶의 질 저하’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1989년 12월 9일 해남종합사회복지관이 개관되었다. 해남종합사회복지관은 1988년 4월 21일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두성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1988년 11월 1일 신축 기공...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남외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해남중학교의 교육목표는 나를 가꾸고 남을 배려하는 창의와 인성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교육목표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는 바른 품성을 길러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춘 사람[도덕인]이다. 둘째는 올바른 민족의식의 함양으로 국가에 이바지하는 사람[애국인]이다. 셋째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평동리에 있는 축산업 협동조합. 해남진도축산업협동조합은 축산업 종사자들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 보호 및 축산업의 진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된 축산업 협동조합이다. 해남진도축산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의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
전라남도 해남군을 상징하고 대표하는 노래. 「해남찬가」는 전라남도 해남군의 군민의 단합과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노래이다. 해남군이 주최하는 행사나 축제 등에서 부르고 있다. 노래 가사에는 해남군을 대표할 만할 역사와 자연이 녹아 있으며, 찬란한 해남의 역사를 이어받아 미래에도 영원하자는 내용이 들어 있다. 「해남찬가」는 ‘해남군민의 날’...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 금강산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 해남천(海南川)은 해남군 해남읍 해리 금강산(金剛山)[488m]에서 발원하여 금강저수지를 거쳐 해남읍 시가지를 관류한 후 해남읍 남동리에서 남송천과 합류하여 고천암호로 유입하는 소하천이다. 해남 주민들은 금강천이라고도 부른다. 상류에는 죽산성이 있고, 해리 일대에는 금강저수지가 축조되어 있...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청년들의 사회봉사 단체인 사단법인 한국청년회의소의 해남 지방 회의소. 국제청년회의소[JCI]는 인종, 국적, 신앙, 성별, 직업의 차별 없이 만 20세부터 40세[대한민국은 45세]까지의 젊은이들이 인류의 경제, 사회, 정신적 발전을 도모하고 세계평화와 인류복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만든 국제적 친목 단체이다. 현재 전 세계...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와 해남읍 신안리를 연결하는 터널. 2017년 현재 우리나라 터널 갯수는 2,382개이며, 연장길이는 1,811㎞이다. 일반국도는 668개[28.0%], 특별시도와 광역시도는 187개[7.9%], 국가지원지방도는 91개[3.8%], 지방도는 199개[5.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슬재를 관통하고 있어서 우슬터널로 부르기도 하지...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활동하는 사회단체. 해남포럼은 건강한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토론 문화 운동, 사회 정치적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한 균형추 역할, 주민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는 주민 의제를 창출하고자 설립되었다. 해남포럼은 1997년 3월 지역 시민운동가 박상일, 교사 김경윤, 외과 병원장 김동식, 농업협동조합장 양용승, 전 군의원 민상홍 등이 주도...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호동리에 있는 청소년 문화공간. 해남황산청소년문화의집은 해남군 관내 모든 청소년 및 청소년 관련 단체를 위한 문화공간으로 모든 이용 시설물은 청소년 우선 이용이 원칙이며, 청소년에게는 모든 이용 시설 요금이 무료이다. 해남황산청소년문화의집은 해남군 관내 농어촌 지역의 열악한 문화환경 개선을 위한 공공 청소년 수련 시설 운영 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법인 해남희망원의 법인 시설은 해남희망원[노숙인 재활시설], 신혜정신요양원[정신요양시설], 선회노인요양시설[노인 요양 시설], 해남노인치매센터[노인 전문 요양 시설]이 있다. 해남희망원(海南希望院)은 신체적·정신적 재활을 위한 일시보호 서비스, 치료 프로그램, 각종 재활 프로그램, 사회적응 훈련 등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봉사 단체. 해남YMCA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지역 주민의 복지 및 권리 증진 향상에 기여하고 사랑과 정의, 생명과 평화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해남YMCA는 해남읍교회 이준목 목사와 해남의 유지들이 기독교청년운동을 추진하기로 결의한 뒤 총 15명의 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에 있는 법정리.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만조 때면 바닷물이 해남천(海南川)을 거슬러 올라왔다 하여 본래 ‘갯몰’, ‘바댓몰’이라고 불렸다. 한자식 지명에 따라 해리(海里)로 개칭하였다. 본래 군일면 지역에 속하여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리와 신교리·동외리·천변리의 각 일부를 붙여 해남군 해남면 해리로 개설되었다. 1955년 해남면...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해림 김정복의 뜻을 기리는 동시에 지역 배구 활성화를 위하여 개최하는 배구 대회. 해림배전국남녀배구대회는 해림(海林) 김정복의 배구 사랑과 후진 양성의 뜻을 기리기 위해 제자들과 뜻있는 배구인들이 정기적인 배구 대회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다. 김정복의 뜻을 계승하는 한편, 지역 배구 활성화와 군민 화합을 위하여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개최되고 있...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수령 150~600년의 해송 25그루. 해송은 소나무과 여러해살이 나무이며, 해안을 중심으로 산야에 서식하는 상록침엽수이다. 우리나라 남쪽 해안에 주로 분포한다. 상록성인 잎은 침엽으로 억세고 엽초는 회백색이나 밑쪽은 갈색이다. 꽃받침, 꽃잎, 암술대, 털 등의 식물 기관이 충분히 자라 열매가 성숙한 이후까지 그대로 남아 있는 숙존성이다. 줄기는...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공립유치원. 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정책의 일환으로 설립된 공립유치원이다. 2011년 3월 1일 해오름유치원 설립 인가[6학급]를 받아 초대 이기옥 원장이 부임하였다. 2011년 6월 8일 해오름유치원 개원식을 하였다. 2011년 12월 31일 제2회 대한민국좋은학교박람회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14년 3월 1일...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대보름에 밥을 김에 싸서 차려놓는 풍속.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을 하루 앞둔 열나흗날 저녁에 차례상을 차리면서 밥을 해우[김]에 싸서 상에 노적[낟가리]처럼 차곡차곡 쌓아 올린다. 이를 해우쌈노적이라고 한다. 해우쌈노적 풍속에는 그해 농사가 잘되어 많은 곡식을 거둘 수 있기를 기원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동국...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해원리(海元里)라고 하였다. 해원리는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영암군 송지종면의 개현(介峴)으로 나와 있는데, 갯골 또는 가연이라 불렀다. 개현이 어떤 연유로 해원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영암군 송지시면과 송지종면의 개현(介峴), 삼마동(三馬洞)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신기마을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무사와 풍년을 기원하면서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신기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루 오후 두세 시 무렵에 마을 저수지 앞에서 해원리 신기 용왕제를 지낸다. 마을에 군곡저수지가 생기고 나서부터 아이들이 놀다가 빠져 죽거나 배가 뒤집히는 등의 사고가 자주 일어났다. 이때 마을을 지나던...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신기마을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해 결성되어 운영되었던 자치조직. 대동계는 마을의 이익을 공동으로 추구하기 위해 조직된 기능집단의 하나이다. 계원의 상호부조와 공동이익을 위해 규약을 만들어 운영하였다. 해원리 신기마을에서는 1950년 대동친목계가 정식 출범하여 마을 전 주민이 계원으로 활동하다가 1995년 해체되었다. 해원리 신...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서 해원저수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해원저수지 안 명당터」는 송지면 마봉리에 있는 해원저수지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저수지 한가운데 ‘도루뫼’라 불리는 조그마한 섬이 있는 자리가 명당이라는 내용이다. 「해원저수지 안 명당터」는 2016년 4월 29일 해남군 송지면 신흥리에서 채록하였으며, 구술자는...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대보름날 오곡밥이나 찰밥을 김에 싸서 먹는 세시 음식 해의(海衣)는 김 또는 해태로도 불리고, 해이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겨울에 김은 밥상에 올리는 귀한 반찬 중 하나였다. 따라서 명절 때는 김을 선물로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 또는 찰밥을 김에 싸서 먹는 풍속이 전해 오고 있다. 이렇게 먹는 것을 해의쌈이라고 부른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있는 법정리. 해창마을 갯가에 정자나무가 많았으므로 석호정(石湖亭)이라 하다가, 연곡리(蓮谷里)에 있는 해창(海倉)이 옮겨 와 창촌(倉村), 신해창(新海倉)이라 한 데서 해창리(海倉里) 지명이 유래하였다. 해창시(海倉市)가 『조선지지자료』에서 확인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남군 화산면 해창리가 개설되었다. 현재 해창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에 해창리에 있는 생막걸리를 만드는 주조장. 해창주조장은 1927년 일본인 시바다 히코헤이[紫田彦平]가 세운 미곡 창고로 시작하였다. 현재 제4대 주인인 오병인과 박리아 부부가 우리 민족 전통주인 생막걸리는 제조하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맛의 하나인 한민족 고유의 전통주 생막걸리를 제조하는 주조장이다. 목포와 광주에...
-
전라남도 해남군 관할 지역의 공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남군 행정부의 조직구조와 활동, 그리고 상호작용.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해남현(海南縣)이 나주부(羅州府) 해남군(海南郡)으로 승격되었다. 1896년 다시 전라남도 해남군으로 개편하고 부근 도서를 완도군으로 이속하였다. 1906년 진도, 영암의 6개 면을 합하여 23면이 되었다. 1914년 해남 인접 지역을...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에 있는 비영리 문화재단. 해남종합병원 설립자이자 지역 예술 후원자였던 행촌 김제현의 삶을 기려 설립된 비영리 문화재단이다. 해남 지역 주민의 의료복지를 위해 김제현이 1978년 7월 19일 설립한 해남연합병원은 1981년 3월 17일 행촌재단 해남종합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00년 타계한 김제현은 해남과 예향 남도 작가들의...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월호리에 있는 수령 약 340년의 향나무.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된 향나무는 화산면 월호리 93에 있다. 높이 11m, 둘레는 2.8m이다. 향나무는 상록침엽수로서 관목이며 잎은 두 가지 형태로 자란다. 어린 바늘 모양의 잎은 길이 5~10㎜, 다 자란 비늘잎은 길이가 1.5~3㎜이다. 성숙한 나무는 특히 왕관의 모양의 낮은...
-
1945년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역사. 해남이 지금과 비슷한 경계를 갖게 된 것은 1448년(세종 30)으로 올라가며, 1895년에 해남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접 지역을 병합하면서 13개 면이 되었다. 13개 면은 해남면(海南面)·삼산면(三山面)·화산면(花山面)·현산면(縣山面)·송지면(松旨面)·북평면(北平面)·옥천면(玉泉...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구산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맑고 고운 인성을 바탕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학생을 기른다’이며 구체적 목표로는 배려와 나눔의 마음을 가진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균형 잡힌 신체·건강한 체력을 지닌 튼튼한 어린이, 문화를 즐기며 나만의 재능을 키우는 특별한 어린이로 설정하고 있다. 1939년 7...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현산면이라 칭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은소면 관할 14개 동리와 현산면 관할 38개 동리를 폐합하여 11개 리로 개편하면서 해남군 현산면으로 개설하였다.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송지면 월송리에 속한 6개의 리(里)가 현산면으로 편입되어 12개 리가 되었다. 지금의 현산면은 백제...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현산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인성, 지성, 감성을 갖춘 건강한 현산인 육성이다. 교육목표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는 남을 배려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도덕인]이다. 둘째는 소질을 계발하고 미래를 열어 가는 실력 있는 사람[실력인]이다. 셋째는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창의적 능력을 신장하는 사람[창의인]이다. 넷째는...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 북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해로 흘러가는 하천. 현산천은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 북쪽 산지[276m]에서 발원하여 구시저수지로 유입된 후 구시저수지로부터 2㎞ 하류 지점에서 고현천과 합류하여 남쪽으로 관통하여 흐른다. 그리고 일평리를 지나 읍호리와 초호리 일대에서 넓은 평야를 이루다가 백방산을 끼고 서쪽으로 흘러내린 후 하구로부터 2...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바른 인성으로 더불어 사는 착한 학생[착한이], 기초·기본 학력을 다져 창의력을 키우는 학생[똑똑이], 꿈과 끼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멋있는 학생[멋쟁이], 튼튼한 몸과 마음으로 자신 있게 행동하는 학생[튼튼이]이다. 1918년 5월 17일 달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49년 4월 1일에 현산국민학교로...
-
해남윤씨 어초은파의 종택 녹우당과 해남윤씨 집안의 인물 이야기. 해남윤씨(海南尹氏)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대표 명문 종가로, 종택인 녹우당은 호남 문화예술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녹우당(綠雨堂) 고택 앞에 서면 만나게 되는 500여 년 된 늙은 은행나무는 녹우당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역사의 산 증인이라 할 수 있다. 500년이 넘는...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에 있는 호남지방통계청 강진사무소 산하의 해남 분소. 호남지방통계청 강진사무소 해남분소(湖南地方統計廳康津事務所海南分所)는 해남 및 완도 지역의 지역 통계 서비스를 신속·정확하게 수행하고 국가 통계 발전을 도와 국가 통계 품질 향상을 주도하고자 한다. 해남 및 완도 지역을 중심으로 각종 통계를 신속하고 빠르게 제공하여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법정리. 호동(虎洞)마을은 숲이 울창하고 산세가 좋아 호랑이가 많이 살았다. 그러나 인근 마을과는 달리 호랑이로 인한 피해가 없었다. 이에 범의 보호를 받고 있는 마을이라 하여 범골이라 하였으며 호동(虎洞)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왔다. 혹은 마을 모습이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형태라 하여 복호곰이라 불렀는데, 여기서 호동이라는 이름이...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의 호랑이 그림에 관해 전해 오는 이야기. 「호랑이와 가재 그림」은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대흥사(大興寺) 벽화에 얽힌 이야기이다. 배고픈 호랑이가 자기의 꼬리를 이용하여 가재를 잡아먹다가 승려에게 들켜 소나무에 매달리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호랑이와 가재 그림」은 2016년 12월 9일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에서 채록하였으...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겨울철 간식으로 먹기 위해 호박이나 무와 쌀가루로 만든 떡. 겨울철에 먹거리가 풍족하지 않을 때 호박떡과 무떡은 훌륭한 간식 중 하나였다. 호박떡은 잘 익은 호박의 주황색이 흰 쌀가루와 섞여 빛깔이 고울 뿐 아니라 달큰한 맛이 일품이다. 무떡은 무의 색과 쌀가루와 색깔이 같아 겉으로 보아서는 무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맛을 보면 호박떡과는 다른 달큰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남송마을과 해남읍 안동리 사이에 있는 산. 호산(葫山)[193m]은 해남읍 연동리 남송마을과 안동리의 진산이며, 풍수지리상 옥녀탄금형(玉女彈琴形) 형국을 보이는 해남읍의 안산(案山)에 해당한다. 『호남읍지(湖南邑誌)』에 “군의 남쪽 5리[약 1.86㎞]에 있다. 군의 앞산 안산이다. 산 위에 소나무 세 그루가 있는데, 세칭 형제송...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행해지는 혼인에 관련한 의례. 혼례는 남녀가 한 가정을 이루어 새 출발하는 의미를 새기고 이를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는 의례이다. 혼인은 ‘장가들다’의 의미를 가진 ‘혼(婚)’ 과 ‘시집가다’의 의미를 가진 ‘인(姻)’이 합하여진 단어로, 장가들고 시집간다는 의미이다. 혼례는 남녀의 결합이자, 가문과 가문의 결합이며 마을과 마을의 결합이기...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에 있는 법정리. 화내리(禾內里)는 ‘곶 안쪽에 있는 마을’이었기 때문에 ‘곶안’이라고 불렀는데, 뒤에 ‘고안’으로 음이 변하였다고 하며, 마을이 ‘곶 안쪽’에 있으므로 ‘물안’이라고도 하였다. 화내는 한자식 표기이다. 본래 해남군 마포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포면의 낙동리, 화내리, 양지리, 안정리와, 봉...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화봉리(花峰里)는 마을 뒷산인 화봉산(花峯山)[165.3m]에서 마을 이름을 따왔다. 화봉산은 꽃봉우리 형국으로, 사시사철 꽃이 피고 향기가 가득하여 화봉(花峯)이라 하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서면의 화봉리(花峯里), 초동리(草洞里), 역양리(力陽里)를 통합하여 화원면에 편입되었다. 이 중 초동리는...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화산면(花山面)은 화일(花一)과 화이(花二)가 합쳐진 명칭이다. 고려시대에는 영암군 속현의 한 지역이었다. 조선 초에는 해진군(海珍郡) 영역에서 분리되어 해남현 영역의 일부가 되었다. 조선 말에는 월호 하천을 경계로 북부를 화이면(花二面), 남부를 화일면(花一面)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화일과 화이, 진도군 삼...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연정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화산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자율과 배려로 배우고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구체적인 교육목표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는 자신의 삶과 진로를 탐구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둘째는 지식 정보를 처리·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다. 셋째는 기초 능력 배양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넷째는 풍부한 문...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방축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남과 더불어 생활하는 어린이[나눔꽃 피우기],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창의꽃 피우기], 자기다움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매력꽃 피우기], 아름다움을 찾아 아끼는 어린이[문화꽃 피우기]이다. 1924년 4월 1일 화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93년 3월 1일 화산북국민학교를 통폐합하였다. 1996년 3월...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금평리에 있는 전통시장. 화원5일시장은 매월 끝자리 5일, 10일에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이다. 몇 안 되는 점포와 노점이 있는 작은 시골장이며, 직접 재배한 농산물을 내다 파는 공설시장이다. 화원5일시장은 1964년에 형성되었다. 2009년에 19.8㎡의 공중화장실과 시장도로 포장, 하수도를 정비하고, 2011년에 장옥을 신...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신덕리에 있는 사립고등학교. 화원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자신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주변을 배려하고 나눔의 정신을 베풀며 남들과의 소통력을 가진 글로벌 인재 양성이다. 교육 목표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는 건전한 인성 함양으로 올바른 민주시민의 자질을 갖춘 학생[민주인]이다. 둘째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춘 문제해결에 창의적인...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청룡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우수영성당 소속의 공소. 해남군 화원면 주민들에게 천주교 신앙을 전파하려는 종교적 목적으로 1995년 모임을 시작으로 화원공소(花原公所)가 설립되었다. 1995년 1월 8일 신자 5명이 해남군 화원면에서 옛 면사무소를 임대하여 첫 공소 전례를 하여 화원공소가 시작되었다. 2009년 5월 1일 작은형제회 순...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화원면을 설치하였는데, 조선 초에 설치한 황원곶목장(黃原串牧場)의 ‘원(原)’ 자를 따서 지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에 장서면(場西面)과 장목면(場牧面)으로 편제되었다가, 1906년(광무 10)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감목관이 혁파되고, 그 자리에 관저면(管底面)이 신설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신덕리에 있는 사립중학교. 화원중학교의 교육목표는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미래 인재 육성이다. 구체적 교육목표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는 건전한 인성 함양으로 올바른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춘 학생[민주인]이다. 둘째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춘 문제 해결에 창의적인 학생[실력인]이다. 셋째는 효율적 정보 활용 능력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어...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구림리 일대에 조성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선공업단지. 일반[지방]산업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시, 도지사가 시장이나 군수·구청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정 개발하는 산업단지를 말한다. 전라남도는 2006년 6월 경제살리기 핵심 전략산업으로 조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조선산업 클러스터 구축 계획’을 수립한...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청룡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배려하고 협력하는 사랑이, 탐구하여 알아 가는 새롬이, 나만의 끼로 내일을 꿈꾸는 재능이, 즐겁고 건강하게 생활하는 튼튼이다. 1928년 9월 1일 화원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1일 화원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고, 1990년부터 1995년까지 후산분교장, 장수분교장, 영호분교장, 화원동...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우수영성당 소속의 공소. 해남군 황산면 주민들에게 천주교 복음을 전하고 신자들의 종교 활동을 도모하기 위해 1982년 모임을 시작으로 황산공소(黃山公所)를 설립하였다. 1982년 9월 26일 세 명의 신자들이 첫 공소 예절을 시작하였으며, 초기에는 김현정[아네스] 집에서 모였다. 1984년 4월 21일 김현정 자...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에 있는 법정리. 흙이 누래서 누렁메라 불리어 오다가 황산(黃山)이라 개칭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분토리, 용암리, 원진리, 학동리와 현산면의 봉동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황산마을, 분토마을, 원진마을, 봉동마을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황산마을은 조선 중엽 경주김씨...
-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황산면(黃山面)은 황원면과 산일면이 병합하여 이루어졌다. 황원면은 백제 때 황술현(黃述縣), 통일신라 때 황원현(黃原縣), 고려시대 황원군(黃原郡), 조선시대 황원면(黃原面)으로 이어지는데, 황은 황토에서 왔을 것으로 본다. 즉 황원면은 과거의 ‘황(黃)’으로 볼 때 ‘중심이 되는 넓은 들판’에서 유래하였다고 볼 수 있다. 고려...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남리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목포제일노회 소속 교회. 시등교회는 예배와 기도를 통한 영혼 구원과 선교를 통한 복음 전파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해남군 황산면 연당교회에 출석하던 위영재가 1951년 2월 1일부터 시등리의 위영재 집에 기도처를 정하고 가족 3명, 기타 교인 3명 등 7명이 예배를 하면서 시등교회[남리리...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황산중학교의 교육목표는 건강하고 참되며 슬기로운 황산인, 도덕성과 창의성을 지닌 황산인 육성이다. 구체적 교육목표는 다섯 가지이다. 첫째는 기초학력이 튼튼하고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능동적인 사람[실력인]이다. 둘째는 민주 의식이 뚜렷하고 세계화에 적응하는 민주적인 사람[민주인]이다. 셋째는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소...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남리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생각이 트인 어린이[창의인], 나와 남을 사랑하는 어린이[인성인], 심신이 조화로운 어린이[체력인], 멋과 맛을 아는 어린이[감성인]이다. 1922년 4월 1일 황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황산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 1999년 9월 1일 황산서초등학교를 통폐합하였다. 2000년 3월 1...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에 있는 법정리. 농토가 적어 농사만으로 생활하기 힘든 시절 마을사람들은 모시를 생산해 생계를 이어갔다. 그래서 모시골이라고 불렀다. 모시 생산이 줄어들고 대신 마을 형성 당시의 대나무가 무성하게 되어 황죽(篁竹)이라 불리게 되었다. 본래 비곡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남군 계곡면 황죽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황죽마을 1...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정월대보름 무렵에 횃불을 만들어 돌리며 노는 민속놀이. 해남 지역에서는 정월 열나흗날이나 정월대보름이 되면 해질 무렵부터 주로 어린이들이 들판이나 논두렁에 모여 횃불을 만들어 돌리면서 노는 횃불놀이를 하였다. 놀이하는 과정에서는 횃불을 돌리며 친구들과 경쟁하기도 하고 이웃 마을 아이들과 경쟁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횃불놀이는 단독으로...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과 마산면 장촌리에 있는 수령 약 170~250년의 회화나무 2그루.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보호수로 지정한 회화나무는 2그루로,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와 마산면 장촌리에 있다. 해남읍 연동리 회화나무는 높이가 21m, 둘레는 2.75m이며, 마산면 장촌리 회화나무는 높이가 14m, 둘레는 1m이다. 회화나무는 낙엽활엽수로 높이 10~30m,...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과 송지면에 있는 수령 약 150~300년의 후박나무 2그루. 후박나무는 한국이 원산으로 난온대성 상록활엽수이다. 우리나라 울릉도와 남쪽 해안에 분포하고 있다. 높이 20m, 둘레 6m까지 자라며, 나무껍질은 녹갈색이다. 늙은 나무는 나무껍질이 비늘조각처럼 떨어지고 회백색의 얼룩이 있으며 평활하다. 일년생 가지는 녹색이나 붉은빛이 돌며, 뒤에 타원상...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후상리(厚上里)와 후하리(厚下里)에서 ‘후(厚)’를 따와서 지은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동면의 온득리(溫得里), 후상리(厚上里), 후하리(厚下里), 가마리(加馬里), 질마리(叱馬里)를 통합하여 해남군 화원면 후산리로 개설되었다. 이 중 온득리, 후상리, 후하리는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철쭉을 주제로 하여 개최되어 관광객과 지역민이 어우러지는 축제. 해남군 계곡면 가학산자연휴양림에서는 매년 봄이면 흑석산철쭉제를 열어 남도의 봄기운을 만끽하게 한다. 가학산(駕鶴山)은 2006년 포획된 야생 원숭이 출몰로 세간에 화제가 되었던 해남의 명산이다. 흑석산철쭉제 행사로 사물놀이, 국악공연, 댄스 경연 대회, 초대가수 공연과 흑석산...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에 있는 법정리. 흑천마을을 곰샘골로도 불렀는데, 곰샘은 ‘검은 샘’, 즉 흑천(黑泉)이며, 흑천은 곧 신천(神泉)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본래 영암군 옥천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학동리, 억수리를 병합하여 해남군 옥천면 흑천리로 개설되었다. 현재 흑천마을,...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신흥마을에서 여성들이 주로 부르던 노래. 「흥글소리」는 혼자 흥얼거리듯이 부르던 노래이다. 느리게 흥얼거리며 부른다 하여 「흥글소리」라고 한다. “엄매 엄매 우리 엄매 무엇하러 날 낳던가”로 시작되는 신세타령의 일종이다. 「흥글소리」는 2009년 송지면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송지면지』 291~292쪽에 「물레타령」으로...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는 법정리 본래 신풍(新風), 선성국(船成國), 만흥동(萬興洞)으로 불렸으며, 흥촌(興村)이란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만흥과 신촌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딴 것이다. 마을이 흥하기를 바라는 명명이다. 본래 영암군 북평시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06년(광무 10) 해남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풍리, 만...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에 있는 KB국민은행의 해남 지역 지점. 해남 및 인근 지역의 금융 소비자들에게 금융 서비스 등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KB국민은행 해남지점은 지역의 담보 능력과 신용력이 미약한 주민과 소기업자에게 금융 편의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KB국민은행은 1963년 2월 「국민은행법」에 의해 설립되었다...